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ademic Association

검색결과 2,660건 처리시간 0.143초

부모의 방임과 아동의 학업성취의 관계 :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 박은정;이유리;이성훈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5-76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21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third wave sample of the 2012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For data analysis,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and the Sobel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tion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ub-component factors of achievement value, mastery goal orientation, behavioral control, academic time-management reveal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also show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viewpoint to deeply observe the problem of parents' neglect in connection with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data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the benefit of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e-러닝의 시스템품질과 동기화요인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for Learning Performance in e-Learn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 김영애;신호균;김준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4호
    • /
    • pp.181-204
    • /
    • 2011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paradigm shift in learning has brought a dramatic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arning mainly targeted on e-learning users, studying additional synchronization and system quality factors to measure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learning flow and academic performance considering both DeLone & McLean model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ing factors based on ARCS model. Relating to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arning system was tes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performance was also analyzed based on time-series data, by the test difference(in the beginning, during, and final of the semes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both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performance. Thus, when designing e-learn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two factors at the same time. Second, the indirectly mediating effect on the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learning flow.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utilizing dummy variable presents that the teacher's explanation has greater influence than multimedia has to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furthermore, the test difference showed no significance. Further research should be undertaken to consider the learner's degree of acceptance which reflects various aspects for building m-learning or u-learning.

융복합 시대 대학생의 사적/공적 자의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검증 (The Influence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on Vocational Identity in Convergence era: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 윤준현;손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39-34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에 따른 학업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2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은 모두 진로정체감과 학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이 학업효능감을 거쳐 진로정체감(진로탐색, 진로몰입, 진로재고)로 이어지는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적 자의식은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진로재고 요인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적 자의식은 학업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탐색에, 학업효능감을 완전 매개하여 진로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시대의 진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스마트폰 의존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and the Influence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 김재윤;한희수;박은영;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601-61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was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2,541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1,375 boys and 1,166 gir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by means of SPSS 25.0, AMOS 25.0, and Hayes's PROCESS programs to examine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This implies that adolescents who perceive their parents' attitudes to be high in coercive, rejective, and chaotic levels indicate that they can easily get exhausted in academic settings. Seco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a high level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leads to higher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that influences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일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학업소진 및 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Job Seeking Stress, Academic Burnout and Anxiety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이현숙;배상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71-78
    • /
    • 2019
  • 본 논문은 일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학업소진 및 불안과 우울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우울에 대한 융합적 영향을 밝혀 보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12일부터 2018년 12월 1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소재 대학의 재학생 304명으로 하였다. 우울은 취업스트레스, 학업소진 및 불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학업소진이 증가할수록, 불안이 증가할수록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대학생의 우울을 낮추기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 학업소진 및 불안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우울을 낮추는 취업상담, 학업 상담, 및 심리적 안정을 위한 자원의 확충 및 다양한 개입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대학도서관 현황변화 비교분석 - 한국, 북미, 영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Academic Libraries between South Korea, North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 최재황;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83-30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북미, 영국 대학도서관 통계지표를 비교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 미국의 대학 및 연구도서관 협회 통계보고서, 영국의 대학 및 국립대학 도서관협회 통계보고서를 활용하여 비교 가능한 통계지표를 식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와 북미 주요 대학 간의 비교에서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북미 대학의 도서관 여건이 국내에 비해 우수하였는데, 특히 북미 대학이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가 월등히 많았다. 다음으로 국내와 영국 대학을 비교한 결과, 국내 대학이 영국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건물 연면적, 도서관 열람석 수 등에 우위를 보이는 반면, 영국 대학은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 상호대차 신청 건수, 도서관 이용자 PC 수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인력, 예산 투입에 대한 국가와 대학 차원의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경호학과 학생들의 물리보안 관련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생활만족과 학업지속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Related to Physical Security of Security Department Student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ation Decision)

  • 장예진;최정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83-91
    • /
    • 2023
  • 연구 목적은 경호학과 학생들의 물리보안 관련 교육서비스품질이 대학생활만족과 학업지속결정에 어느 정도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 물리보안 교육을 받고 있는 200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3년 4월 10부터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에서 변수를 "첫째 교육서비스품질, 둘째 대학생활만족, 셋째 학업지속결정"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3개의 연구가설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산출하고 그 결과 3개의 연구가설 중에서 "교육서비스품질 ⇨ 대학생활만족, 대학생활만족 ⇨ 학업지속결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산출되어 채택되었으나, "교육서비스품질 ⇨ 학업지속결정"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학업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활만족이 우선되어야 한다.

ICT 활용 교수-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Using ICT Teaching-Learning: Focused on Theses and Journal Paper in Korea since 2000)

  • 구병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3-6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비해 학생의 학업성취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가를 메타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1년도부터 2014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 관련 석 박사학위논문과 학술 논문 103편 가운데 133개의 효과크기 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 가운데 85%가량은 ICT 활용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비하여 학생의 학업 성취에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른 ICT 활용 교수-학습의 학업성취 효과 크기는 초등학교 학생과 대학생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실시 교과목에 따라서는 예체능과 사회 교과의 평균 효과크기가 다른 교과목에 비하여 ICT 활용 교수-학습의 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그동안 선행된 많은 ICT 활용 교수-학습과 관련된 개별연구들의 각기 다른 학업성취 효과에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보다 강력한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러한 보다 강력하고 통합된 결론을 통해서 이 분야의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입학 전형에 따른 컴퓨터교육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mpus Lif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Students by Types of University Admission)

  • 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3-4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G 교육대학교 컴퓨터 교육과 입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전형에 따라 학업 성취도, 학과 만족도, 학과 선호도에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근 3년간 입학한 특정 영역 우수자 학생들과 정시 입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특정 영역 우수자 입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특정 영역 우수자 입학생들이 정시 입학생들에 비해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특정 영역 우수자의 학업 성취도 및 학과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높은 학생들이 입학하여 학과에 대한 충성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육대학교 입시에서도 심화과정별로 학생을 선발하는 방안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시작됨에 따라 컴퓨터 교육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 Devices)

  • 장준혁;박판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21-528
    • /
    • 2014
  • 오늘날 학생들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졌다고는 하나 대부분은 채팅, 게임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을 탐구해보고자 하는 의도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웹 2.0 환경에서의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를 바탕으로 실험 집단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글 드라이브의 문서 작성 기능을 활용하여 협동학습을, 통제집단은 전통적 일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총 7주간 실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의 한 영역인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더 신장되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웹 2.0 환경의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