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fat ratio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8초

중년 남성의 혈중지질농도 및 지방산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Influence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n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in Middle-aged Men)

  • 이인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3호
    • /
    • pp.315-323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iddle-aged men and the influence of cardiovscular risk factors on them. Data for dietary intake, anthropometry , blood pressure, and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obtained and their relationship to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analyzed in 303 healthy male subjects with a mean age of 43.8$\pm$6.4 years from June 1 to 22 , 1995.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26.7% by BMI and 11.2% by WHR criteria . The percentage of hypertensive subjects were 13.5% and 22.4% by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espectively. Retinol, calcium , and roboflavin intakes were lower than the RDA for Koreans. The ratio of carbohydrate intake to total calories of the subjects was 70%. Ratios of P/M and n-6/n-3 were 1.02/1.05/1.00 and 11.1/1,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had serum TG, TC, LDL-C leves beyond the normal range were 19.5% , 13.5% and 8.6% respectively. Palmitic comprised 26.4% of serum total fatty acids, linoleic acid 19.4% and oleic acid 16.4. The waist circumference and ration of carbohydrate intake were related positively to TG level. Serum cholesterol level had positive relations with waist circumference, DBP, sugar intake, and income.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FA and bone fishes and vegetable oil intakes, MUFA and DBP while a negative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PUFA and animal fat intake. Serum n-6 fatty acid was related negatively to carbohydrate intake and hot taste preference. N-3 fatty acid was related positively to fish intake and negatively to egg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maintain adequate serum lipid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sugar, animal fat, and carbohydrate intakes have to be reduced, while consumption of vegetable oil and fish must be increased. It is also essential to control abdominal fat accumulation and blood pressure.

  • PDF

고지방식이 마우스 비만모델에서 인제청금단에 의한 체중감량과 혈중 지질대사의 개선효과 (Injecheonggeumdan reduces body weight gain and blood lipid profiles in high fat diet-fed mice)

  • 양승엽;이희영;이혜림;김병출;박순일;안예지;오재호;임혜숙;윤미정;신순식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7-80
    • /
    • 2012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gecheonggeumdan(ICD) on body weight and examined whether blood lipid levels and visceral fat are inhibited by it in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Methods : 8 weeks old,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6 groups: C57BL/6N normal, control, ICD-1(150mg/kg), ICD-2(300mg/kg), ICD-3(600mg/kg) and orlistat(10mg/kg).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ICD and orlistat for 8 weeks, we measured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feeding efficiency ratio, fat weight, plasma leptin and lipid levels. We also performed histological analysis for liver and fat on the mice. Results : Compared with controls, ICD and orlistat-treated mice had lower body weight gain and adipose tissue weight, the magnitudes of which were prominent in ICD-3. Compared with controls, ICD and orlistat-treated mice had lower blood leptin levels, the magnitude of which was prominent in ICD-3. Compared with controls, ICD and orlistat-treated mice had higher blood HDL-cholesterol and lower blood plasma L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levels, the magnitudes of which were prominent in ICD-3. Blood plasma AST and ALT concentrations were not changed by ICD and orlistat, indicating ICD and orlistat do not show any toxic effects. Consistent with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gain, the size of adipocytes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CD and orlistat.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CD and orlistat effectively reduce body weight gain, blood plasma L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levels and improves abdominal fat, the magnitudes of which were prominent in ICD-3.

육군자탕가감방 에탄올 추출물의 비만 및 고지혈증 유도 흰쥐에 대한 억제효능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Modified Yukgunga-tang on Obesity and Hyperlipidemia in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박정현;강희;안광석;심범상;김성훈;최승훈;안규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85-694
    • /
    • 2009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modified Yukgunja-tang(mYGJT)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nd hyperlipidemia in Sprague-Dawley rats, Animals were divided into normal, control, mYGJT(100 mg/kg and 200 mg/kg) treated groups. Obesity with hyperlipidemia was induced by high fat diet treatment for 6 weeks. mYGJT was given to the amimals by oral gavage for 4 weeks, starting at the high-fat diet regimen, The effect of mYGJT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 L1 adipocytes in vitro and serological paramamters for obesity and hyperlipidemia in vivo were evaluated, mYGJT significnatly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3T3 L1 adipocyte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mYGJT treatment sigin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bdominal and epididymal fat weight, and FER(Food Efficiency Ratio)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a dose dependent manner. It also signficantly inhibited the levels of serum total lipid, triglyceride, phospholipid, total cholesterol, LDL, AI(Atherosclerosis Index) and returned the serum HDL to normal. Total lipids, triglycerides and cholesterols in the liver, as well as malondialdehyde(MDA) and hydroxy radical in the ser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YGJT treat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Finally, mYGJT treatment signficantly decreased the MDA and protein carbonyl concentrations of the hepatic homogenate but sign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GSH-Px and Catalas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YGJT can be clinically useful in inhibiting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nd hyperlipidemia.

