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ponic Syste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농도가 덴파레(Dendrobium phalaenopsis)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al System and Sonic Strengt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Dendrobium (Dendrobium phalaenopsis ) Seedlings)

  • 정순주;이범선;안규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4-291
    • /
    • 1997
  • 본 실험은 덴파레를 공시재료로 양액재배 기법을 이용하여 유묘생장을 촉진함으로써 재배기간의 단축 및 양질의 덴파레 생산을 위한 재배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온실재배현장에 system생산이 가능토록 최적 재배 system 및 양액제어방법을 구명하여 난재배농가에 새로운 재배기법으로 제공코자 그 기초 및 실용가능성 타진을 목적으로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의 농도에 따른 덴파레 유묘생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계재배시 초장의 경우 담액수경의 1/4농도가 31.7cm로 가장 높았으며 분무경의 1/2농도가 21.6cm로 가장 낮아 최고/최저가 약l0cm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담액수경의 경우에는 고농도인 1/2농도와 1/4농도가 초장이 높았으며 분무경에서는 비교적 낮은 1/6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조적인 반응을 보였다. 근수에 있어서는 분무경의 1/4농도가 30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담액수경의 1/6농도가 26개 정도였다. 최대 근장에 있어서는 근수가 가장 적었던 분무경의 1/2농도가 23.9cm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생체중의 경우 담액 수경의 1/4농도와 1/2농도가 총 생체중이 가장 높아 주당 40g이상의 생체중을 나타냈다. 엽의 경우 담액수경의 1/4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줄기는 담액수경의 1/2농도가 22.1g으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춘계재배에서는 담액수경과 분무경은 정식이후 PH가 상승하여 7.5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EC는 각 시스템과 농도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초장의 경우 시스템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담배액식이 약간 크게 나타났다. 경경과 초장은 담배액식>담배액식>분무경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엽장과 엽폭도 담배액식의 고농도(1/2, 1/4)처리구에서 더 높았다.

  • PDF

Echiacea 속 식물에 적합한 수경재배 시스템 선발 (Selection of Optimum Closed Hydroponic System for Production of Echinacea spp.)

  • 이혜진;유형주;이용회;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1
    • /
    • 2009
  • Echinacea 청정대량생산을 위해 재배환경조절이 강한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Echinacea 뿌리와 잎 생산에 적합한 수경재배 시스템을 선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작물은 E. angustifolia DC. 와 E. purpurea (L.) Moerch이며 NFT, modified NFT, DFT, aeroponics, Ebb & Flow등 5가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150일간 실험하였다. 120일 수경재배한 두 종 모두 광합성 및 증산률은 Ebb & Flow 시스템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정식 후 150일 째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E. angustifi이za의 경우 분무경과 DFT에서 높았고, E. purpurea는 분무경과 NFT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E. angustifolia와 E. purpurea는 분무경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NFT에서 높았다 두 종 모두 뿌리의 길이는 두 종 모두 NFT 및 Ebb & Flow 시스템에서 높았고 분얼수는 E. purpurea가 분무경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Echinacea의 바이오매스 확보를 위한 수경재배 방식으로 광합성과 지상와 지하부 생육량이 E. angustifolia 와 E. purpurea 모두 높았던 분무경 시스템을 선발하였다.

순환식 수경재배시 무기이온 조절이 Single-Node Cutting 장미의 양분흡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neral Nutrient Control on Nutrient Uptake, Growth and Yield of Single-Node Cutting Rose Grown in a Closed Hydroponic System)

