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0% solid content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2초

Protein Quality Evaluation of Cooked Monkfish (Lophiomus setigerus) Meats

  • Jeung Young-Ae;Ryu Hong-Soo;Shin Eun-Soo;Mun Sook-I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165-171
    • /
    • 2003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protein quality of domestic fresh monkfish meat (FMM) and imported frozen monkfish meat (IMM), in vitro protein qualities were determined by amino acid anlysis,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S) formation, and protein digestibility using the four-enzyme method.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boiled FMM and IMM were $90\%$ of the dry base, which were higher than fresh FMM $(82\%)$ and IMM $(84\%)$. Profiles of total amino acid in FMM and IMM were not changed by cooking method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decreased to $ 29.0-33.6\%$ for boiled $(l00^{\circ}C,\;10 min)\;and\;24\%$ for steamed $(100^{\circ}C,\;10\;min)$ samples.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ies of boiled and steamed FMM incnased $86.6-86.8\%$, compared to raw IMM $(82.9\%)$, boiled and steamed IMM $85.1-85.5\%$ and raw IMM $(83.6\%)$. TIS of FMM (23.6 mg/g solid) and IMM (15.9 mg/g solid) showe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cooking methods. The C-PERs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boiled FMM (2.63) and IMM (2.50) were significantly higher (<0.05) than raw (1.97) and steamed FMM(1.97) and IMM(1.94).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oiling of FMM and IMM improves protein digestibility and C-PER when compared to steamed FMM and IMM. Therefore, boiling could be an excellent means to maintain high-protein quality of monkfish meat. Also, the cooking method may be applicable to the preparation of monkfish stew without any loss of free amino acids.

'신고' 배의 비중에 따른 과실 품질 특성과 바람들이 발생 (Frui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ithiness Tissue Occurrence with Fruit Gravities in 'Niitaka' Pear Fruit)

  • 조준식;김월수;이상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45-551
    • /
    • 2010
  • 본 연구는 '신고' 배 품질저하의 주요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람들이과의 확인을 위하여 과실 비중에 따른 배 과실의 품질특성과 바람들이 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확된 과실들의 바람들이 증상 구분은 아르키메데스법을 이용 비중에 따라 구분하였고 과실들의 물성과 당함량을 측정되었다. 최종적인 바람들이과의 확인은 저장한 후 저장 90일째에 각각의 과실을 칼로 잘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알코올 수용성 분획(Alcohol Soluble Solid)과 알코올불용성 분획(Alcohol Insoluble Solid)에서의 칼슘함량을 조사하였다. 비중에 따라 구분한 배 과실 group간 당함량과 산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물성의 차이는 뚜렷했으며 특히 경도는 비중이 낮은 group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비중이 낮은 과실이 많아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만개 후 174일과 181일에 수확한 과실들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비중이 낮은 과실과 정상과의 알코올불용성물질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중이 낮은 과실과 정상과에서의 알코올불용성분획과 알코올수용성 분획에서의 칼슘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낮았으며, 알코올불용성분획에서 비중이 낮은 과실이 정상과보다 칼슘 함량이 낮았다. 결과적으로 비중이 낮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배 과실의 바람들이과 발생은 저장기간과 조건에 영향도 있지만 그보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졌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세포벽에 결합되어 있던 칼슘의 함량이 감소되면서 세포벽의 견고성이 약화되어 바람들이 발생이 높아졌다.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를 이용한 저트랜스 유지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Low Trans Fats Using Rice Bran Oil, Palm Stearin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70-478
    • /
    • 2009
  •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하여 저트랜스 유지를 합성하였고, 합성 시 Thermomyces lanuginose로부터 획득된 TLIM 효소를 이용하였다. 반응 기질의 비율에 따라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solid fat content(SFC)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온도에 해당하는 SF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팜스테아린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SFC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SC를 통한 흡열 및 발열 곡선 분석결과, 팜스테아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피크가 높은 온도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트랜스 유지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palmitic acid(C16: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가 주요 지방산들로써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총 트랜스지방산은 비율별로 0.5 area%의 수치를 보이며, 1% 미만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Triacylglycerol (TAG) 조성을 reverse-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TAG 조성은 OOL, PLO, PLP, OOO, POO, POP, POS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중 PLO와 POO 및 POP가 전체 조성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한편, 여러 비율별로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총 tocopherol은 $6.94{\sim}11.83$ mg/100 g의 함량을 보였고, oryzanol은 $0.18{\sim}0.49$ mg/100 g의 함량을 보였으며, phytosterol 함량은 전체적으로 $182.48{\sim}269.07$ mg/100 g 사이의 다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고연색 LED용 적색 Sr2Si5N8:Eu2+ 형광체의 합성 및 발광특성 연구 (Synthesis and Luminescence of Sr2Si5N8:Eu2+ Red Phosphor for High Color-Rendering White LED)

