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ement acceptance attitud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의류광고에 대한 평가, 유행몰입 및 사회적 태도에 관한 연구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 김효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43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1)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2) examine how evaluation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vary according to gender, and (3) investigate the possible differences in purchase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d apparels according to gender and advertisement slogan. Questionnaire for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was comprised of four sections;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d apparels, and perception of effective media for apparel advertising. For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5 sets of apparel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Each set had two advertisements; one advertisement contained an image-oriented slogan, while the other had a quality-oriented slogan. "The Social Attitude Scale' by Kerlinger and 'Fashion Involvement Index' by Tigert, Ring & King were used. All the items were selected on th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The subjects were 217 college male and famale students in Seoul; 60 were asked about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image-oriented slogan, 60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quality-oriented slogan, and 97 all the items included in evaluation of the two sloga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X2-test, t-test,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1. Fashion involvemen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The higher the level of conservative attitude males had,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d in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Subjects high in conservative attitude,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Subjects high in conservative attitude,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had more positive in purchase of the advertised apparels. 2. Females high in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ere more favorable toward image-oriented advertisements. 3.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Liberal att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gender. 4. Males perceived 'TV' was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apparel advertising while females perceived 'display' was the most effective. 5.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advertisement slogan and gender were found in purchase attitude of the advertising apparels. 6.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as influenced by fashion involvement, social attitude, and sex.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ree variables was 17%.

  • PDF

모바일 증강현실 광고의 맥락특성에 따른 수용자 반응 (A study on Consumer's Reaction to User Context Characteristics in AR Advertisement)

  • 조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84-92
    • /
    • 2015
  • 증강현실을 이용한 광고 시장은 최근 LBS(location based services, 위치기반 서비스)와 결합함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 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통해 모바일 증강현실 광고의 효과 및 수용의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외부 영향변인으로 증강현실 광고의 특성인 '맥락 특성'을 선정하고 기술수용모델의 핵심적인 변인이 되는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 그리고 광고태도와 광고수용의도를 기술수용과정의 중요단서로 채택하였다. 또한 각 단서들 사이의 관계도 검증하였다. 증강현실 광고의 수용 모델에 대한 외부 영향을 검증한 결과, 증강현실 광고의 맥락특성이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광고태도 및 광고 수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 Focusing on the Consumption of Digital Products by MZ Generation

  • Jae-Woo Lee;Chang-Bae K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75-8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광고 수용태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디지털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MZ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와 광고 수용태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소비가치 중 진귀적가치와 감정적가치 요인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3. 광고 수용태도 중 광고호의, 정보신뢰와 부정적 인지 등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제품에 대한 정보와 관심을 포함한 광고 콘텐츠 제공은 유연소비와 미닝아웃 소비의 특징을 나타내는 MZ세대의 마케팅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바일 광고플랫폼의 광고효과 연구: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bile Advertising Platform through Big Data Analytics: Focusing on Advertising, and Media Characteristics)

  • 배성덕;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37-57
    • /
    • 2018
  •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에 힘입어 유용한 광고 매체로서 모바일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모바일 미디어는 소비자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광고매체들과는 차별화된 장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 동안 모바일 광고 연구들은 모바일 광고에 대한 만족도, 수용도 등을 서베이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와 모바일 광고 메시지 수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적으로 탐구한 연구, 실험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광고가 브랜드 회상,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실증데이터를 통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서비스 중인 모바일 광고플랫폼을 기반으로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광고주, 광고플랫폼, 퍼블리셔 관점에서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정의하고 각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바일 광고의 광고특성인 광고규격과 쾌락적, 실용적으로 구별한 매체 특성이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바일 광고 업무 시 광고상품에 맞는 광고소재 제작 및 매체계획 등 광고효과에 최적화된 광고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 프리롤 광고의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유튜브 이용 동기 및 이용강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about Advertising Acceptance Attitudes of YouTube Pre-Roll Advertising: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YouTube Use Motivation and Use Intensity)

  • 김화동;염동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06-114
    • /
    • 2022
  • 본 연구는 유튜브 이용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유튜브의 이용동기와 이용강도에 따라 프리롤 광고의 수용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200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튜브 이용동기에 따른 광고의 긍정적인 태도는 정체성 표현 추구 집단이 습관적 이용 집단이나 여유 및 즐거움 추구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행동은 여유 및 즐거움 추구 집단이 정체성 표현 추구 집단이나 습관적 이용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튜브 이용강도에 따른 광고의 긍정적인 태도는 이용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욱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에 대한 회피행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튜브 프리롤 광고를 집행하는 데 있어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와 이용강도에 따른 이용행태를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A Study on Consumer's Response for Post-modernism Fashion Advertisement)

