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0% solid content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3초

거대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의 혐기소화를 위한 메탄생산 퍼텐셜 분석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Analysis for Anaerobic Digestion of Giant Miscanthus (Miscanthus sacchariflorus))

  • 유정숙;김창현;윤영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35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a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giant miscanthus (Miscanthus sacchariflorus) which was a promising candidate energy crop due to a high biomass productivity, in order to utilize as a feedstock for the biogas production. METHODSANDRESULTS: Giant miscanthus was sampled the elapsing drying time of 6 months after harvesting. TS (Total Solid) and VS (Volatile Solid) contents were 94.7 and 90.8%. And CP (Crude Protein), EE (Ether Extracts), and CF (Crude Fiber) contents of giant miscanthus were 1.4, 0.46, and 46.12%, respectively. In the organic composition of giant miscanthus, the NDF (Neutral Detergent Fiber) representing cellulose, lignin, and hemicellulose contents showed 86.88%, and the ADF (Acid Detergent Fiber) representing 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was 62.91%. Elemental composition of giant miscanthus showed 47.75%, 6.44%, 41.00%, and 0.28% for C, H, O, and N, respectively, and then, theoretical methane potential was obtained to $0.502Nm^3kg^{-1}-VS_{added}$.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was assessed as the range of $0.154{\sim}0.241Nm^3kg^{-1}-VS_{added}$ resulting the lower organic biodegradability of 30.7~48.0%. CONCLUS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etreatment technology of the giant miscanthus wa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anaerobic digestability.

Allelochemicals 함유 식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Plants Containing Allelochemicals)

  • 이호준;김용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1호
    • /
    • pp.51-58
    • /
    • 1999
  •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을 대상으로 allelochemicals를 분석하고 그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 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생식물인 까마중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90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생식물의 에탄을 추출액에 의한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의 항균력은 까마중에서만 나타났으며 clear zone이 18 mm였고 포자형성은 억제되었다. 귀화식물 중 돼지풀과 망초에서 포자형성이 억제되면서 clear zone이 24 mm와 22 mm로 형성되었고 미국자리공과 원추천인국은 포자가 형성되면서 clear zone이 22 mm와 19 mm로 나타났다. 자생식물인 까마중과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과 돼지풀에서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와 Bacillus sphiaericus 2291,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와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돼지풀이 각 균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에서 clear zone이 32 mm로 활성이 강하게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추출액내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높을수록 항균 활성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자생식물인 까마중과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과 돼지풀의 추출액을 HPLC로 성분분석한 결과 까마중은 hydroquinone외 3종이, 미국자리공은 cinnamic acid외 5종이, 돼지풀은 benzoic acid외 7종이 분석되었다. Phenolic compound 각각에 대한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에 대한 항균력은 coumaric acid와 benzoic acid에서 조사되었다.

  • PDF

Novel Inhibitors of Prolyl 4-Hydroxylase; Solid-phase Synthesis of 2,2-Dimethyl-3,4-Dialkoxy-Substituted 6-Aminobenzopyran Derivatives

  • Seo, Jin-soo;Joo, Yang-Hee;Yi, Jung-Bum;Lee, Eun-Ju;Lee, Nam-Kyu;Cho, Yong-Balk;Kwak, Wie-Jong;Hwang, Jong-Yeon;Jeon, Yong-Seog;Jeon, Hyun-Suk;Yoo, Sung-eun;Yoon, Cheol-Min;Dong, Mi-Sook;Gong, Young-D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909-917
    • /
    • 2006
  • 2,2-Dimethyl-3,4-dialkoxy-substituted 6-aminobenzopyran analogues (eg., 7 and 8) were identified as prolyl 4-hydroxylase inhibitors via a screening process using HSC-T6 and LI 90 cells that express an immortalized rat hepatic stellate cell line and as part of a test of the type I collagen contents employing the ELISA method. A subsequent lead optimization effort based on solid-phase parallel synthesi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2,2-dimethyl-3,4-dialkoxy-substituted 6-aminobenzopyrans as potent inhibitors of prolyl 4-hydroxylase.

