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design evalu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성향조절초점과 광고메시지유형의 적합성이 미용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uitability of the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the Advertising Message Type on the Evaluation of the Beauty Product)

  • 고성현;황선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2호
    • /
    • pp.1-1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uitability of the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the advertising message type on the evaluation of the beauty product. In addition, feeling right while and individual is reading an advertisement is measured to check the mechanism making the regulatory fit effect. The experimental design was designed with the mixed design of 2(chronic regulatory focus: promotion / prevention, between group) ${\times}$ 2(advertising message type: promotion /prevention, within a group). 100 female university student subjects in their twenties in Seoul an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naires in the study. The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on the collected data were done with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ory fit effect that when the individual chronic regulatory fit corresponds to the advertising message focus each other in the advertising of a new beauty product, the evaluation on the product is more positive could be checked. The promotion focus message of shampoo, the promotion focus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han the prevention focus group and as for the prevention focus message, the prevention focus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ults than the promotion focus group so that the effect of regulatory fit appeared. Second, when the regulatory fit effect appeared in the evaluation on the new beauty product, the fit effect on the individual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on the advertising message focus also appeared in the measurement of feeling right. Hence, feeling right could be checked by using the mechanism of the regulatory fit effect.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와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 Global-Mindedness and Global Fashion Brand Out-Of-Home Advertising on Brand Evaluation)

  • 김앙영;황선진
    • 복식
    • /
    • 제67권2호
    • /
    • pp.1-1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consumer global-mindedness affects global fashion out-of-home (OOH) advertising which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appl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global fashion brand OOH advertising, perceived fashion brand globalnes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repu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38 general people in 20~30s in seoul and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d modelling by running both SPSS 18.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ndicated that the fit indexes were satisfied and the overall model of this study showed a favorable goodness of it from the results of confirmatory analysis. Secondly, consumer global-minded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preference towards global fashion OOH advertising. Finally, preference towards global fashion brand OOH advertising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fashion brand globalness, perceived quality and fashion brand reputation. The result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hat fashion brands fully understand consumers' tendency and the benefits of marketing can be maximized through global positioning OOH advertising on subways which makes consumers recognize fashion brands as global ones.

한국 광고디자이너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nmining Factors of Korean Advertising Designer's Job Satisfaction)

  • 정무환;주지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37-346
    • /
    • 2004
  • 일반적으로 직무만족은 종업원의 생산성과 연관된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광고디자이너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광고디자이너의 조직심리 또는 조직형태를 학문적으로 다룰 필요성이 있는 현실 속에서, 이 연구는 광고대행사에 조직관리차원의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자들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직무만족은 크게 개인적인 요소와 조직차원의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직무만족에는 개인적 성향 보다 조직적 요인인 승진과 보수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보다 승진에 더 크게 영양을 받고, 상사나 동료의 인정, 공간의 쾌적함이나 휴가활용 등과 관련 있는 업무환경의 영향력이 컸다. 이를 종합하여 광고디자이너는 이 직무만족결정요인에 대한 최종 모델을 마들어 본 결과 보수, 승진, 및 대인관계가 광고디자이너의 직무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일반적인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은, 대행사가 디자이너의 고유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다른 조직원들과 동일한 직무환경과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디자이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광고대행사가 보수와 평가 등에서 광고디자이너의 고유한 특성과 정체성을 잘 반영하는 합리적인 인사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상승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PDF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패션필름 유형에 따른 소비자 인식차이 (Consumer's Perception of Types of Fashion Film)

  • 안상아;신미혜;이현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45-559
    • /
    • 2015
  •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nsumer responses to different types of fashion film used in national women's wear brands.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women's wear fashion brand based on the 2012/2013 fashion brand yearbook. Three types of fashion film (Wearing Apparel Products, Brand Advertising and Storytelling were used as stimuli for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224 data gather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ypes of fashion film in regards to film attitude, product evaluation, creativity, information literacy, re-watching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variable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Brand Advertising type received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in many aspects. Especially, the Storytelling type received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in creativity. Wearing Apparel Products type gained high points in information literacy. The present study helps brand managers determine a fashion film that best suits each brand characteristics.

전통재래시장 옥외광고물의 디자인 형태에 따른 영향 (The Effect of the Design Type of Outdoor Advertising Signboard in Traditional Markets)

  • 이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20-527
    • /
    • 2021
  • 본 연구는 전통재래시장의 획일적인 옥외광고물의 소재, 형태, 디자인으로 인한 낮은 실용성에 주목하고 이를 높이기 위하여 옥외광고물의 부착형태에 따른 실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요인분석, 계층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한다. 가설1. 전통재래시장 옥외광고물의 평가요소(가독성, 조형성, 상징성)는 실용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전통재래시장 옥외광고물의 부착형태(돌출형, 벽면형)는 각각의 평가요소가 실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연구결과, 전통재래시장 옥외광고물의 가독성과 조형성은 실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돌출형 옥외광고물의 크기, 색채, 폰트, 레이아웃 등이 적당하여 읽기 쉬워야 하며 형태의 균형과 조화가 좋으면 좋을수록 더욱 실용성은 높아질 것이다.

