• 제목/요약/키워드: Agar 농도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4초

뿌리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agar농도에 따른 Kalanchoe pinnata의 체세포 배 형성 변화 (The change of somatic cell embryogenesis in Kalanchoe pinnata because of agar concentration in stimulating root stress)

  • 박종범;김진석;김동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20-324
    • /
    • 2017
  • 현대적인 농업기계발달과 그에 따른 집약농업 발달은 토양압축을 야기하고 뿌리에 압박 스트레스를 가하여 생육을 저하시킨다. 뿌리에 압박스트레스를 작용하여 식물 생장발육에 영향과 생식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Kalanchoe pinnata를 사용하였다. K. pinnata는 잎의 가장자리에서 무성생식이 가능한 체세포 배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Kalanchoe pinnata의 뿌리 압박 효과를 고농도 agar 농도를 사용하여 외부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체세포 배 형성 및 기관분화 경향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러한 현상을 조직학적으로 연구 하였다. 스트레스 요인으로 배양배지에서 agar의 농도를 0.5%에서 1.5%까지의 범위로 조성하여 뿌리에 압박효과를 야기하였고, 이후 K. pinnata의 줄기와 잎 등을 microtechnique 방법으로 조직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In vivo에서 K. pinnata는 수분부족 및 과도한 광조건에 의해 잎 가장자리에서 $2^{nd}$, $3^{rd}$ plantlet이 생성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내배양 연구에서 agar의 농도가 낮을수록 개체 수의 증가 및 생체량의 증가가 빠르지만 잎 만곡부에서 plantlet의 발생은 나타나지 않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에 agar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개체수의 증가가 낮은 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agar 1.5%의 배지에서만 잎에서 plantlet 발생현상이 나타났다. Agar 농도의 차이는 K. pinnata의 뿌리에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여 무성생식의 양상이 뿌리에서 포기 나누기 방법에서 잎에서 소식물체 형성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이는 뿌리 압박 효과가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식물 생식 양상을 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숙근(宿根)안개초의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있어서 Agar 농도(濃度) 및 Auxins의 농도(濃度)가 Vitrification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Agar and Auxins Concentrations on Vitrification in Tissue Culture of Gypsophila paniculata L. cv. 'Bristol Fairy')

  • 전재기;최상태;박인환;신학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37-41
    • /
    • 1988
  • 숙근(宿根)안개초(草)의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있어 배지(培地)에 첨가하는 agar농도(濃度) 및 auxins의 농도(濃度)가 vitrification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초장(草長), 생체중(生體重), 분지수(分枝數)는 agar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auxins의 효과(效果)는 미약(微弱)하였다. 그러나 초장신장(草長伸長)에 있어서 IAA 1.0ppm+NAA 0.5ppm 및 IAA 2.0ppm+NAA 1.0ppm 첨가구에서는 그 결과(結果)가 매우 양호(良好)하였다. 2. 발근소요일수(發根所要日數)에 있어서는 auxins의 첨가효과(效果)가 적었다. 그러나 근(根)의 생육(生育)에 있어서는 IAA 1.0ppm+NAA 0.5ppm 및 IAA 2.0ppm+NAA 1.0ppm 첨가구에 있어서 분화(分化)된 근(根)의 생장(生長)이 매우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이었다. 3. 건전주율(健全株率)에 있어서는 agar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배지(培地)가 너무 경화(硬化)되면(1.5%)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이 극(極)히 저조(低調)하였다. 4. 이상(以上)을 종합(綜合)해 보면 숙근(宿根)안개초의 조직배양시(組織培養時) 외부환경(外部環境)에 대(對)한 적응력(適應力)이 높은 강건한 묘(苗)의 육성(育成)을 위해서는 agar농도(濃度) 1.2%로 한 MS배지(培地)(RM1962)에 IAA 1.0ppm+NAA 0.5ppm 첨가배지(培地)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배지 응고제와 생장조절제가 벼 약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lling Agents and Growth Regulation on Rice Anther Culture)

  • 이중호;이승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39
    • /
    • 1995
  • 벼 약배양에서 배지 물리성과 생장조절제가 약배양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N/ sub 6/, 배지에 배지 응고제인 agar와 Gelrite의 농도를 달리하여 캘러스 형성률, 식물체 재분화율과 재분화 식물체의 배수성 등을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적정 생장조절제의 종류와 농도를 구명하였다. 캘러스 유기배지의 agar 농도를 0.8, 1.2, 1.6%와 Gelrite 농도를 0.2, 0.4, 0.6, 0.8, 1.0%로 달리하여 약을 배양한 결과, 캘러스 형성률은 agar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나, 식물체 재분화율과 기내 자연배가이배체의 재분화율은 agar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Gelrite 배지에서의 캘러스 형성률은 0.4%와 0.6%에서 67.6%와 54.8%로 agar 배지에서보다 높았으며, 녹색체 재분화율은 0.6%에서 27.6%로 가장 높았다. 기내 자연배가이배체 및 다배체 재분화율은 Gelrite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0.6% Gelrite 배지에서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는 2 mg/L NAA가 65.2%의 높은 캘러스 형성률과 34.7%의 녹색체 분화율을 보여 가장 높았다. 따라서 N$_{6}$ 배지에 2 mg/L NAA와 0.6% Gelrite 조합이 캘러스 형성률, 식물체 재분화율 및 기내 자연배가이배체재분화율 등이 모두 agar 배지보다 크게 증가하여 벼의 약 양 배지로 가장 적합하였다.

