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 MV

검색결과 873건 처리시간 0.024초

GIS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경관유형 분석 (Analysis of Landscape According to Land Use at Rural Area in Korea Using GIS Application)

  • 홍승길;서명철;정필균;손연규;박광래;강기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
    • /
    • 2006
  • 우리나라 농촌경관의 공간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383 개 "리"와 "동"의 토지이용현황과 지형조건을 GIS기법으로 분석하여,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농촌, 자연, 도시형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다시 공간유형을 기본으로 하여 산악지역(MA), 산촌마을지역(MV), 개발산촌마을지역(DM), 평야지 농업지역(PA), 개발평야지마을지역(DP), 집촌지역(UA)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조건불리지역에서는 농업적 토지이용 중에서 논으로 사용하는 비율이 과수원이나 밭으로 사용하는 비율보다 낮았는데, 다른 유형에서는 오히려 1.5배 높았다. 산촌형 지역(MA, MV, DM)에서는 자연적 토지이용 중 산림이 75%이상이었으나, 평야지형 지역(PA, DP)에서는 수계의 비율이 산림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평야지형 지역에서 경지정리된 논의 비율이 경지정리되지 않은 논의 비율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도시적 토지이용 중에서 공업시설과 가축사육시설의 비율은 MV, DM, DP에서 약 20%였는데 이러한 시설들이 개발 농촌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6가지 유형에 따른 경사도의 상대적 비율에서는 MA에서 E와 F등급의 급경사가 상당히 많았고, PA, DP, UA에서는 반대로 A와 B등급의 완만한 경사가 75% 이상이었으며, MV와 DM에서는 다른 유형들에 비해 6가지 경사등급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였다. 지형분포를 살펴보면, MA에서 월등히 많은 고지대가 분포하였다. 이상과 같이 농업, 자연, 도시의 3가지 경관에 대해 토지이용현황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이 방법이 농촌 지역을 관리하는데 유용함을 보였다. 지속적 농업과 어메니티를 개발하는 방법들을 농촌경관유형에 따라 적절히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험은 포화수분상태에서 두개의 서로 다른 토양의 흡착가능장소에 대한 흡착능과 경쟁에 따른 Cd, Pb, 그리고 Cr 이온의 이동성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수용성상태로 단일, 이중, 삼중의 중금속 조합을 이용하였다. 두개의 토양시료는 밭토양의 지표면으로부터 20 cm 이내에서 채취한 토양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공극수량에 따른 출현과 용출곡선을 중금속용액과 치환용 K 이온용액을 가하여 각각의 곡선이 최대와 최소치에 이은 시점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출현과 용출곡선은 대칭을 이루지 않았으며 용액상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이온의 종류가 증가됨에 따라 용출곡선의 미행이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공극수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출현과 용출곡선을 기준하여 곡선의 위와 아래의 면적을 비교하여 본 결과 출현 후 K에 의한 용출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아 K에 의한 중금속 탈착은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중금속이온이 가지는 전기음성도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토양내에서 중금속이온의 이동은 토양내에서 존재하는 중금속이온의 종류가 2개 이상 존재하는 한 토양의 물리적 비평형과 용액상태의 화학적평형이 중금속이온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Evaluation of the antigen relatedness and efficacy of a single vaccination with different infectious bronchitis virus strains against a challenge with Malaysian variant and QX-like IBV strains

  • Ismail, Mohd Iswadi;Tan, Sheau Wei;Hair-Bejo, Mohd;Omar, Abdul Rahma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6호
    • /
    • pp.76.1-76.13
    • /
    • 2020
  • Background: The predominant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 strains detected in chickens in Malaysia are the Malaysian variant (MV) and QX-like, which are associated with respiratory distress, nephropathy, and high mortality. On the other hand, the antigenic relatedness and efficacy of IBV vaccines against these 2 field IBV strains are not well characterize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ntigen relatedness and efficacy of different IB vaccine strains against a challenge with MV and QX-like strains. Methods: The antigen relatedness and the ability of different IB vaccine strains in conferring protection against MV and QX-like were assessed based on the clinical signs, macroscopic lesions, and ciliary activity. Results: The MV strain IBS037A/2014 showed minor antigenic subtype differences with the vaccine virus Mass H120 and 4/91 strains but showed major antigenic subtype differences with the K2 strain. The Malaysian QX-like strain IBS130/2015 showed major antigenic subtype differences with the MV strain IBS037A/2014 and the vaccine strains except for K2. Chickens vaccinated once with Mass (H120) or with non-Mass (4/91 and K2) developed antibody responses with the highest antibody titer detected in the groups vaccinated with H120 and 4/91. The mean ciliary activities of the vaccinated chickens were between 56 to 59% and 48 to 52% in chickens challenged with IBS037A/2014 and IBS130/2015, respectively. The vaccinated and challenged birds showed mild to severe lesions in the lungs and kidneys. Conclusions: Despite the minor antigenic subtype differences, a single inoculation with Mass or non-Mass vaccines could not protect against the MV IBS037A/2014 and QX-like IBS130/2015.