성장율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키토산의 첨가급여가 육용계 두 품종에 나타나는 상관반응에 관한 연구

  • 석윤오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24-125
    • /
    • 2002
  • 초생추 때부터 Chitosan을 육용계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는 35일령 체중에 있어서 EXP구가 CON구에 비해서 Arbor Acres종은 121.2g, Ross종은 243.7g이 유의하게(P〈0.05) 더 무거웠던 반면 14일령부터 Chitosan을 공급한 2차 실험에서는 반대로 35일령 체중에 있어서 EXP구가 CON구에 비해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Arbor Acres종은 91.7g, Ross종은 70.2g이 더 가벼웠다. 개체별 케이지에 사육했던 14∼35일령 사이의 사료요구율은 1차 실험에서 Arbor Acres종은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Ross종은 EXP구가 CON구 보다 유의하게(P〈0.05) 사료요구율이 더 높았다. 한편 2차 실험에서는 두 품종 모두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복강지방 축적비율은 1차 실험의 경우 두 품종 모두 EXP구가 CON구 보다 유의하게(P〈0.05) 더 많았으나, 2차 실험에서는 두 품종 모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품종간 복강지방 축적비율의 차이는 두 실험 모두 유의하게(P〈0.05) Ross종이 Arbor Acres종 보다 더 작았다. 그러나 35일령시 체중, 14∼35일령 사료요구율 및 복강지방 축적비율 모두 품종과 Chitosan 첨가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Chitosan을 초생추 때부터 사료에 첨가하는 경우는 14일령 이후부터 첨가급여 하는 경우보다 성장율에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낸 동시에, 복강지방 축적비율도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료요구율에는 Chitosan의 첨가급여 시기와 대체로 무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육용계 형질들의 품종별 Chitosan 첨가급여 반응은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cillus crispatus avibrol(LCB), L. reuteri avibro2(LRB) L. crispatus avihen1(LCH), L. vaginalis avihen2(LVH) 각각을 사료 g당 $10^4$/cfu 및 $10^{7}$ cfu의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유산균의 급여에 의한 육계의 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체량은 50~100g이 높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유산균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 Ca 이용율도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산균 급여구에서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인의 이용율은 처리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유산균 종류별 영양소 이용율은 LCH 급여구가 모든 일반성분 및 Ca, p의 이용율이 가장 높았다(P〈0.05). 회장내 유산균 수는 시험 전기간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맹장에서는 5주령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Yeast는 회장에서 1주령까지는 장내에 완전히 정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맹장 및 3주령 이후의 회장에서는 대부분의 유산균 급여구에서 Yeast의 수가 증가하였다(P〈0.05).gkong/Y280/97 (H9N2)의 유전자는 A/HongKong/156/97 (H5N1)과 유사하지 않다. 킬러임파구는 바이러스로 감염된 목표세포를 MHC에 의존하여 파괴한다. 독감바이러스 특이 킬러임파구는 독감바이러스로 감염된 mice의 폐로부터 독감바이러스를 제거하는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독감바이러스의 HA단백질은 특이 킬러임파구의 주요 목표항원 단백질이 아니다. 내부단백질인 nuc

  • PDF

Antioxidant action of soy isoflavones 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exercised rats