  • 원을지;이선재
    • 복식
    • /
    • 제46권
    • /
    • pp.187-207
    • /
    • 1999
  • The fashion advertisement i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clothing and consumer. The development of mass communication accelerated that In modern society Post-modernism advertisement is a specialized and separated from so it confuses the consumers who are used in traditional AD. The peculiarities (non-form, destruction of description, compound of genre, mixing of reality and fiction) are more reflected in fashion advertisement. The sample consisted of 425 mail and fema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calculation Close tabs T-Test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Chi-square Test,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ost-modernism fashion ad is the separated and reflected from for young age's favorite. By the factor analysis of consumer response in each 5 emotional factors proved to be valid ones(fine, negative, sexual, stimulative, constructive aspects.) The fin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factors are very concerned with the consumer's favorite attitude of fashion a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job but sex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ad expression consumer's acceptance is difference in sex. There were no significant concern with excess effects and purchase intend in fashion advertisement.

  • PDF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에 대한 입원환자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by Inpatients in Pusan)

  • 김정순;고영희;김대숙;김정화;신재신;이길자;정인숙;황선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20-626
    • /
    • 2001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inpatients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in relation to the opening of the Home Care Department in P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returned by 293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P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 to May 15, 2001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Fisher exact test. Results: In regard to the previous information about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55.6% of the inpatients heard about the name through the advertisement in the hospital. the mass communication, and from acquaintances. The percentage of right answers regarding the knowledge of home health care program was 43.9%. In regard to the acceptance of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97.1 % of patients agre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home care program. The reasons for acceptance were: the maintenance of the continuity of care, the alleviation of the family burden of time. Conclusion: For the stabilization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home health care system, it should be accompanied not only by advertisement but also education for patients about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and a post-evaluative study after the implementation.

  • PDF

중학교 식생활단원 교육이 TV식품광고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tion-Related Education on the Acceptance of TV Food Advertis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 고혜란;박명순;송미영;이정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8-115
    • /
    • 200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bout general nutrition knowledge on the acceptance of TV food advertisements in adolescents. Twenty hours of nutrition related education in home economics classes were done during 3 months, to conveniently selected 784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large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of Chungnam Province. The education effects were evalua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nd their comparative analysis. Average TV watching time was $29.2\pm1.16$ hours per day, which was about one hour longer on weekends. Nearly half of the subjects watched TV mainly after 9 PM. After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total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7.73\pm2.16$ to $10.25\pm2.51$ with a full score of 16. Food attitude and food habit score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2.45\pm4.65$ (full score 50) to $33.93\pm4.68$ and from $36.20\pm5.70$ to $37.29\pm5.87$, respectively. The general acceptance of TV food advertisements scored $25.25\pm4.44$ (full score 40) before education and $26.90\pm4.55$ after education, which was significantly raised by the education. Acceptance scores of TV food advertisem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s, and food habits. In addition, TV watching time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s, and food habits scores, but not with acceptance score of TV food advertisements.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school-based nutrition education improved slightly but significantly the attitude of accepting TV food advertisements maybe through increasing nutrition knowledge and making food attitudes and habits better.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the evaluation and acceptance of food advertisements are further needed to improve the TV food advertisement acceptance of adolescents.

브랜드 친숙도에 따른 광고 수용성이 모방 용이성과 모바일 간편결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vertisement acceptance according to brand familiarity on ease of imi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mobile payment)

  • 김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8-58
    • /
    • 2019
  • 최근 IT 기술을 기반으로 이미 브랜드 친숙도를 갖춘 기업들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금융거래의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도입기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광고 관련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브랜드 친숙도가 광고태도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친숙도가 높은 기업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가 광고 수용성을 통해 서비스를 쉽게 모방하고 사용의도를 가질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친숙도가 높은 브랜드의 광고는 새로운 서비스를 더욱 쉽게 모방하고자 하는 동기부여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에서도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수록 광고를 효율적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략적 광고수행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모바일 광고 수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Behavior for mobile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 김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49-161
    • /
    • 2016
  •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 이용의도 그리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서 입증된 변인들 외에 모바일 광고의 독특한 특성인 개인화, 사전동의, 보상을 새로운 변인으로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오락성, 정보성 신뢰성, 개인화, 사전동의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가심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은 모바일 광고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는 이용의도에 이용의도는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속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모바일 광고 집행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남녀 소비자집단의 근본적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