6 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한 유방암 치료 (A Trial of 6 MV Linear Accelerator Radiation Therapy (RT) for Breast Cancer)

  • 이귀원;박주선;김걸;윤세철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7-42
    • /
    • 1985
  • Radiation Therapy(RT)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for over 80 years. Technically, it should include a part or all of such areas as chest wall or breast, axilla, internal mammary nodes(IM) and supraclavicular nodes (SCL). Authors tried three-field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using 6 MV linear accelerator, exclusively the department of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at Catholic Medical College. The field junction was checked by a phantom study and radiation doses measured by film densitometry and TLD. The 3 fields we used in this study were two isocentric opposing tangential fields encompassing the breast, chest wall and occasionally IM and one single anterior field encompassing the axilla and SCL. Using appropriate beam blocks and blouses, we were able to avoid unwanted intrinsic divergency of photon beam. Blocking also enabled us to set-up precise radiation field with ease.

  • PDF

6MV 전자 선형 가속기 광자선의 전자오염 (Contamination of the 6MV Linear Accelerator Photon Beam by Electrons)

  • 유명진;김동원;정운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21-30
    • /
    • 1988
  • 부산의대 부속 병원의 전자선형가속기 (Mevatron 67) 장치를 이용 하여 표면선량의 원인이 되는 광자선의 전자오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표면선량은 조사야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빔내에 트레이를 설치했을 때와 트레이를 제거했을때 표면선량의 변화와 전자오염정도를 관찰하였다. 전자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구리 필터를 트레이 밑에 부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거리를 변화 시켜가며 선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최대의 피부보호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SSD와 TSD를 구하였다. 이런 모든 결과들은 방사선 치료 환자의 피부보호에 이용될 것이다.

  • PDF

6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한 유방암 치료 (A Trial of 6-MV Linear Accelerator Radiation Therapy (RT) for Breast Cancer)

  • 윤세철;권형철;오윤경;김종우;박용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2호
    • /
    • pp.303-309
    • /
    • 1984
  • Radiation therapy(RT)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for over 80years. Technically, it should include a part or all of such areas as chest wall or breast, axilla, internal mammary nodes (IM) and supraclavicular nodes (SCL). Authors tried three-field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using 6-MV linear accelerator, exclusively the department of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at Catholic Medical College. The field junction was checked by a Phantom study and radiation doses measured by film densitometry and TLD. The 3 fields we used in this study were two isocentric opposing tangential fields encompassing the breast, chest wall and occasionally IM and one single anterior field encompassing the axilla and SCL. sing appropriate beam blocks and boluses, we were able to avoid unwanted intrinsic divergency of photon beam. Blocking also enabled us to set-up precise radiation field with ease.

  • PDF

Prediction of Midline Dose from Entrance and Exit Dose Using OSLD Measurements for Total Body Irradiation

  • Choi, Chang Heon;Park, Jong Min;Park, So-Yeon;Chun, Minsoo;Han, Ji Hye;Cho, Jin Dong;Kim, Jung-i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77-82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midline dose based on the entrance and exit doses from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etector (OSLD) measurements for total body irradiation (TBI). Materials and Methods: For TBI treatment, beam data sets were measured for 6 MV and 15 MV beams. To evaluate the tissue lateral effect of various thicknesses, the midline dose and peak dose were measured using a solid water phantom (SWP) and ion chamber. The entrance and exit doses were measured using OSLDs. OSLDs were attached onto the central beam axis at the entrance and exit surfaces of the phantom. The predicted midline dose was evaluated as the sum of the entrance and exit doses by OSLD measurement. The ratio of the entrance dose to the exit dose was evaluated at various thicknesses. Results and Discussion: The ratio of the peak dose to the midline dose was 1.12 for a 30 cm thick SWP at both energies. When the patient thickness is greater than 30 cm, the 15 MV should be used to ensure dose homogeneity. The ratio of the entrance dose to the exit dose was less than 1.0 for thicknesses of less than 30 cm and 40 cm at 6 MV and 15 MV,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edicted midline dose can be underestimated for thinner body. At 15 MV, the ratios were approximately 1.06 for a thickness of 50 cm. In cases where adult patients are treated with the 15 MV photon beam, it is possible for the predicted midline dose to be overestimated for parts of the body with a thickness of 50 cm or greater. Conclusion: The predicted midline dose and OSLD-measured midline dose depend on the phantom thickness. For in-vivo dosimetry of TBI, the measurement dose should be corrected 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the midline dose.

