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eta-cognition, Problem-Solving Ability, Learning Flow of the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전문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정애경 (동서울대학 디지털방송미디어과) ;
  • 맹민재 (동서울대학 항공자동차기계공학부) ;
  • 이상회 (동서울대학 디지털전자과) ;
  • 김능연 (동서울대학 디지털전자과)
  • Received : 2010.05.11
  • Accepted : 2010.06.07
  • Published : 2010.06.25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college engineer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96 college engineering freshmen of the six different departments was chosen to conduct a survey.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s the prediction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s the outcom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college engineering studnets'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learning flow was used as a significant mediated variable in the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above variab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college engineering courses that enable students to facilitate their problem-solving attitude and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몰입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몰입을 독립변인으로 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상정한 다음, 2009년 D 대학 공학계열 6개학과 신입생 396명을 대상으로 2009년 2학기 초에 메타인지와 문제해결력을 학기말에 몰입과 성취도(성적)를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메타인지와 문제해결력이 전문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몰입은 학생들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및 성취도간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수업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 시 메타인지와 몰입과 같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력이 높은 변인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송동주, "공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공학교육과 기술, 제10호, 제2권, 85-92쪽. 2003년
  2. 장종관, 김병상, 신민생, 오경욱, "전문대학 공업계역 기피현상 방지 및 공업계역 학과 육성 방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연구보고 2003-6호, 2003년
  3. 홍유나, 맹민재, 정애경, 이상회, 김능연, "전문대학 공학계열 수업에서의 성찰저널 적용 사례연구,"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7권, IE편 제1호, 22-33쪽. 2010년
  4. Jacobs, J. E., & Paris, S. G., "Children's metacognition about reading: Issues in definition, measurement, and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22, no. 3-4, pp. 255-278, 1987. https://doi.org/10.1080/00461520.1987.9653052
  5. 김정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및 실제적 지능과 성취도 간 인과관계의 경험적 분석,"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제7호, 제2권, 73-94쪽. 2007년
  6. 정솔,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메타인지 활용 훈련 방안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제13호, 제1권, 285-304쪽. 2006년
  7. 이봉주, 고호경, "메타인지적 활동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사고과정 분석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2호, 제3권, 291-305쪽. 2009년
  8.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rer & Row Publishers, 1990.
  9. 이미현, "몰입 수준의 변화가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년
  10. 김신자, "인지전략영역 교수를 위한 교수전략," 교과교육학연구, 제9호, 제1권, 5-18쪽. 2005년
  11. Pintrich, P. R., & De Groot, E. V.,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2, no. 1, pp. 33-40, 1990.
  12. Swanson, H., L., "Influence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aptitude on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2, no. 1, pp. 306-314, 1990.
  13. Cheng, P. W., "Cognition, Metacognition and Metacognitive Theory:A Critical Analysis," The Korea Journal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Vol. 9, no. 1, pp. 85-103, 1999.
  14. Heppner, P. P., & Petersen, C. H.,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1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9, no. 1, pp. 66-75, 1982.
  15.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1975.
  16. 임현화, "수업에 몰입하는 아동의 경험과 교사의 수업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초등 과학수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년
  17.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5호, 제3권, 199 - 216쪽. 2001년
  18. 김재찬, "메타인지 활동이 학습부진학생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2004년
  19. Fortunato, I., Hecht, D., Tittle, C. K , Alvarez, L.,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rithmetic Teacher, pp. 38-40, 1991.
  20. Flavell, J. H., " Solving Spatial Perspective-Taking Problems by Rule versus Computation: A Development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14, no. 5, pp. 462-473, 1978. https://doi.org/10.1037/0012-1649.14.5.462
  21. Wang, B. Y. L., "The relevance of meta-cognition to learning disabilities," In B. Y. L. Wong(Ed.), Learning about learning disabilities, pp. 231-258, 1991.
  22. Davidsons, J. E., Deuser, R., & Sternberg, R., J., "The Role of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In J. Metcalfe & A. P. Shimamura(Eds.), Meta-cognition, Cambridge: A Bradford Book, 1994.
  23. Sternberg, R., & Davidson, J. E., "The Nature of insight," Cambridge, Mass: MIT Press, 1995.
  24. Martin, A. J., & Jackson, S. A., "Brief approaches to assessing task absorption and enhanced subjective experience: Examining 'short' and 'core' flow in diverse performance domains," Motivation and Emotion, Vol. 32, no. 3, pp. 141-157, 2008. https://doi.org/10.1007/s11031-008-9094-0
  25. Baron, R. M., & Kenny, D.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2, pp. 1173-1182,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