시각디자인에 나타난 인간의 사회화과정의 심리요인에 관한 연구 - 1994-2003년의 인쇄매체광고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Human Socialization in Visual Design - Focused on the printed media advertisements from 1994 to 2003 -)

  • 오근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79-90
    • /
    • 2005
  • 본 연구는 인간의 상호관계성 혹은 인간의 사회화과정이 오늘날의 시각디자인에 어떻게 관여되고 있는가를 사회학적, 심리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규명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먼저 인간의 사회화에 대한 생리학과 철학, 그리고 심리학적인 근거를 고찰하였고 이들이 시각디자인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어낸 인간의 사회화과정의 심리요인은 성적쾌락추구를 비롯하여 11개로 정리되었고, 이를 도구 삼아 1994년부터 2003년까지 대한민국광고대상 수상작 40편의 인쇄매체광고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생물학적인 기초로서의 적응가치와 문화적 각인항에 사례의 대부분이 반응하고 있었음이 발견되었고, 광고가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존립근거로는 사회적 불안심리로서의 상호불신과 대가행렬에 바탕을 두고 있었음이 발견되었다. 이는 앞으로의 광고 역시 오늘날과 같은 존재이유를 지니는 한, 적응가치, 문화적 각인, 사회학습, 모방학습 등에 기초할 수밖에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비쥬얼 이미지 정보의 점화효과에 따른 디자인 적용방안 - 상업용 웹사이트 배경화면 디자인을 중심으로 - (Design Applications Caused by Priming Effects of Visual Image Information - Based on Background Designs for Commercial Web Site)

  • 김은영;류시천;이진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3-280
    • /
    • 2003
  • 점화효과(Priming Effect)라 함은 상황효과(Contextual Effect)의 일부로서 "앞서 본 정보에 의해 뒤에 나오는 제품정보의 해석이 영향을 받게되어 제품평가가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점화효과가 다른 상황효과와 구별되는 점은 앞서나온 정보가 제품의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제품정보의 해석에 영향을 미침으로 인해 제품평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점화효과의 개념을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온라인 쇼핑몰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이미지들이 제품의 선호도와 선택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파악하였다. 디지털카메라를 대상제품으로 '가격과 '크기'에 관한 속성을 점화시킨 웹 페이지를 각각 설계하여 제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점화된 속성에 따른 제품의 선호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업용 웹 페이지의 배경화면이 제품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이러한 점화효과를 디자인과 접목시켜 온라인상의 광고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있기를 기대해본다.

  • PDF

관광호텔 메뉴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u Evaluation Mode1 in the Hotel)

  • 엄영호;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07-328
    • /
    • 2000
  • Menu is regarded as the main factor for management of hotel and restaurant. Menu design was affected by many factors, but there are some item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or development of menu, such as a good understandings of consumers' demand. considering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establishing of the exact target, and careful thinking of a unit cost. At las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careful evaluation of developed menu and it have to be continuously reformed by feed back of these factors. Food service industries should create an independent menu(including restaurant layout, consumer level, marketing and advertising) rather than copying other restaurant' menu. Also. we have to design an efficient menu with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best of menu.

  • PDF

가상현실 광고에서 프레즌슨(Presence)과 플로우(Flow)에 대한 영향 연구 : 기억정보와 광고태도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Presence and Flow in VR Advertising: Focused Memory Information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한광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78-285
    • /
    • 2022
  • 본 연구는 VR 광고에서 현준감과 플로우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기억정보의 유형인 속성 관련 기억정보와 종합적인 평가적 기억정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실험은 3X2 피험자간 요인설계로 진행되었다.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VR영상으로 진행되었고 143명의 피험자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감정적 현존감이 가장 높을 때 광고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또한 인지적 현존감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은 플로우가 높을 때 제품 속성 정보 등의 ARM이 증가하였고 플로우 수준이 낮을 때는 GRM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우가 높을 때는 GRM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플로우가 낮을 때는 ARM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가상현실 광고는 기존의 광고로 브랜드 현존하는 브랜도여서 사전태도가 연구 결과의 가외 변인으로 작용되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가상의 브랜드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Multimodal Discourse: A Visual Design Analysis of Two Advertising Images

  • Ly, Tan Hai;Jung, Chae K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2호
    • /
    • pp.50-56
    • /
    • 2015
  • The area of discourse analysis has long neglected the value of images as a semiotic resource in communi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like language, images are rich in meaning potential and are governed by visual grammar structures which can be utilized to decode the meanings of images. Employing a theoretical framework in visual communication, two digital images are examined for their representational and interactive dimensions and the dimensions' relation to the magazine advertisement genre. The results show that the framework identified narrative and conceptual processes,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viewers, and symbolic attributes of the images, which all contribute to the soci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images. The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viewers and participants suggested in the images signify desirable qualities that may be associated to the product of the advertiser. The findings support the theory of visual grammar and highlight the potential of images to convey multi-layered mea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