  • Yoon, Gun-Ae;Park, Sunm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618-624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Isoflavones are widely believed to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in relation to their antioxidant potentials. Exercise can cause an imbalance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ioxid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isoflavones in amelioration of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xercise. MATERIALS/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isoflavone-free with no exercise (CON-sd), isoflavone-free with exercise (CON-ex), isoflavone-supplemented with no exercise (ISF-sd), and isoflavone-supplemented with exercise (ISF-ex). Animals exercised on the treadmill for 30 minutes per day, five days per week. TBARS as a marker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cluding SOD, GSH-px, and catalase were determined in liver tissue. Serum lipid profile was also examined. RESULTS: A significant effect of isoflavone alone was observed on abdominal fat pad mass. ISF-ex had significantly less abdominal fat pad than CON-ex. Both exercise and isoflavone trea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wering plasma triglyceride (TG), thus, the ISF-ex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TG level than the CON-sd group, by 30.9%.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lasma cholesterol, HDL-C, and cholesterol/HDL-C ratio. Exercise, isoflavone, and exercise-isoflavone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P = 0.001, 0.002, and 0.005, respectively). The CON-ex group showed a higher TBARS level than the other three groups. By contrast, in the ISF-ex group, TBARS was restored to the level of the ISF-sd or CON-sd group. Isoflavon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oxide dismutase (SOD) (P = 0.022) and catalase activities (P = 0.049). Significantly higher SOD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observed in ISF-ex than CON-ex. SOD and catalase activities showed an inverse pattern of TBARS. Taken together, isoflavones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alase with concomitant decreases in TBARS, indicative of decreased oxidative stress. CONCLUSIONS: Isoflavone supplementation enhances antioxidant action with attenuation of exercise-induced oxidative stress, as measured by decreases in TBARS, and inhibits body fat accumulation and plasma TG increase. Antioxidative effects ascribed to isoflavones may be partially exerted via enhancement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돼지감자의 이놀린, 연잎, 허브의 다이어트제제가 비만인의 체중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Food Containing Jerusalem Artichoke's Inulin, Lotus Leaf, and Herb on Weight and Body Fat of Obesity University Students)

  • 이은혜;강상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1호
    • /
    • pp.8-14
    • /
    • 2009
  • 본 연구는 식이섬유인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분말과 허브로 제조한 다이어트 제제가 체중, 체지방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참가하기 위한 대상자의 선정은 체질량지수(BMI) $25kg/m^2$ 이상, 체지방률 25% 이상, 복부비만률 0.85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남녀 대학생 24명으로 각 12명씩 대조군과 다이어트군으로 나눈 후 30 일간 실시하였다. 식사섭취량은 식사기록법(diet record method)으로 조사하여 CAN program에 입력한 후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 전 후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1주의 영양소 섭취량과 4주째의 영양소 섭취량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다이어트군 모두에서 4주째 열량 섭취량이 다소 감소하였지만 유의적으로 큰 차이는 아니었다. 또한 실험 결과 다이어트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약 2.5 kg 감량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 외의 체지방량, 근육량, 복부 비만율, 비만도,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모두 실험 기간 중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체지방량과 근육량은 함께 감소하였으므로 체지방률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혈압은 대조군과 다이어트군에서 모두 정상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분말, 허브의 쐐기풀 분말 및 유칼립투스 잎의 분말의 다이어트 제제가 체중과 체지방 및 비만관련 신체지표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으며, 운동요법을 병행할 경우 비정상적인 지방 축적으로 인한 비만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누에고치 유래 실크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 보충이 체지방 및 혈청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equent Body Fat and Serum Lipid Metabolism after Cocoon Hydrolysate, Green Tea Leaves and Dietary Fiber Supplementation)

  • 이민숙;김동명;조병남;구성자;주상섭;진동규;이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123-129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고 일상식이를 하는 20-30대 여성 47명을 대상으로 1일 4.Og의 누에고치 유래 실크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를 한 달 정도 섭취하도록 하여 2002년 4월 1일부터 5월 30일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6.2세, 평균신장은 161.7cm, 평균 체중은 60.7kg, BMI평균은 23.4이었다. 보충전에 비하여 보충 후에 대조군의 총열량, 당질, 지질, 단백질 식이 섬유소 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의 경우 총열량은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1), 체중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충 후에 3.0 k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MI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1). 체지방량 변화는 보충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p<0.001) 보충 전에 비해 2.0 k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율(WHR)의 경우 보충군에서 보충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p<0.01), 복부비만 해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 변화 또한,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충후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로 HDL-cholesterol은 BMI와 WHR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LDL/HDL ratio BMI와 p<0.01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WHR과는 p<0.05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 결과에서 보듯이, 저분자 펩타이드,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의 보충은 체지방의 감소 효과 뿐만 아니라, 혈청 내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 수준의 감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체의 부위 중 복부의 지방을 감소시켜 복부 비만 관리 및 체지방 관련 위험율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무독화한 옻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Fermented Detoxified Rhus verniciflua Vinegar Supplementation in Diet-Induced Obese Rats)

