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검색결과 3,083건 처리시간 0.024초

염, 당, 산 침지조건에서 심황색소의 추출특성 및 화학적 특성 변화 (Extraction properties and chemical stability of turmeric pigments in salt, sucrose, and acetic acid preservation)

  • 강스미;성연경;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9-2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염, 당, 초산에 의한 가공, 저장, 조리 방법을 적용하여 NaCl, sucrose 및 acetic acid 등 3가지 용액에 강황을 침지시켜 추출물의 화학적 특성 및 쿠쿠미노이드 성분의 추출 정도를 분석하였다. NaCl (0-20%), sucrose (0-25%) 및 acetic acid (0-12%) 용액에서 강황분말을 3일간 침지한 결과, 단백질과 폴리페놀의 용출량, 용출액의 산화방지 효과는 물 추출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acetic acid (12%) 용액에서 황색도와 쿠쿠미노이드 색소의 추출량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각 침지용매에 심황색소를 분산시켜 쿠쿠미노이드 성분의 화학안정성과 분산안정성 등을 분석하였다. 심황색소의 잔류량은 NaCl (20%)에서 20%정도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sucrose (25%)와 acetic acid (12%) 침지액에서는 각각 88.6, 91.6%가 유지되었다. 심황색소의 sucrose 침지액 상에서는 저장시간과 sucrose 농도에 따라 H2O2의 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각 침지용매 상에서 분산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NaCl 농도의 증가에 따라 심황색소의 용해도가 감소하였으나, sucrose와 acetic acid 상에서는 이들의 농도 증가에 따라 심황색소 용액의 분산 안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NaCl, sucrose 및 acetic acid 용매에서 심황색소의 화학안정성과 분산안정성의 화학적 행태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며, 이러한 성질이 해당 용매를 이용한 강황의 가공, 저장, 조리 등의 처리에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막걸리 종초 제조에 적합한 초산균의 분리 및 발효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roducing "Makgeolli Seed-Vinegar")

  • 이혜빈;오현화;정도연;전현일;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16-1224
    • /
    • 2017
  • 자연발효식초로부터 acet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10종의 균주를 분리한 후 에탄올 저항성과 아황산 저항성을 평가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균주를 동정한 다음 명명하였다. 분리 동정된 10종의 균주 중 식품원료 사용 가능 균주인 Acetobacter pasteurianus는 8종으로 확인되었다. A. pasteurianus 8종 중 에탄올 저항성이 우수한 JAC002, JAC005, JAC008의 세 균주를 이용하여 막걸리 종초를 제조하였다. 진탕배양($30^{\circ}C$, 120 rpm) 조건에서 2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막걸리 종초의 이화학적 특성, 유리당과 유기산의 변화,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선발 균주 중 A. pasteurianus JAC002 균주는 발효 20일 경과 후 총산도 4.21%, acetic acid 함량 3,791.77 mg%, 에탄올 소모량 2,931.78 mg%로 대조구나 다른 초산균에 비해 에탄올의 acetic acid 전환능이 우수하였다. 식품유해 지표균인 Staphylococcus aureus(KACC1927)와 Escherichia coli(KACC 10115)에 대한 항균 활성은 A. pasteurianus JAC002 균주가 접종된 막걸리 종초의 발효기간이 20일까지 경과했을 때 acetic acid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A. pasteurianus JAC002 균주를 막걸리 종초 제조를 위한 종균으로 사용하였을 때 acetic acid 생성능이 우수하여 우점화가 유리하며 에탄올로부터 acetic acid로의 전환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막걸리 종초를 사용하여 다양한 원료의 식초를 제조한다면 식초의 풍미를 유지하면서 기능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밤나무흑벌의 변태에 따른 지방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ty Acids during Metamorphosis of Chestnut Gall Wasp)

  • 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18
    • /
    • 1965
  • Fatty acid components of the Chestnut gall wasp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gas chromatogrphy at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1. The fatty acids identified at each stage are as follows : Larva stage : acetic acid , benzoic acid and capric acid. Prepupa stage : acetic acid, benzoic acid and capric acid. Pupa stage : acetic acid, benzoic acid and capric acid. 2.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wasp, there were large amount of acetic acid.

