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연성 뇌병증을 보인 일산화탄소 중독 1례 (A Case of Delayed Carbon Monoxide Encephalopathy)

  • 윤성현;정현민;강환석;김지혜;한승백;김준식;백진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5
    • /
    • 2013
  • Following are brief statements about the delayed encephalopathy of a patient who recovered without disturbance of consciousness after acute carbon monoxide poisoning. A 72-year-old male was found without consciousness at home and then visited the ER center. Later we learned that the patient was using briquettes as a household heating source. Blood carbon monoxide hemoglobin level was 17.5%. As carbon monoxide poisoning was uncertain after the first interview with the patient, hyperbaric oxygen therapy was not administered at the early stage. After supplying 100% oxygen, the patient recovered consciousness, however, the strength of the lower limb muscle had decreased to class II. The patient showed continued weakening of the lower limb muscle and an increase of CPK; therefore, he was diagnosed as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and rhabdomyolysis and then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for conservative treatment.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continued weakening of the lower limb muscle was observed and he was diagnosed as myopathy after EMG/MCV. However, he suddenly showed altered mentality on the 20th day of hospitalization, and underwent brain MRI. T2 weighted MRI showed typically high signal intensity of both globus pallidus and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therefore, he was diagnosed as delayed carbon monoxide encephalopathy. This case showed delayed encephalopathy accompanied by rhabdomyolysis and myopathy of a patient who recovered without disturbance of consciousness.

  • PDF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들에서 흡연과 지연성 신경정신과학적 후유증 발생의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layed Neuropsychological Sequelae in Acute Carbon Monoxide Poisoning)

  • 김학면;최성우;나상운;최효정;임훈;김기운;한상수;이영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2-10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layed neuropsychological sequelae (DNS) in acute carbon monoxide (CO) poisoning. Methods: Patients admitted to the medical center emergency department from March 2016 to March 2017 because of CO poisoning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NS and Non-DNS group. Multiple factors were analyzed to explain DNS, which was assessed by motor disturbances, cognitive impairment, dysphagia, Parkinson-like syndromes, epilepsy, and emotional lability in CO poisoning. Results: A total of 120 patients were included. The factors related to DNS were smoking (pack-years) (p=0.002) and initial carbon monoxide-hemoglobin level (p=0.015). On the other hand, after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moking (Odds ratio 1.07; 95% CI, 1.02-1.13; p=0.004) was the only factor associated with DNS. Conclusion: Smoking is a very reliable factor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NS. A history of smoking in patients who suffer from CO intoxication is important. If a patient smokes, treatment should be started actively and as soon as possible.

일산화탄소가 뇌내 신경전달물질 및 그 합성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n Monoxide on the Monoamine Neurotansmitter and Synthetic Enzyme in Rat Brains)

  • 윤재순
    • 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84-394
    • /
    • 1990
  • We studied the effect of carbon monoxide(CO)-induced bypoxia on monoamine neurotransmitter and their syntheitc enzyme in rat brain. When the rats were acute or chronic intoxicated at CO 5000 ppm for 30 minutes or 2000 ppm for 1 week each 3 hours, dopamine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decreasing of its turnover in striatum and norepinephrine content was diminished in hypothalamus. 5-hydroxytryptamine conten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its turnover was decreased both in striatum and hypothalamus.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was reduced in striat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TH activity in CO-induced hypoxia is owing to lack of oxygen supply threfore NE content is decreased. We suggest that increasing of dopamine and 5-hydroxytryptamine are due to reduction of its turnover.

  • PDF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원주시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약물중독과 이물질섭취 환아의 비교분석 (Clinical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and foreign body ingestion in Wonju: comparison between the 1990s and the 2000s)

