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bility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 조미영;채명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3-52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influenc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290 second and third 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via SPSS Statistics version 18.0. Results: On a scale of 1 (lowest) to 5 (highest), the mea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ore of the subjects was 3.19, mean metacognition score was 3.36 and mean clinical competence score was 3.29.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linical competence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The strongest predictor of clinical competence was metacognition. Conclusion: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creasing metacognition ability is required.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지은주;방미란;전혜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1-57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ego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448 first and second 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0 to 21, 201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9.0. Results: The Ego resilience score of subjects was 2.84 out of a perfect score of 4, the communication ability score of subjects was 3.51, a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score of subjects was 3.44 out of a perfect score of 5.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problem-solving ability with ego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strongest predictor of problem-solving ability was a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communication ability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urricula.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 경험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good cla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박주영;우정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5-19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ing a good cla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experiencing a good clas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During June, 2019,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nursing students in D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3.0. Results: Importance of good class (r=.50, p<.001), satisfaction of good class (r=.42, p<.001),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71,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participants. Als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ing a good cla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Conclusion: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velop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 a good class are needed to increase their level of problem solving ability.

지구과학 I 의 Jigsaw II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up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pplied to Earth Science)

  • 김상달;김순식;김은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8-40
    • /
    • 2008
  •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up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upon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ared to lecturing. It made it experimental target for two male and two female classes of students in the 2nd grade of humanity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area. One male and one female classes conducted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by making up a small group heterogeneously from the aspect of learning ability, and the other male and female classes carried out the lecturing focusing on a teacher. A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was shown to be effective compared to the lecturing. As for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was indicated to be effective compared to the lecturing. As for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it was indicated to be effective compared to the lecturing. Given seeing this, it was identified the necessity for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to be applied to a school field as an alternative plan for the lecturing.

  • PDF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심정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광역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0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Multiple linear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력(${\beta}=.143$, p=.029)과 수업집중도(${\beta}=.099$, p=.048)이며 설명력($R^2$)은 37.0% 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수업집중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략이 필요하다.

전문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Problem-Solving Ability, Learning Flow of the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 정애경;맹민재;이상회;김능연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7권2호
    • /
    • pp.73-81
    • /
    • 2010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몰입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몰입을 독립변인으로 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상정한 다음, 2009년 D 대학 공학계열 6개학과 신입생 396명을 대상으로 2009년 2학기 초에 메타인지와 문제해결력을 학기말에 몰입과 성취도(성적)를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메타인지와 문제해결력이 전문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몰입은 학생들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및 성취도간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수업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 시 메타인지와 몰입과 같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력이 높은 변인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수업에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딴짓이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몰입,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ther Behavior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of Department of Radiology(science) Students in Online Classes)

  • 나길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11-618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속에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중 이루어지는 딴짓의 정도를 확인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몰입과 학업성취도가 딴짓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방사선(학)과 학생들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조사하여 200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딴짓을 유형을 파악하고 한 후 일반적 특성, 딴짓,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몰입과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 Pearson's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딴짓은 '딴 생각하기', '문자하기' 순이 였으며 딴짓은 1.75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3.60점, 몰입은 3.23점, 학업성취도는 4.29점으로 나타났다. 딴짓과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몰입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딴짓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취도, 나이, 몰입,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딴짓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임으로 수업에 몰입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및 다양한 교수법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LL curriculu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양재훈;조보람;황인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55-67
    • /
    • 2020
  •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K대학교 재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 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학년별 분석에서는 2학년은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3학년은 모든 변인에, 4학년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참여학생 인터뷰를 통해 참여소감과 개선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의 효과를 살펴보고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강현숙;소미현;조윤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28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reference data for substantializing the educational programs by verifying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reality when the learners' autonomy is emphasized than ever. Methods: From June 20 to July 4, 2022,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18 dental hygien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2.0. Result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detailed item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y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by considering their high school record'. Second, when the academic efficacy, study immers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higher,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also high.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as problem-solving ability, which was followed by academic efficacy and study immersion. Conclusion: Putting together the results above,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operate the problem-solving-centered simulation course that could foster critical thinking,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creative approach and solution to problems in dental medical site. It would be also possible to improve their academic efficacy by applying the learning mentoring & one-to-one learning counseling program, and also strengthening proper feedbacks for learners. Moreover, the study immersion could be strengthened by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emotion-based learning motivation program & learning coaching program through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potential and growth needs of learners, exploring one's own resources through learning diagnosis/introspection, and exploring the career-related vision for strengthening the learning motivation, which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