  • PDF

2-치환-1-Cyclohexenyl-1-acetic acid의 브롬락톤화 반응 (Bromolactonization of 2-Substituted-1-Cyclohexenyl-1-acetic acid)

  • 주상섭
    • 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6-210
    • /
    • 1989
  • Bromolactonization of 2-Substituted-1-cyclohexenyl-1-acetic acid (1) with 1,3-dibromo-5,5-dimethylhydantoin (dibromantin) in N,N-dimethylformamide gave the corresponding ${\gamma}-bromo-{\beta}-lactone$ (2) and ${\beta}-bromo-{\gamma}-lactone$ (3). The effect of the substituents,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solvent on the regioselectivity was discussed.

  • PDF

W/O 에멀젼의 주요 구성 성분들이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에 있는 초산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in Constituents of W/O Emulsion on Removal of Acetic Acid in a Simulated Hemicellulosic Hydrolysate)

  • 임성진;이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789-795
    • /
    • 2014
  • 초산은 묽은 산에 의해 처리되어 얻어진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 중 가장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중대한 에탄올 발효 저해물질이다. 그 가수분해액으로부터 초산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데 최적인 분리시스템을 찾기 위하여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으로 자일로스, 초산과 황산의 혼합물이 선택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에멀젼형 액막법이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초산을 제거하는데 적용되었다. W/O 에멀젼의 주요 구성 성분들, 즉 아민계 추출제 종류, 계면활성제 조성, 첨가제 종류와 회수제의 종류 및 농도가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에 있는 초산, 자일로스와 황산의 추출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특별한 실험 조건에서, 초산의 추출율은 95% 이상이었고, 자일로스의 손실은 미미하였는데, 이것은 현 에멀젼형 액막법이 경제성이 높은 공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다래 식초 초산발효조건 및 올리고당 첨가의 영향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Kiwi Vinegar)

  • 우승미;김옥미;최인욱;김윤숙;최희돈;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0-1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참다래 식초 개발을 위하여 초산발효 조건 및 올리고당 첨가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기알코올 농도 6%, 초기산도 1%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켰을 때 총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 첨가에 따른 영향에서 총산은 올리고당 15% 첨가구에서 5.03%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참다래 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maltose가 확인되었으며 총 유리당은 올리고당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은malic, lactic, acetic, citric 및 succin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올리고당 1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 첨가량에 따른 무기질 함량은 올리고당 첨가량이 높을수록 무기질함량이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올리고당 첨가는 참다래 초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단맛을 고려할 때 약 15% 첨가가 적당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재래식과 개량식 발효식품의 유기산 분포 (Distribution of Organic Acids in Traditional and Modified Fermented Foods)

  • 오금순;강길진;홍영표;안영순;이향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177-1185
    • /
    • 2003
  • 전통발효식품(간장 및 된장, 고추장, 감식초 등)중에 재래식과 개량식 제품의 맛과 향에 기인하는 유기산의 분포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아울러 식품공전에 보존료로 고시되어 있는 propionic acid가 발효과정 중에 생성됨에 따라 그 분포정도를 알고자 하였다 재래식 간장에서는 citric acid, formic acid, oxalic acid, propionic acid가, 개량식에서는 acetic acid와 lactic acid가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propion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재래식 및 개량식 된장 모두 유사한 분포양상을 보였으며, 재래식에서는 개량식 보다 citric acid와 succinic acid를 제외하고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다. 고추장의 경우 재래식이 개량식보다 citr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lactic acid가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고, 그 외 다른 유기산들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재래식에서는 Propionic acid가 검출된 반면 개량식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 양조식초에서는 acet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고 미량의 form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감식초의 경우 acetic acid, lactic acid, propionic acid가 검 출되었다. 감식초중 flavonoid계 인 tannic acid 함량은 다소 제품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그 범위는 366.9 ∼ 909.8 mg%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재래식 발효식품과 개량식 발효식품의 유기산 분포는 그 함량이 서로 달랐으며, 특히 보존료로 사용되고 있는 propionic acid는 된장을 제외한 재래식 발효식품에서 생성되었고, 개량식 발효식품에서는 생성되지 않았다. 또한 식초의 경우 감식초에서만 검출되었다.