  • 양은영;박금순;오정심;이혜진;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2-260
    • /
    • 2008
  • 본 실험은 장미 식물공장에서 single-node cutting 'Versillia'의 양분흡수 특성을 구명하고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에 적합한 배양액 내 무기이온 조절방식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 기간동안 각 처리별 배양액 내 무기이온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EC 제어구의 경우 $NO_3$-N은 생육 후반이 되면 그 함량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증가 하였고 P와 Mg은 감소하였으며 배양액 첨가구는 전체적인 배양액 내 무기이온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무기이온 제어구는 생육 기간동안 근권 내 적정 범위를 유지하였다. 광합성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Fv/Fm는 무기이온제어구와 배양액 첨가구에서 높았고 절화장, 생체중 등은 무기이온 제어구에서 높았다. 그러나 뿌리의 활성 정도를 측정해본 결과 무기이온 제어구에서 높았으나 배양액 첨 가구에서는 생육 초기에 배양액 내 pH 변화폭이 커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무기이온 조절(다량 미량원소 제어구와 다량원소 제어구)을 통해 배양액을 관리하는 것이 생육 전 기간 동안 근권 환경을 적절히 유지해 줄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절화 품질도 향상되므로 장미(single-node cutting) 순환식 수경재배에 적합한 근권 환경 제어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Composition of Optimal Nutrient Solution for Single-stemmed Rose 'Red velvet' in a Closed Aeroponic System

  • Kang Mu Jang;Lee Joo Hyun;Lee Yong-Beo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4-181
    • /
    • 2005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an optimal nutrient solution for the single-stemmed rose (Rosa hybrida L.) 'Red velvet' in a closed aeroponic system. Plants were grown in 1/3, 1/2, 1, or 3/2 strength of the nutrient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Station in Japan (NHRS). Significantly less changes of pH and EC ($dS{\cdot}m^{-1}$) in the drainage were observed in 1/2 strength treatment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he $NO_3-N$, K, Ca, and Mg concentrations in the drainage solution of 1/2 strength treatment were maintained at optimal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ose uptakes of both nutrients and water was more stable than those in oth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macronutrients in nutrient solution were adjusted based on the ratio of nutrient:water (n/w) taken up by plants grown in the 1/2 strength solution. The composition of the new solution (classified the University of Seoul (UOS) solution) was as follow; $NO_3-N$ 8.8, $NH_4-N$ 0.67, P 2.0, K 4.8, Ca 4.0, Mg 2.0 $me{\cdot}L^{-1}$. To further evaluate new solution on crop growth, the rose 'Red Velvet' was grown again in l/2, 1, and 2 strength UOS solution to compare with 1.0 strength PBG (proefstion voor bloemisterij en glasgroenpe) solution. Overall the plant growth, including the stem length and number of five-leaflet leaves was higher in 1.0 strength of UOS solution than other treatment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utrients in the UOS solution are well balanced for the single-stemmed rose in the closed aeroponic system.

분무경 시스템에서 팔레놉시스 유묘 생육에 적합한 분무간격 (Optimum Irrigation Interval for the Growth of Phalaenopsis Hybrid Seedling in the Aeroponic System)

  • 이동수;권오근;이용범;예병우;이영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4-239
    • /
    • 2010
  • 분무경시스템에서 분무간격과 분무시간은 식물의 생육어l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이다. 이 실험은 분무경에서 분무간격이 팔레놉시스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배지 없이 뿌리가 나출된 생체중 16g 크기의 유묘를 사용하였다. 분무간격은 각각 10, 20, 30, 40, 50분 간격이었으며, 분무시간은 10분이었다. 총생체중, 총건물중, 분지된 뿌리수와 상대생장률은 20분과 30분 간격에서 10분, 40분, 50분 간격보다 높았다. 특히, 뿌리의 생체중은 30분 간격에서 기장 높았다. 엽장은 30분 간격에서 길었으나, 엽폭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10분 간격 처리에서 유묘 한 개체가 30일간 소비한 물량은 0.71L였으며, 분무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그 양은 감소하였다. 15일간 소비된 양분은 칼륨이외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칼륨은 30분 간격에서 가장 많이 흡수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분무경 시스템에서 팔레놉시스 유묘 생산을 위한 적정 분무간격은 30분이었다.