시판 토마토케첩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Tomato Ketchup)

  • 정해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90-796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even (A, B, C, D, E, F, G) commercial ketchups marketed in Korea. The 70% ethanol extracts were prepared and evaluat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etal chelating effect. pH ranged from 3.64 to 3.94, and soluble solid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samples were 2.21~3.51oBrix and 4.78~13.45%, respectively. Salinity of samples was in the range of 1.79 to 3.21%, and sample G showed the lowest salinity.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Hunter color system of samples were 15.42~19.94, 18.55~23.98, and 20.87~24.34, respectively. The phenolic contents ranged from 1.37 to 2.60 mg GAE (gallic acid equivalents)/g, with samples F and G exhibiting the highest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ed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etal chelating effects were 45.10~90.87, 55.35~92.53, and 71.10~92.20%,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200 mg/mL. Samples A and G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sampl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suggesting that phenolic compounds are the major contributors to antioxidant activity.

콘텐츠 관련 진흥원과 대학 현황 연구:경남과 전남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Promotion Centers and Colleges Related with Contents, Focusing on Two Provinces,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 박경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80-188
    • /
    • 2010
  • 90년대 후반부터 불기 시작한 한류는 콘텐츠의 가치와 상업성에 대해 눈뜨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정부에서는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진흥원을 설립하였고, 대학에서는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관련 학과가 양적으로 성장하던 시기로써 콘텐츠 산업과 인재양성의 부흥기였던 셈이다. 특히 대학의 콘텐츠 관련 인재양성은 게임,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의 콘텐츠 산업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는데 기반이 되고 있다. 콘텐츠 개발과 생산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방의 진흥원과 대학이 연계하여 인재양성의 목표를 위해 협력한다면 기업과 지자체 그리고 대학이 더불어 사는 성공적인 산관학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방인 경남과 전남의 콘텐츠 관련 대학을 조사하고, 콘텐츠 관련 진흥원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직할시를 포함한 경남 전남의 콘텐츠 관련 진흥원과 대학을 정리하고 연구함으로서 그 다음 연구나 제안이 가능하게 하자는데 의의가 있다.

K+-β/β"-Al2O3의 고온 상관계와 소결성 분석 (Analysis of the Phase Formation and the Sinterability of K+-β/β"-Al2O3 at High Temperatures (≥1600 ℃))

  • 장민호;김승균;김석준;허정림;임성기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317-321
    • /
    • 2009
  • 고체 산화물 전해질로 사용되고 있는 초 이온 전도체인 $K^+-{\beta}/{\beta}"-Al_2O_3$의 고온 상관계와 소결성 분석을 위하여 $K_2O-LiO_2-Al_2O_3$ 삼성분계로부터 고상반응을 통하여 순수한 $K^+-{\beta}/{\beta}"-Al_2O_3$ 분말을 합성한 후 slip casting방법과 냉간정수압성형에 의하여 tube와 disk형을 각각 제작하였다. Slip casting은 40 wt%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슬러리를 사용해 알루미나 몰드에서 이루어졌고 냉간정수압성형은 20 MPa의 압력하에서 수행되었다. 성형체들은 $1600^{\circ}C$, $1700^{\circ}C$, $1750^{\circ}C$에서 각각 소결하여 성형방법에 따른 상관계와 소결밀도를 조사하였다. 냉간정수압성형에 의한 시편이 $1700^{\circ}C$까지 ${\beta}"-Al_2O_3$의 상분율이 월등히 높은 반면, 소결밀도에 있어서는 slip casting방법의 경우가 다소 높았다. 소결 시 상대밀도는 $1750^{\circ}C$에서 1 h 경과 후, 두 경우 모두 약 83%를 나타내었다. 90 min 이상 소결하였을 때는 입자의 과대성장과 기공으로 인해 오히려 밀도가 낮아졌다.

암모니아 재순환 침출공정을 이용한 볏짚의 전처리 (Pretreatment of Rice Straw by Using Ammonia Recycled Percolation Process)

  • 강춘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89-95
    • /
    • 2009
  • 볏짚은 섬유소와 헤미셀루로우스의 함유량이 높아,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목질계 바이오매스 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볏짚으로부터 바이오 에탄올 생산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써 암모니아 재순환 침출 공정을 적용하였다. 특히 생성된 고형물의 조성과 효소 가수분해도에 전처리 공정의 온도와 반응시간 그리고 암모니아의 농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행한 전처리 공정의 온도, 반응시간, 그리고 암모니아의 범위는 차례로 $150{\sim}190^{\circ}C$, 10~90 min 그리고 0~20 wt%이다. 전처리 공정을 통하여 약 84%의 리그닌과 20~80%의 헤미셀루로우스가 용해되었다. 또, 15 wt%의 암모니아 수용액을 이용하여 $170^{\circ}C$에서 90 min 동안 전처리한 고형 잔재물의 경우 15 FPU/g of glucan의 셀루라제 효소를 첨가하여 약 90%의 효소 가수분해도를 얻을 수 있었다. 셀루라제와 자일란나아제를 함께 사용하면 가수분해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였으며, 이는 헤미셀루로우스가 가수분해 과정에서 중요한 방해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50^{\circ}C$에서 20 min 동안 15%의 암모니아수로 전처리된 시료를 이용한 동시당화발효 실험과 동시당화공동발효 실험에서는 각각 13.8 g/L(초기 glucan을 기준으로 81%)와 15.2 g/L(초기 glucan과 xylan의 합을 기준으로 89%)의 에탄올이 생성되었다.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By-product in Citrus Processing)