  • 이성훈;김종수;강태욱;류종호;이상남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15
    • /
    • 2017
  • Red phosphors, $Sr_2Si_5N_8:Eu^{2+}$, were synthesized as a single-phase crystal structure by optimizing carbon and $Eu^{2+}$ contents in a carbothermal reduction nitridation method. With increasing $Eu^{2+}$ contents,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were red-shifted from 600 nm peak for 1 mol% for to 700 nm for 7 mol%. It was suggested that this red shift is attributed to the energy transfer from one low-energy sited $Eu^{2+}$ (1) to other high-energy sited $Eu^{2+}$ (2). Finally, the best red sample (620 nm emission peak and 80 nm half width for 3 mole% of $Eu^{2+}$) was packaged on a Blue LED together with two additional green and yellow phosphors, the fabricated White LED showed a high color-rendering index of 90 and white color coordinates of x= 0.321 and y = 0.305.

  • PDF

입구 습도 변화에 따른 관성 충돌 방식의 액적 분리장치의 수분제거효율 변화 (Removal Efficiency of Water Contents using Inertial Impaction Separator with Change in Relative Humidity)

  • 송동근;이신영;홍원석;신완호;김규진;김한석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7-252
    • /
    • 2013
  • Removal of water contents in a gas is needed in industrial field of gas processing related on energy production/conversion, and environmental treatment. Inertial separators are economic devices for separating droplets from the gas stream. For design and incorporation of inertial pre-treatment separator, characteristics of removal of water contents with various operation conditions are needed. In this study, removal efficiency of water droplets at various flowrates (5-14 SCMM) and relative humidity (R.H.) conditions (40%, and 90%) has been investigated. At low R.H. condition, the removal characteristic is similar to the removal of solid particles. But, droplet growth resulting from the condensation of water vapor at high R.H. condition, is significant and it made increase in removal efficiency of droplet phase of water contents. For rapid removal of water contents,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ing condensation growth of water droplets is highly needed.

Evaluation of Heat Processing Temperature and Time on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Juice

  • Lee, Youn-Ri;Lee, Yun-Kyoung;Hwang, In-Guk;Woo, Koan-Sik;Han, Chung-Su;Jeong, Heon-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4호
    • /
    • pp.327-333
    • /
    • 2008
  • To develop a functional juice using garlic (Allium sativum L.), heated garlic juice was investigat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set with variables of treatment temperature (110, 115, 120, 125, and $130^{\circ}C$) and time (1, 2, 3, 4, and 5 hr) us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apparatuses. Total soluble solid, total acidity, reducing sugar, total pholyphenol contents,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and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EAC) in heated garlic juic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The highest total soluble solid content was $17.81\;^{\circ}brix$ at $123.10^{\circ}C$ for 1.10 hr. The highest total acidity was 1.43% at $127.35^{\circ}C$ for 4.35 hr.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 was 86.67 mg/mL at $119.90^{\circ}C$ for 4.35 hr.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8.42 mg/mL at $127.75^{\circ}C$ for 4.26 hr. The highest EDA and AEAC were 60.09%, and 7.40 mg AA eq/mL at $127.85^{\circ}C$ for 4.23 hr, and $128.10^{\circ}C$ for 4.18 hr, respectively.

지리산 고로쇠나무의 수액 채취와 성분분석 (Sap Collection and Major Components of Acer mono in Mt. Jiri)

  • 문현식;박상범;권수덕;구자운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263-26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경남 하동지역 지리산에 자생하고 있는 고로쇠나무를 대상으로 흉고직경급별 수액채취량과 수액내 성분을 분석하였다. 고로쇠나무의 총 수액 채취량은 315L이었으며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수액 채취량도 많았으며 총 채취량에 대해 소·중·대경목이 각각 21%, 33%, 46%의 비율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수관폭 증가와 근계 발달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 수액 채취량은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액 채취량이 많은 날의 기상조건은 일최고·최저기온의 온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고로쇠나무 수액내의 고형분, 회분, 당도는 각각 1.90%, 0.02%, 1.64%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자당 함량이 16.4g/L로 검출되었으나 포도당, 과당, 맥아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고로쇠나무 수액은 총 7종의 무기성분 중 Ca(548 ㎎/L)과 K(303㎎/L.)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Grain Angle of Wood Materials on Nondestructive Moisture Meters