  • PDF

Agar와 Agarose 코팅필름을 이용한 갈파래의 포자 부착 검색 (Bioassay of Spores Attachment for the Weedy Green Alga Ulva fasciata on Agar and Agarose Surfaces)

  • Shin, Hyun-Woung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315-319
    • /
    • 1999
  • 갈파래의 포자가 부착한 Agar와 Agarose코팅필름은 agar, agarose 또는 메탄놀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표면의 성질을 나타냈다. Sigma agarose 코팅필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포자 부착이 일어났다. Bacto agar과 그외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에 부착한 포자는 Sigma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보다 12∼36배나 적었다. 2.5%와 5% 의 SeaKem agarose와 Bacto agar 코팅필름의 비교에서 두 개의 농도 차이가 있는 반면에, 2.5%와 5%의 NuSieve와 Sigma agarose 코팅필름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의 Bacto agar와 4% 의 메탄놀을 포함한 5% Bacto agar 비교, 5% NuSieve와 4% 메탄놀을 포함한 5% NuSieve agarose비교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결과는 agar와 agarose로 코팅한 필름에서 포자 부착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연구 결과는 착생생물에 대한 반착생을 검색할 수 있는 기초가 되어질 것이다.

  • PDF

제주산 우뭇가사리로 부터 추출한 한천용액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Agar Solution from Cheju Seaweed, Gellidium amansii)

  • 강훈이;고문섭;김현주;김성우;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22-726
    • /
    • 1996
  • 온도변화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가역적 교질특성과 강한 gel화능으로 식품첨가물 뿐만 아니라 공업적으로 널리 쓰이는 한천을 식품산업에서 신소재로서 기능성물질로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 우도산 우뭇가사리로 부터 한천을 열수 추출하여 유동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한천용액은 비뉴우톤 유체로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pseudoplastic특성을 강하게 나타내었으며, 한천용액의 유동특성값으로 유동성지수는 $0.5\~5\%$의 범위에서 $80^{\circ}C,\;60^{\circ}C$$50^{\circ}C$에서 각각 $0.62\~0.69,\;0.46\~0.67$$0.34\~0.64$이였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 하였다. 그리고 점조도지수는 $0.12\~1.26\;Pa{\cdot}s^n,\;0.12\~7.28\;Pa{\cdot}s^n$$3.9\~19952.6\;Pa{\cdot}s^n$이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다. 점조도지수의 농도의존성은 한천농도 $2\%$를 경계로 기울기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선관계를 보였으며, 온도의존성은 Arrhenius식에 잘 따랐으며, 한천용액의 농도 $0.5\~5\%$ 범위에서 활성화에너지는 $0.09\~13.51\;Kcal/g{\cdot}mol$이였다.

  • PDF

Agar Gel Barrier의 농도변화에 따른 폭발완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losion Mitigations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gar Gel Barriers)

  • 박달재;김남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3-18
    • /
    • 2011
  • 폭발챔버에서 Agar gel barrier의 폭발완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면적 $100{\times}100mm^2$, 길이 1400 mm를 가지는 폭발챔버 그리고 폭발챔버의 개구부에 설치될 gel barrier의 고정을 위하여 $100{\times}100{\times}300mm^3$의 챔버를 제작하였다. Agar gel과 물을 혼합하여 4가지 서로 다른 농도(2, 3, 4, 5 %)를 가지는 agar gel barrier를 제조하여 실험변수로 사용하였다. 폭발과정 동안 gel displacement의 가시화를 위해 고속카메라 그리고 gel barrier 전 후단의 폭발압력 변화를 관찰하고자 압력획득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gel 농도 증가에따라 gel의 파열시간 및 최대 폭발압력 도달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el 농도가 증가할 때 gelbarrier 전 후단에서의 폭발압력 완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Saccharomyces cerevisiae 에 의한 Agar로부터 바이오 에탄올 생산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Agar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성목;유병조;김영민;최수정;하종명;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290-295
    • /
    • 2009
  • 해조류 중에서도 홍조류의 agar는 D-galactose와 3,6-anhydro-L-galactose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분해하면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와 산 처리를 이용하여 agar를 당화하고 이를 통해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고자 한다.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하여 전처리 된 agar에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1129를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Agar로부터 환원당 생성의 최적조건은 0.1 N HCl이었고, $120^{\circ}C$에서 15 min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효균주 성장을 위한 최적 염 농도는 0.1 N NaCl로 17.88 g/L까지 성장하였으며, 0.1 N 이상의 농도에서 6.78~10.76 g/L로 성장이 감소했다. 그리고 agar 16% 농도에서 최적 전처리에 의한 에탄올 생산은 10.16 g/L이었다.