가을감자 기본종생산을 위한 분무경 재배시 적품종 선발 (Basic seed production using aeroponic system in double cropping)

  • 조일찬;장동칠;김현준;조현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49-53
    • /
    • 2011
  • 본 실험은 해발 800 m의 대관령에서 가을감자 기본종 생산을 위한 분무경 재배시 적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무경 재배방법은 3분에 20초씩 양액을 분사하였고, 두께 30 mm스티로폼 위에 직경 20 mm구멍을 뚫고 9월5일 정식하여, 11월 12일에 수확하였다. 시험품종은 '대서', '대지', '하령', '홍영', '자영', '조풍', '조원', '남서', '서홍', '수미' 등 10품종을 공시하여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였다. 생육초기의 경장은 '하령', '자영', '서홍' 등 3품종이 대조구인 수미보다 좋았으나, 생육후기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생육초기의 뿌리 생육은 '수미'가 좋았으나, 생육 후기로 갈수록 '자영', '서홍', '자영' 등 3품종이 크게 증가하였다. 복지생체중은 36 ~ 48.6 g 범위였으며, '서홍'>'수미'>'자영'>'홍영' 순으로 무거웠다. 특히, 괴경수는 '조원'품종이 22.4개/주로 '수미' 품종의 11.3개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따라서 가을감자 기본종 생산을 위한 분무경 재배시 적품종은 '서홍', '자영', '홍영', '조원' 등 4품종이었다.

Effects of Natural Bioactive Products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s of Panax ginseng Cultured in an Aeroponic System

  • Kim, Geum-Soog;Lee, Seung-Eun;Noh, Hyung-Jun;Kwon, Hyuck;Lee, Sung-Woo;Kim, Seung-Yu;Kim, Yong-Bum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430-44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atural bioactive products such as Manda enzyme (T1), Yangmyeongwon (T2), effective microorganisms (T3), and Kelpak (T4)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s of Panax ginseng cultured in an aeroponic system using a two-layer vertical type of nutrient bath under natural light conditions. The growth of ginseng plants showed specif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sitions in which they were cultured due to the difference of light transmittance and temperature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during aeroponic culture in a two-layer vertical type of system. The growth of the aerial part of the leaves and stems of ginseng plants cultured in the lower layer (4,000 to 6,000 lx, $23^{\circ}C$ to $26^{\circ}C$) of the nutrient bath was observed to be superior to that of the ginseng plants cultured in the upper layer (12,000 to 15,000 lx, $25^{\circ}C$ to $28^{\circ}C$). The leaf area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treatment of T2 and T4 (46.70 $cm^2$) than with other treatments. Conversely, the values of the root weight and root diameter were higher in ginseng plants cultured in the upper layer of the nutrient bath. The root weight was significantly heavier in the treatment of T4 (6.46 g) and T3 (6.26 g) than with other treatments.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in the leaves and roots was highest in the ginseng plants cultured by the treatment of T1, at 16.20%, while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obtained by other treatments decreased in the order of T4, T5 (control), T2, and T3, at 13.21%, 12.30%, 14.84%, and 14.86%, respectively.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the ginseng leav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of T1 in the lower layer of the nutrient bath, at 15.30%, while the content of the ginseng roots in the treatments of T3 and T4, at 1.27% and 1.23%, respectivel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treatments in the upper layer of the nutrient bath.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한 감자 경삽묘 육묘시 묘소질과 괴경 생산에 대한 LED 광도의 영향 (Effect of LED Light Intensity on Seedling Quality and Tuber Production of Potato Stem Cuttings Grown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조만현;함인기;박권서;조지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68-476
    • /
    • 2020
  • 본 연구는 씨감자 생산에 적합한 분무경재배용 경삽묘를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하기 위한 광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감자(Solanum tuberosum L.) '수미'와 '추백'의 경정배양묘를 순화한 다음 삽수를 채취하여 경삽하였다. 서로 다른 LED 광도(60, 120, 180, 그리고 240 μmol·m-2·s-1)에서 40일간 육묘하고, 80일간 분무경재배하였다. 1. LED 광도 60 μmol·m-2·s-1에서 경삽묘를 육묘하였을 경우 '수미' 17.3 cm, '추백' 16.1 cm로 두 품종 모두 초장이 가장 길었고, 마디수도 많았다. 광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작고 마디수도 적었다. 2. 품종에 따라 엽면적이나 SPAD 값, Fv/Fm 값은 육묘기의 광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경삽묘의 생체중은 60 μmol·m-2·s-1 광도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건전묘 생산율도 두 품종 모두 60 μmol·m-2·s-1 광도에서 가장 높았다. 3. 분무경재배에서 LED 광도 60 μmol·m-2·s-1에서 육묘한 경삽묘가 품종간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지상부 경엽중이 가장 무거웠고, 정식판 아래 경삽묘장이 가장 길고 뿌리 무게도 가장 무거웠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가벼웠다. 4. 복지수에 있어서도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우 '수미' 4.2개/주, '추백' 7.7개/주로 가장 많았다. 또한 60 μmol·m-2·s-1 광도에서 괴경수 및 총괴경중이 가장 좋았는데 광도가 높을수록 두 품종의 총괴경수와 총괴경중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무경재배용 경삽묘를 생산할 경우, 육묘에 적합한 LED 광도는 60 μmol·m-2·s-1라고 판단되었다.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Application Methods and Rhizospheric Ventilation on Vegetative Growth of Young Moth Orchids without a Potting Medium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 Min, Sang Yoon;Oh, W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45-55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Moth orchids in the vegetative stage are suitable for a multi-layer growing environment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which can be a good alternative that can reduce production costs by reducing cultivation time and energy cost per pl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rhizospheric environment for different irrigation methods without a potting medium and rhizospheric ventilation for the vegetative growth of young Phalaenopsis hybrid 'Blanc Rouge' (P. KV600 × P. Kang 1) and Phalaenopsis Queen Beer 'Mantefon'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Methods: The one-month-old clonal micropropagules with bare roots rapped with a sponges were fixed on the holes of styrofoam plates above growth beds, and were watered using the ebb-and-flow (EBB) and aeroponic (AER) methods with Ichihashi solution (0.5 strength) once a day at 06:00 (P) or 18:00 (S), and both (PS). Rhizospheric ventilation (V) was also applied to change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2 concentration of the beds. Plants potted into sphagnum moss and watered once a week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After 12 months of treatment,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EBB groups were the best among the treatment groups without a medium, but no effect of irrigation timing was observed. V reduced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2 concentration of the beds. Whereas, EBB+V (ebb-and-flow with ventilation) improved plant growth and reduced the occurrence of disorders and withering. Especially, EBB+V showed a similar performance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irrigation method without a potting medium for producing middle-aged potted moth orchids was the EBB system with forced rhizospheric ventilation.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optimal ventilation method and moisture control of the crown need to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irrigation system without a potting medium for vertical farming in closed-type plant factories.