CT 관전압이 상용 전산화치료계획장치의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T Voltages on the Dose Calculated by a Commercial RTP System)

  • 강세권;조병철;박희철;배훈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5권1호
    • /
    • pp.23-29
    • /
    • 2004
  • CT관전압 및 기종의 변화에 따른 전자밀도 환산곡선 값의 변화가 상용 전산화치료계획장치의 선량계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CT기종 및 관전압을 달리하며 전자밀도 환산용 팬톰에 대한 CT 영상을 얻어서 여러 조직등가물질에 대해 전자밀도와 CT수의 관계를 구하였다. 동일 전자밀도에 대해 관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고밀도의 골조직으로 갈수록 큰 CT수를 보였으며, 연조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전자밀도 환산곡선 값의 변화가 선량계산 결과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치료계획장치 상에서 폐조직과 골조직을 포함하는 물 팬톰을 그려서 만들고, 이들 가상 조직의 후방 위치에서 6 MV 광자선에 의한 선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폐조직, 물, 골조직의 순서로 선량이 높았으며, 골조직에 의한 선량은 관전압이 낮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10 MV의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임상 적용의 예로서 폐 및 골반 부위의 CT 영상을 이용한 선량계산에서는 6 MV 및 10 MV모두 전자밀도 환산곡선 값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전자밀도 환산곡선을 구하는데 이용한 CT 기기와 선량을 계산하는데 이용한 영상을 얻은 CT 기기가 다른 데서 오는 것으로 판단되는 오차로서 최대 1.5%의 상대선량차이를 보였다.

  • PDF

LEDITE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시설에 관한 고찰 (The consideration about the shielding effect of LEDITE)

  • 민제순;이제희;박흥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8
    • /
    • 2003
  • I. 목적 방사선치료에 사용되는 선형가속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국내 원자력법 및 국제 방사선방어규정에 의거하여 일정 면적이상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방사선 방호 등의 차폐두께를 면밀히 검토하여 시설공사를 시행한다. 본원에서는 방사선치료 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치료장비의 증설이 요구됨에 따라 기존시설에 장비설치를 위한 공간확보의 어려움이 초래되었다. 이에 차폐벽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특수차폐물인 Ledite(Atomin International사, 미국)를 사용하여 시공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II. 대상 및 방법 본원에 추가 도입되는 6MV 선형가속기, 15MV 선형가속기실의 차폐시설을 밀도가 다른 두 종류인 Ledite XN240 (15MV-TVT19.1cm, 6MV-TVT15.2cm), Ledite XN288 (15MV-TVT20.3cm, 6MV-TVT15.2cm)를 사용하여 기존 건축시설에 의한 특수공법으로 국내 건축기술진에 의해 시공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콘크리트에 의한 건축과 Ledite에 의한 건축을 비교하였을 때 최대(천정)236.4cm를 103.7cm로, 최소(벽)158cm를 69.4cm로 2배의 벽두께를 축소할 수 있었다. 공사기간은 Ledite의 경우는 약 90일, 콘크리트는 150일로 건축기간을 2개월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Ledite는 취급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의 안정성과 공사후 에너지에 따른 장비의 변경시에도 쉽게 재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반면에 공사비용은 Ledite는 약 10억(예상), 콘크리트는 약 4억 정도로 고가의 공사비가 지출됨을 알 수 있었다. IV. 결론 시공후 survey meter로 측정한 결과, 누출선량이 허용선량 이내로 측정되었으며, 본원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 방사선시설을 차폐할 경우 Ledite를 이용함으로써 공사기간 단축 및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였으나 공사비요 지출 증가가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