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10(k)

검색결과 1,196건 처리시간 0.029초

인천지역 남자 고등학생의 아침식사의 결식 유무와 식사유형별 외식 실태 (Eating Out Status according to Skipping and Type of Breakfast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 최은진;최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2-111
    • /
    • 2020
  • Objectives: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mong adolescents seems to be connected to a high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be interrelated to various nutri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etary habits of breakfast and eating out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in male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Dietary habits and eating out status were surveyed among 510 male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Incheon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ir breakfast skipping and breakfast type. Results: The percentages of subjects in the breakfast skipping group and breakfast group were 41.0% and 59.0%, respectively, and the breakfast group comprised a Korean meal group (74%) and a convenience meal group (26%). In the breakfast skipping group, the percentage of subjects buying and eating snacks due to hunger was 39.7%. Reasons for eating breakfast among subjects who ate breakfast were because parents prepared breakfast (41.9%) and out of habit (31.5%) in the Korean meal group, in contrast to because parents prepared breakfast (36.7%) and due to hunger (29.1%) in the convenience meal group (P < 0.001). Breakfast preparer was mother (91.4%) in the Korean meal group, in contrast to mother (67.1%) and self (20.3%) in the convenience meal group (P < 0.001). A high proportion of the breakfast group woke up at 07~07:30 or 06:30-07, whereas a high proportion of the breakfast skipping group woke up at 07~07:30 or after 07:30,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reakfast skipping (P < 0.001). A high proportion of the breakfast group spent 10,000 won (32.5%) a week eating out while a high proportion of the breakfast skipping group spent 20,000 won or more (28.2%),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Conclusions: About 40%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skipped breakfast and consumed snacks as a solution after breakfast skipping. The students who skipped breakfast spent more money on eating out. These results show that breakfast status may be related to eating out. Therefore, practical education on food choice and meal preparation along with regular breakfast instruction is needed in male adolescents.

Benzoylurea계 살충제 teflubenzuron과 flucycloxuron의 토양환경중 동태 (Behavior of benzoylurea insecticide teflubenzuron and flucycloxuron in soil environment)

  • 김태화;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510-516
    • /
    • 1993
  • Benzoylurea계 살충제인 teflubenzuron과 flucycloxuron의 토양환경 중 분해양상, ure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용탈정도를 조사하였다. 안심과 칠곡지역 토양에서의 분해반감기는 flucycloxuron의 경우 50.1일과 102.3일로 나타났고, teflubenzuron의 경우에는 20.9일과 39.1일로 나타나 두 농약 모두 유기물 함량이 많고 pH가 다소 높은 안심지역 토양에서 더 빨리 분해되었다. 두 약제간에는 teflubenzuron이 flucycloxuron보다 안심지역 토양에서 29.2일 칠곡지역 토양에서는 63.2일 정도 더 빨리 분해되었다. Teflubenzuron과 flucycloxuron의 살균토양에서의 분해율은 120일 경과 후 두 토양에서$24.7{\sim}40.1%$ 정도로 분해가 상당히 지연되었다. 두 약제의 처리에 의한 토양내의 ure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농약처리 직후에는 무처리구에 비해서 두 농약 모두 37.6에서 42.4% 정도로 저해를 나타내었으나 60일 경과 후에는 거의 저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20일 경과 후에는 활성을 약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oil column을 이용하여 안심 및 칠곡지역 토양과 유기물을 완전히 제거시킨 모래에서 용출수에 의한 용탈실험을 행한 결과 두 약제의 표준품과 제품 모두 토양에 상관없이 표층으로부터 2.5 cm 이내에 $77.6{\sim}98.8%$ 정도로 잔류하였고 표층으로부터 5 cm 이하로는 전혀 용탈이 일어나지 않았다.