  • 엄주필;서진석;김황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2호
    • /
    • pp.138-142
    • /
    • 2007
  • 목 적: 본 연구는 1990년대와 2000년대의 급성 약물 중독과 이물질 섭취로 내원한 환자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 법: 1991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와 2001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원주기독병원 소아과에 급성 약물 중독으로 입원한 환아와 이물질 섭취로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의무기록을 기초로 하여 후향적 조사를 하였으며, 10년간의 시간의 차이에 따라 약물과 이물질의 종류, 연령별 빈도, 성별 빈도, 재원일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 약물 중독은 1990년대에는 43례, 2000년대 35례였고, 이물질 섭취 환아는 1990년대 47례, 2000년대 22례 였다. 이물질 섭취의 종류로는 1990년대의 경우, 동전(46.8%), 기타(31.9%), 바둑알(14.9%), 플라스틱 장난감(6.4%) 순이었으며, 2000년대의 경우, 기타(58.2%), 수은건전지(23.8%), 못(9%), 핀(9%) 순이었다. 중독 유발 약물의 종류로는 1990년대의 경우, 의약품(37.2%), 기타(23.2%), 농약(13.9%), 일산화탄소(11.6%), 살서제(9.3%), 살충제(9.3%) 순이였고, 2000년대의 경우, 기타(34.3%), 의약품(31.4%), 농약(20%), 세척제(11.4%), 살충제(2.9%), 일산화탄소(2.9%) 순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이물질 섭취의 경우, 1990년대에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연령대는 1-3세로 46.8%였고, 2000년대 역시 1-3세에서 40.9%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약물 중독의 경우, 1990년대에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연령대는 1-3세로 55.8%였으며, 2000년대 역시 1-3세(54.3%)이었다.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장애를 남긴 경우는 이물질 섭취의 경우, 1990년대 콩의 섭취중 기관지로의 흡입에 의한 사망 1례, 2000년대 옥수수알 흡입에 의한 사망 1례가 있었고, 약물중독의 경우, 1990년대 농약(paraquat계)중독에 의한 사망 1례와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저산소성뇌증과 편측사지마비를 보인 경우가 1례 있었고, 2000년대 농약(paraquat계)중독에 의한 사망 1례 있었다. 결 론: 급성약물중독과 이물질섭취 모두 1-3세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이 연령대의 소아에게 특히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섭취된 약물과 이물질의 종류도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 후 해마에서 Parvalbumin 양성 중간뉴론의 변화에 대한 N-acetylcystein의 효과 (Effects of N-acetylcystein on changes in parvalbumin-positive interneurons in the hippocampus after carbon monoxide poisoning)

  • 김선태;유수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0-109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N-acetylcysteine (NAC) on the injury of putative parvalbumin positive interneurons defined by molecular marker and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LTP), a marker of neural plasticity following acute carbon monoxide (CO) poisoning. Methods: Adult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1100 ppm CO for 40 minutes followed by 3000 ppm CO for 20 minutes. Animals received dail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NAC (150 mg/kg) for 5 days after CO exposure. Changes in learning and spatial memory were evaluated by Y-maze test 5 days after the poisoning. In vivo LTP in hippocampal CA1 area was evaluated by using extracellular electrophysiological techniqu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adopted to observe expressional damages of parvalbumin (PV) immunoreactive interneurons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the poisoning. Results: Acute CO intoxication resulted in no changes in memory performance at Y-maze test but a significant reduction of LTP in the in hippocampal CA1 area.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duction of PV (+) interneurons in the hippocampal CA1 area 5 days after CO poisoning. Daily treatment of NAC significantly improved hippocampal LTP impairment and reduced immunoreactivity for PV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the acute CO poiso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duction of hippocampal LTP and PV (+) interneurons in the hippocampus is sensitive indicator for brain injury and daily NAC injections can be the alternative therapeutics for the injury induced by acute CO poisoning.

대기오염과 이비인후과 (Air Pollution and Its Effects on E.N.T. Field)