  • 정소라;김란선;박유경;백성열;여수환;이충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71-177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 유도된 쥐를 대상으로 10주간 옻식초를 급여하였을 때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옻식초는 무독화된 옻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 후 아세트산 발효를 거쳐 제조하였으며, 흰쥐를 일반식이(normal chow diet)와 고지방식이(fat 60 %kcal) 섭취군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비만 유도를 한 후 총 5군으로 나누었다. 일반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CON군, 고지방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OB-DW군, 고지방식이와 1% 아세트산을 음용한 OB-AA군, 고지방식이와 1% 옻식초를 음용한 OBRV군, 고지방식이와 0.1% 카페인 용액을 음용한 OB-CF군으로 나누어 총 10주 동안 해당 식이와 실험시료를 공급하였으며, 연구 종료 후 체중, 지방 무게, 지방구 크기 및 개수, 혈액과 간 조직의 지질 profile, 지방조직의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와 lipoprotein lipase(LPL)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B-DW군과 비교하여 OBRV군에서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심장동맥경화지수(CRI), LPL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혈중 유리지방산과 분변 중성지방의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비만 흰쥐에게 옻식초를 음용시켰을 때 혈청이나 간의 지질 함량을 개선시키고 지질 배설을 증가시켜 부작용 없이 식품소재로서 비만을 일부 개선시키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5주간의 고지방식이 섭취시 흰쥐의 에너지 대사 기질 이용과 식이지방에너지 평가에 관한 연구 (Effect of 5 Week Long High-Fat Diet on Energy Metabolic Substrate Utilization and Energy Content Evaluation of Dietary Fat)

  • 황혜정;김지수;서혜정;임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94-1099
    • /
    • 2012
  • 본 연구는 실험쥐 20마리를 사용하여 5주간의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후 CON군과 HF군으로 구분하여 식이조성에 따른 체중과 체구성 그리고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대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로 인한 체중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주간의 식이섭취량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섭취열량은 약 6% 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소섭취량(에너지소비량)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지방식이군은 24시간 동안 유의하게 높은 지방산화량을 보였고 일반식이군은 탄수화물산화량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기에 두 군의 에너지 이용 기질에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군간 소비에너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섭취에너지에 비해 HF군의 복강 내 지방이 약 33% 이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이구성에 의하여 에너지이용기질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주간 섭취한 열량과 소비된 에너지 비를 비교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에서 복강내 지방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체내에서의 지방의 식이효율이 그동안 알려진 Atwater의 값(9 kcal/g)보다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는 탄수화물과 고지방식이섭취에서 체내에너지 저장량을 분석하였을 때 탄수화물의 열량은 4 kcal/g인데 비해 지방은 약 11.1 kcal/g으로 보고한 기존의 연구보고(21)를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 및 비만환자와 대사증후군 환자의 체중조절과 개선에 있어서 식이구성과 일일영양권장량의 재검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전문운동선수들의 체급별 체중조절에 필요한 식단의 재구성 등 스포츠현장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과 단백질 등의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고, 에너지대사량과 조직의 중량만을 검토한 결과이므로 추후 체내에서의 지방산화와 관련된 호르몬 및 단백질 등의 측정과 전체 피하조직 및 근육 등에 저장된 지방의 분석을 포함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Age-related Changes in the Percentage Content of Edible and Non-edible Components in Broiler Chickens

  • Murawska, Daria;Kleczek, Katarzyna;Wawro, Kazimierz;Michalik, Danu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532-539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ge-related changes in the percentage content of edible and non-edible components in broiler chickens. The experimental materials comprised 240 Ross 308 chicks (sex ratio 1:1) raised to 10 weeks of age and fed standard diets ad libitum. Starting from the first week of rearing, every 7 days 10 males and 10 females were selected randomly for slaughter and post-slaughter analysis. The data obtained were verified statistically. The percentage content of edible components increased and the percentage content of non-edible parts decreased as the chicks grew older. In broilers aged 1 week and 10 weeks, edible components accounted for 47.0% and 66.4% total body weight, respectively. The share of muscle tissue increased considerably over this period, from 30.9% total body weight in week 1 to 52.4% in week 10. An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skin and subcutaneous fat was observed for the first three weeks only, while the percentage content of giblets (in contrast to the remaining edible parts) decreased with age. For non-edible parts, the share of bones diminished by 2.5% and the proportion of slaughter offal reduced by 13.8%. A rising tendency was noted with respect to feathers and abdominal fat, while the content of the remaining offal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