유기산 및 초음파 병용처리된 전해수를 이용한 들깻잎 중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의 저감효과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Combined with Ultrasound and Organic Acids to Reduce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on Perilla Leaves)

  • 김세리;오기원;이명희;정찬식;이서현;박선자;박정현;류경열;김병석;김두호;윤종철;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4-270
    • /
    • 2012
  • 본 연구는 들깻잎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해수의 세척 효과를 검정하고 아울러 전해수와 유기산, 초음파 병용처리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병용처리할 유기산을 선정하기 위하여 acet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를 전해수 100 ppm에 2%씩 첨가하고 약 8.0 log CFU/mL 의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와 반응시켰다. 세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상승효과가 가장 높아 첨가 농도별 저해 효과를 분석하고자 0.5, 1.0, 1.5, 2.0%씩 100 ppm 전해수에 첨가하고 배양액과 들깻잎표면에서 식중독세균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100 ppm 전해수와 초음파 (25 KHz), 100 ppm 전해수, 0.5% acetic acid, 초음파를 병용처리를 하였다. 세 종류의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상승효과가 가장 탁월하였고, B. cereus, S. Typhimurium은 ace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 저감효과도 높아졌으며 2.0% 첨가시 약 1.0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S. aureus는 전해수 단독처리(2.08 $log_{10}$ CFU/g감소)에 비하여 1.5%까지는 상승효과가 없었지만 2.0% 결합처리에서 0.68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들깻잎은 acetic acid의 첨가량이 0.5% 이상일 경우 변색되기 때문에 0.5% 이상 첨가하는 것은 품질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전해수와 초음파를 병용처리하였을 때, 들깻잎 중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는 전해수 단독처리보다 0.72, 0.51, 0.42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고, 전해수, 초음파, 0.5% acetic acid 병용처리에 의해 0.95, 1.23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나 S. aureus의 경우 전해수 단독처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들깻잎 중 식중독세균의 저감화를 위하여 전해수, 0.5% acetic acid와 초음파 병용처리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성분이 초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제2보)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cetic acid Fermentation. [II])

  • 남성희;유태종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33-145
    • /
    • 1980
  • In order to find out the inhibitor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in Korean ginseng (Panax Sin son C. A. Meyer), total aglycone, panaxadiol, panaxadiol, oleanolic acid and ${\beta}$ -sitosterol were added to the basal medium, respectively, and a surface culture was carried out at 30$^{\circ}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 Saponins lost their activity to inhibit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by hydrolysis. 2 Panaxadiol inhibited slightly, and the degree of inhibition was about 1/300 of that of free saponins. 3. Panaxadiol and oleanolic acid inhibited silighly similar to total aglycone. 4. Acetic acid fermentation was stimulated at the early stage when ${\beta}$-sitosterol was added to the media below the level of 0.000815%. But the fermentation was inhibited when media contained it more than that media 5. An over-oxidation of acetic acid was observed when the media contained total aglycone. panaxadiol, panaxatriol, oleanolic acid and ${\beta}$-sitosterol, respectively, while the media which contained sucrose, ginseng extracts ginseng saponins was shown not to be over-oxidized.

  • PDF

Effects of Sea Urchin Shell Powder on Volatile Fatty Acids in Poultry Litter: A Field Study

  • Chung, Tae H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31-333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a urchin shell powder on 2 volatile fatty acids, acetic and butyric acid, in poultry litter. A total of 60 1-d-old male broiler chicks (Arbor Acres) were allocated to 2 treatments (basal diet and 1% sea urchin shell powder) with 3 replicates of 10 birds each. During the 4-week experimental perio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reatments (P < 0.05), except for acetic acid at 1 week. Additions of 1% sea urchin shell powder resulted in lower acetic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litter of control birds. We conclude that the sea urchin shell powder used in this study might prove beneficial in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poultry l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