  • 박인용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2년도 춘계종합 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
    • /
    • 1972
  •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경제의 급격한 발전으로 이에 부수적으로 일어나는 대기오염은 생활환경을 파괴하는 오염형태의 하나로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인체에 미치는 피해는 격심하여가고 있으며 이것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병리나 임상적으로는 많은 연구보고가 있으나 호흡기로의 기시부인 비강이나 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보고는 많지 않은 실정인 차제에 대기오염과 비, 인후질환자의 관계를 추구하여 그 대책을 논하는 것은 의의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연세의대 공해연구소의 대기오염도조사에서 가장 심한 곳으로 확인된 부산시 우암동 지역에 위치한 S 공업고등학교 학생 469명은 조사군으로 하고 대기오염도가 낮은 K고등학교 학생 345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내과, 안과, 비, 인후과적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성적과 그 외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I. 위해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은 자극성가스와 질식성가스로 구분되며 이비인후과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자극성 가스이며 여기에는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탄화수소와 그리고 광합성작용에 의하여 2차적으로 발생하는 강력한 자극성물질인 PAN(Peroxy acyl nitrate)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이들 가스는 산화성이 강하기 때문에 점막이 부착되어 괴양 및 2차감염을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준다. 이리한 오염물질은 고체연료(특히 석탄)나 액체연료의 불완전 연소때와 각종 차량의 배기가스로서 배출된다. 대표적인 오염물질인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및 유황산화물의 조사지역과 대조지역의 오염도는 다음과 같다. II. 인체에 미치는 피해 1. 일반적인 피해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오염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상 및 오염물질의 농도, 양, 그리고 폭로기간 등에 따라 다르다. 각 오염물질별 건강피해를 보면 (1) $아황산가스(SO_2)$ 아황산가스는 오염물질 중 가장 대표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용해도가 높아서 기도에 용이하게 흡수되어 처음에는 자극증상이 오고 나중에는 기도 저항을 일으켜 폐부종, 호흡중추의 마비를 일으킨다. 만성 폭로 시에는 비염, 인루염, 후각 및 미각장해를 일으킨다. (2) 일산화탄소(CO) CO는 혈색소의 산소운반 능력을 박탈하기 때물에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즉 CO 중독은 농도와 흡입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우선 두통, 현기, 오심, 구토, 이명이 오고 호흡곤란, 허탈상태, 근육이완, 졸도등을 수반하고 혼수상태에서 사망한다. (3) 질소산화물 여러 질소산화물중 배기가스에서는 $NO_2로$ 배출되며 또한 탄화수소와 태양광선이 대기중에서 작용하여 $NO_2를$ 생산하며 $NO_2는$ 변성 Hemoglobin 을 생성하여 호흡기 장해를 일으킨다. $NO_2의$ 급성 중독증상으로서는 눈, 코를 강하게 자극하고 폐충혈, 폐수종, 기관지염, 폐염 등을 일으킨다. 만성 중독시에는 만성폐섬유와 및 폐수종을 일으킨다. (4) $오존(O_3)$ Ozone은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NO_2$ gas 및 탄화수소와 작용하여, PAN이라는 자극성 물질을 생성시키는 광학적 Smog의 주요소로 알려져 있다. 자극적인 냄새가 있음으로 불쾌감을 주고 비, 인후점막의 전조감과 두통이 오며 폐기능을 저하시키며 더욱 진행되면 폐충혈, 폐수종 등을 일으킨다 (5) Smog에 의한 건강피해 대표적인 것이 1952.12.5~12.8까지 4일간 영국 Lon-don에서 계속된 Smog사건이며,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호흡기질환 사망율이 사건전보다 사건기간 중 혹은 사건후에 5~10배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때 Smog의 주원인은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연기와 이때 발생하는 아황산가스가 주원인이며 dust가 2차적 원인이라고 생각하였다. 새로운 종류의 공해로서 광학적 Smog에 의한 피해가 1970. 7. 18 Tokyo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바 운동장에서 운동 중이던 여학생 43명이 눈에 대한 자극증상, 인후동통, 기침을 호소하고 그중에는 호흡곤란으로 의식불명에 빠진 학생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기중에 배출된 탄화수소와 oxidant가 대기중의 광 energy와 결합하여 발생한 것이라 하였다. 2) 비, 인후과 질환 대조군 345명과 조사군 469명중 호흡기계, 안과 및 비, 인두의 자각증상의 유소견자는 각각 39명(11.3%)와 106명(22.6%)로서 조사군이 대조군 보다 약 2배 많았다. 조사군의 유소견자중 호흡기증상 29명(29%), 안증상 22명(21%), 비폐쇠 및 비후 50명(47%), 인후통 5명(5%)으로서 비, 인두 자각증상의 유소견자가 55명(52%)으로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임상검사에 의한 타각증상의 유소견자는 대조군 99명 (28.8), 조사군 180(384%)으로서 조사군이 대조군 보다 10%정도 많았다. 조사군의 유소견자중 호흡기질환 1명(0.6%), 안질환 8명(4.4%), 비염 97명(54%), 인두편도염 74명(41%)으로서 비, 인두질환이 171명이었다. 이상의 성적에서 오염지구의 자, 타각증상의 유소견자중 비, 인두질환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대기오염과 이비인후과 질환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앞으로 그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