  • 박용곤;강윤한;차환수;김흥만;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9-664
    • /
    • 1996
  •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알콜불용성 고형물(ASS)의 함량은 albedo층이 18.1%로 가장 높고, pulp가 5.7%로 가장 낮았다. AIS 구성 다당류 중 펙틴은 pulp와 albedo층이 각각 40.5% 및 35.2%로 구성되어 있어 펙틴 추출용으로서 좋은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펙틴 함량은 부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체로 AIS에 대해 30% 내외 이었으나, 가용성 펙틴 중 염산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flavedo층이 14.0%로 가장 높고, pulp가 4.4%로 가장 낮았으며, 염류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pulp부위가 15%임 에 비해 과피는 7% 정도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0.05N-HCI을 사용하여 $85^{\circ}C의$ 열탕에서 펙틴을 추출한 결과 60분의 가열처리로 90%이상의 펙틴이 용출되었으며, microwave의 경우 5분간 2회 조사시킴에 의해 90% 정도 추출되었으나 부위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고, 이들 펙틴의 에스테르화도에 있어서는 microwave 처리구의 것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 펙틴의 중성 당 조성을 조사한 결과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로 구성되고 있고, 이중 galactose가 60~78% 정도를 차지한 반면 xylose는 5% 이하이었다.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Sepharose CL-4B를 이용,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조사한 결과 부위별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pulp의 경우 분리 피크가 2개로 나타나 pulp를 구성하는 펙틴은 분자량이 높은 것과 이보다 낮은 두 group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신품종 장새미 마늘의 식물화학적 구성 및 생리활성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new garlic (Allium sativum) cv. 'Jangsaemi')

  • 김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01-705
    • /
    • 2021
  • 장새미 마늘은 2012년에 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으나 재배 면적도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련 논문도 없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장새미 마늘의 무기물 함량은 칼륨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소, 황, 인 순이었다. 알리인과 알리신도 각각 9.73±0.97, 1.65±0.15 mg/g이었다. 고형물함량은 7.90±0.00°Brix였으며 환원당은 33.42±1.79 mg GE/g이었다.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35±2.67 mg GAE/100 g, 33.80±2.17 mg QE/100 g였다. 장새미 마늘의 항미생물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더 높았으며 특히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Micrococcus luteus에서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장새미 마늘을 재배하는 농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 With Alcohol Extraction

  • Shin, Kwang-Soon;Oh, Sung-Hoon;Kim, Tae-Young;Yoon, Brian;Park, Sung-Sun;Suh, H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12-218
    • /
    • 2008
  • We extracted red ginseng with various alcohol concentrations and evaluated total carbohydrate, uronic acid, polyphenols compounds and ginsenoside contents, and yields of alcohol extract. The water extraction (0% alcohol extraction) showed a high level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10% and 20% alcohol extraction showed the highest uronic acid contents (7,978.8 and $7,872.7\;{\mu}g/mL$ of extract, respectively). The efficiency order of the red ginseng extract (RGE) preparations in liberating polyphenols was: $0{\sim}50%$ alcohol${\geq}\;60%$ alcohol> $70{\sim}90%$ alcohol. Solid contents in RGE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alcohol concentration; the same tendency as with the results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Total ginsenoside contents in $20{\sim}50%$ alcohol extracts showed similar levels ($442,962.9{\sim}47,930.8\;{\mu}g/mL$ of extract). Water extraction showed the lowest ginsenoside content ($14,509.4\;{\mu}g/mL$ of extract). The ginsenoside contents at above 60% alcohol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alcohol concentration. Generally, ginsenoside (Rg2, Rg1, Rf, Re, Rd, Rb2, Rc and Rb1)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alcohol concentrations. However, Rg3 content wa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alcohol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