  • Pang, Sung-Jun;Jeong, G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40-50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and grain direction on measurement of moisture contents (MC) of wood materials non-destructively. The MC of different sizes of solid wood, glulam, and CLT from larch (larix kaempferi, $560kg/m^3$) and pine (pinus koraiensis, $430kg/m^3$) were measured using the dielectric type and resistance type meters. The specimens were conditioned in the environmental chamber to b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12 % and 19 %. When density setting in dielectric type meter was increased from $400kg/m^3$ to $600kg/m^3$, the MCs of specimen (S-L-100-E) were decreased from 13.4 % to 11.3 %. However, when wood group (WG)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 was changed from WG1 to WG4, the measured MCs were increased from 9.2 % to 12.3 %. When temperature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s was changed from 0 to $35^{\circ}C$, the MC was decreased from 17.0 % to 13.0 %. The MCs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S-L-100-E_11.3 %, G-L-240-E_11.7 % and C-L-120-E_12.8 %) were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S-L-30-E_8.7 %, G-L-150-E_10.3 %, and C-L-90-E_9.7 %). The MCs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G-L-240-E_11.6 % and C-L-120-E_13.3 %)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G-L-150-E_10.4 %, and C-L-90-E_11.8 %). The resistance type meter was not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but the dielectric type meter were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The MC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G-L-120-E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was 11.5 % and the measured MC parallel to grain direction was 11.3 %. The MC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parallel to grain direction (12.1 %)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10.7 %).

인삼 유청음료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Ginseng-Whey Beverages)

  • 기해진;홍윤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8-214
    • /
    • 1993
  • 인삼 유청음료를 렌넷유청, 인삼, 감미료, 꿀, 매실 등에 종류가 다른 유산균주들을 접종하여 제조한 후, 일부는 발효시키고 일부는 비발효 상태로 4$^{\circ}C$ 및 30$\pm$1$^{\circ}C$에 저장하여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유청의 수율은 78.8%였고 저장기간 동안 pH는 감소하였으며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인삼 유청음료의 고형성분, 회분, 지방질 함량은 각각 7.90~8.20%, 0.62~0.66%, 0.16%이었고 단백질 함량은 0.42~0.56%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 큰 변화가 없었다. 유당함량은 유산균 발효시킨 시료가 발효시키지 않은 시료보다 높았다. D(-)- 및 L(+)- 젖산함략은 저장 기간(1~5주)중에 유산균 발효 인삼 유청 음료(17.3~156.1 mg/100g, 347.3~1894.2mg/100g)는 비발효 인삼 유청음료(6.2~82.8mg/100g, 7.1~885.5mg/100g)보다 높았다. 유산균으로 발효시키지 않은 시료와 Lac. casei sub-sp. casei와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시료의 총 sapon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Lac. acidophilus와 Lac. delbrueckii sub-sp. bulgaricus를 접종한 시료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인삼 유청음료의 전기영동 결과 모든 시료에서 $\alpha$-la과 $\beta$-lg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저장기간(제 1, 3주)동안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세균수와 저온성 세균군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Saccharomyces bayanus를 이용한 벌꿀 발효주의 양조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 Wine by Saccharomyces bayanus)

  • 정순택;임종환;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44-1049
    • /
    • 1999
  • 벌꿀 발효주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벌꿀 희석액의 알코을 발효에는 Saccharomyces bayanus가 저온에서 발효력이 우수하였고 알코올 생성도 많았다. 벌꿀 발효주의 생산 최적조건은 pH 4.0, $20^{\circ}C$이었으며, 최적 발효액의 당도는 $24{\sim}27^{\circ}Brix$이었다. 벌꿀 희석액은 발효시 pH와 산도의 변화는 적었으나 과실 삼투압 추출액에서는 산도의 저하가 심하였다. 발효중 환원당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알코올은 증가하여 발효 종료후 가용성 고형분은 $8.5{\sim}9.1^{\circ}Brix$로 저하 하였으며 잔류환원당은 $1.90{\sim}2.32%$, 발효율은 $90{\sim}92%$이었다. 21일 발효후 알코올은 잡화꿀에서 13.3%, 아카시아 꿀에서 13.7%로 아카시아 꿀이 알코올 생성이 높았으나 벌꿀 종류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과실의 벌꿀삼투압 추출액은 13일 발효 후 pH는 $2.92{\sim}2.97$로 급격히 저하하였으나 산도는 벌꿀 감귤주에서 0.30%로 벌꿀 매실주 0.53%에 비하여 적었다. 발효 후 잔류 환원당은 $2.03{\sim}2.87%$이었고 알코올생성은 벌꿀 감귤주가 13.1%로 벌꿀 매실주의 12.5% 보다 높았으며 발효도 벌꿀주에 비하여 양호하여 벌꿀 과실추출액이 벌꿀 희석액보다 벌꿀발효주 제조에 유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