식물공장 재배시스템에 따른 방풍나물의 생육, 비타민 C와 아미노산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Factory Cultural Systems on Growth, Vitamin C and Amino Acid Contents, and Yield in Hydroponically Grown Peucedanum japonicum)

  • 이광재;허정욱;정충렬;김현환;윤정범;김동억;남상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1-286
    • /
    • 2015
  • 본 연구는 방풍나물의 인공광 식물공장에서 재배시스템에 따른 생육, 비타민 C, 아미노산함량,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박막수경(NFT), 배지경(Perlite), 분무경(Aeroponics) 등 3처리를 하였다. 초장은 NFT 처리에서 10.2cm 가장 길었으며, Perlite 처리에서 8.9cm로 가장 짧았다. 주당 엽 생체중은 Perlite, NFT, Aeroponics순으로 무거웠다. 총 페놀 함량은 Aeroponics가 $117.84mg{\cdot}100g^{-1}\;GE$로 가장 높았고, NFT $98.57mg{\cdot}100g^{-1}\;GE$, Perlite $74.62mg{\cdot}100g^{-1}\;GE$ 순으로 재배 방법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는 Aeroponics에서만 $0.12mg{\cdot}100g^{-1}$가 검출되었으나, NFT와 Perlite 처리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비타민 C 함량은 Aeroponics가 $108.23mg{\cdot}100g^{-1}$으로 가장 높았으며, Perlite가 $88.05mg{\cdot}100g^{-1}$, NFT가 $80.83mg{\cdot}100g^{-1}$으로 처리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다.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Aeroponics가 Perlite와 NFT보다 높았다. Cystein 함량은 Aeroponics에서 $46.76mg{\cdot}100g^{-1}$로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 함량은 Perlite가 $75.64mg{\cdot}100g^{-1}$로 가장 낮았다. 무기질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K, Ca, P, Mg 순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