한라구절초 잎절편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Segment Culture of Chrysanthemum zawadskii ssp. coreanum)

  • 박영철;김성용;한태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47
    • /
    • 2004
  • 기내에서 삽목 배양중인 한라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ssp. coreanum(Nakai) Y.N. Lee)]의 잎으로부터 효과적인 식물체 재생을 위한 NAA와 BA농도 및 배지고형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0.2% Gelite를 고형물로 하였을 때 한라구절초의 잎 재분화에는 BA농도보다는 NAA 농도가 더 영향을 미쳤으며, NAA 농도가 1 mg/L 이상이면 모든 조직 에서 재분화를 보였다. 신초수는 NAA 단용 처리에서 많은 경향이었으며 NAA 1 mg/L 처리시가 가장 양호하였다. 배지고형물로 agar과 gelite를 가지고 재분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gelite 첨가시 잎절편 당 신초수가 많았으며 agar 첨가시에는 잎절편당 신초수가 적은 반면에 신초의 길이가 길게 나타났다. 한라구절초의 잎절편으로부터 재분화에는 MS에 3% sucrose, 0.8% agar와 NAA 1 mg/L를 첨가하여 25 $^{\circ}C$, 2,000 lux 정도에서 배양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산처리(酸處理) 조건(條件)이 한천(寒天)의 수율(收率) 및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cid Treatment on Extractability and Properties of Agar)

  • 박영이;이철;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19-325
    • /
    • 1985
  • 참우뭇가사리 (Gelidium amansii sp.)를 원예(原藻)로 하여 추출조건( 抽出條件)(산(酸)의 종류(種類)와 농도(濃度) 및 추출시간(抽出時間) 등)에 따른 한천(寒天)의 수율(收率)과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을 분석(分析)하였으며, 조건별(條件別)로 추출(抽出)된 한천(寒天)에 대하여 agarose와 agaropectin의 비율(比率)을 측정(測定) 검토(檢討)하였다. 자숙중(煮熟中)에 염산(鹽酸), 황산(黃酸) 및 초산(酢酸)을 가했을 때, 추출(抽出)된 한천(寒天)의 수률(收率)과 젤리강도를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염산(鹽酸)을 가하여 추출(抽出)한 것이 가장 우수(優秀)하였으며 산(酸)의 알맞은농도(濃度)는 0.005-0.01N HCI의 범위임을 알았다. 산(酸)을 첨가하지 않고 추출(抽出)한 대조구(對照區)의 수율(收率)과 젤리강도는 13.3%, $306g/cm^2$였다. 산(酸)의 종류(種類)와 농도별(濃度別)로 가장 높은 수율(收率)을 보인 추출조건(抽出條件)은 0.007N HCI의 38.7%, 0.007N $H_2SO_4$의 40.5%. 0.05N $CH_2 COOH의 42.4%였다. 그리고 가장 높은 젤리강도를 보인 추출조건(抽出條件)은 0.005N HCI일 때의 $511g/cm^2$, $0.005N\;CH_2 COOH일 때의 $463g/cm^2$, 0.01M $CH_2COOH$ 일때의 $436g/cm^2$였다. 그리고 구(對照區)와 젤리강도 및 수율(收率)이 가장 높게 나타난 산처리추출(酸處理抽出)된 한천중(寒天中) agarose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젤리강도가 가장 높은 0.005N HCI 처리구한천(處理區寒天)이었으며, 이때 성분(成分)과 황산기(黃酸基)의 함량은 가장 적었다.

  • PDF

사과 'McIntosh Wijcik' 형질전환체 선발을 위한 Kanamycin 농도 (Kanamycin Concentration for Selection of 'Mcintosh Wijcik' Transgenic Apple)

  • 송관정;성은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811-814
    • /
    • 2000
  • 사과에서 효율적인 형질전환 체계를 마련코자 'Mclntosh Wijcik' 형질전환체 계통을 이용하여 재분화 및 발근 배지내 kanamycin 농도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였다. Gelrite 고형 재분화 배지에서는 $150mg{\cdot}L^{-1}$의 고농도에서도 재분화율에 대한 저해 정도는 낮았으나, 정상 신초 재분화 면에서는 $100mg{\cdot}L^{-1}$이상의 농도에서 는 저해 정도가 높았다. Agar 고형 발근배지에서 kanamycin 농도에 따른 발근 반응은 계통간 차이를 보여, $30mg{\cdot}L^{-1}$이상의 농도에서 발근율이 크게 저해되는 계통과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계통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들 형질전환체 계통간 발근율 차이는 전이 유전자 삽입수보다는 삽입 위치에 따른 효과로 보아졌다. 따라서 'McIntosh Wijcik' 품종의 형질전환시 gelrite 고형 재분화 배지내 적정 kanamycin 농도는 $100mg{\cdot}L^{-1}$정도로 판단되며, 형질전환체에 대한 일차적인 간접선발에 적당한 agar 고형 발근배지내 kanamycin 농도는 $30mg{\cdot}L^{-1}$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