  • PDF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최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8-7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역할을 파악하여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시와 P시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 2개교에서 간호대학생 55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07일부터 11월 25일까지였다. 설문에 응답한 데이터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3.86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97점,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3.34점이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r=.640, p<.001),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r=.510, p<.001), 간호전문직관과 대학생활적응(r=.448, p<.001)은 각각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한 조절효과(F=8.460, p=.004)와 부분매개효과(${\beta}=.21$, p<.001)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전문직관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소매업태의 지각된 서비스 편의성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백화점과 종합슈퍼마켓간 차이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nsumers' Perceived Service Convenience: Differences between Department Stores and General Super Markets)

  • 김미정;박철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85-94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mpacts of consumers' perceived service convenience of retailers on various service performance metrics such a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t also trie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service convenience dimensions on service performance between a department store and a general super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four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proposed and tested. Two hypotheses were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convenience dimensions and service performance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other two hypotheses were on comparisons for the effects of convenience dimensions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etween department stores and general super markets. To test the hypotheses, three department store chains (Hyundai, Lotte, and Shinsegae department Store) and three general super markets (E-mart, Homeplus, and Lotte mart) were involved. Overall, 510 usable responses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largely suppor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of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show that access convenience, transaction convenience, benefit convenience, and post-benefit convenience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ervice quality, whereas decision convenience, access convenience, transaction convenience, benefit convenience, and post-benefit convenience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department stores and general super markets in the effects of benefit convenience and post-benefit convenience on service quality as well as the effects of transaction convenience and post-benefit conveni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s - The concept of service convenience is important in retail environment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is topic in retail literature. Specially, while service convenience dimensions have different impacts on service performance in distinct retail environments, there has been little investigation or comparison between retail types as regards service convenience. This study is the first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distinct retail types (department stores and general super markets) on the service convenience-service performance links. Manageri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ervice convenience management of retailers is an important part of successful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Because it is most important that both department stores and general super markets enhance benefit convenience to improve service performance, managers of both store types need to invest their resources to reduce consumers' perceived time and effort expenditures to experience the retailer's core benefi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tail stores should spend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to enhance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convenience, while also considering what constitutes the service outcome in the consumer's mind.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managers need to use different service convenience management tactics in department stores and general super markets. Specifically, managers in general super marke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benefit convenience and transaction convenience to achieve better service performance whereas managers in department stores should concentrate on post-benefit convenience to create customers' positive evaluation.

양식 및 천연산 어류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1) 양식 및 천연산 뱀장어의 지질성분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Cultured and Wild Fishes (1) Comparision between Cultured and Wild Eel Lipids)

  • 김경삼;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6-510
    • /
    • 1984
  • 양식어의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로 분획하고 GLC로써 이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을 분석하여 양식산과 천연산을 비교검토하였다. 천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당지질의 함량은 천연산이 총지질의 $2.6\%$로서 양식산의 $0.6\%$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천연 및 양식산 모두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은 $C_{18:1},\;C_{16:0},\;C_{16:1}$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C_{18:1}$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양자간의 이들 지방산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C_{16:1}$의 조성비는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은 반면, $C_{18:1}$$C_{22:6}$의 조성비는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는 양자 모두 $C_{22:6},\;C_{18:1},\;C_{16:0}$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중에서 $C_{22:6}$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은 양자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 PDF

온도감수성 대장균의 형질전환조건 및 Ampicillin 내성의 표현 (Transformation Conditions and Ampicillin-resistant Expression of E. coli Ts-mutant)

  • 진덕희;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2
    • /
    • 1987
  • 온도감수성 대장균 M5248 균주에 있어서의 plasmid $pPL-\lambda$와 pAS1을 $30^{\circ}C$에서 형질전환 시킬 때의 조건을 조사한 바 배양시간에 있어서는 균주의 대수 증식기 중반인 2시간 30분 배양시, 즉 cell농도는 $4.5\times10^7\;cells/ml$이며 파장 590nm에서의 흡광도가 0.45 일 때 plasmid $pPL-\lambda$와 pAS1 모두 형질전환율은 $2.4\times10^6$$1.5\times10^{-6}$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 고 competent cell $200{\mu}l(9\times10^{-6}cell)$에 대하여 plasmid 농도가 $6.4{\mu}g/ml$ 형질전환율이 $4.4\times10^{-6}$로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때 calcium chloride만으로 처리한 것 보다 calcium chloride와 thymidine을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2배 정도 더 많은 transformant를 유도하였다. Ampicillin 내성유전자는 LB배지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2시간 동안 배양했을 때 그 형질이 표현되었다.

  • PDF

몽골 공과대학교에서의 BPBL을 적용하기 위한 교수설계 방안 연구 (Instructional Study Design of the Application of BPBL in Engineering College in Mongolia)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04-510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정보통신기술 시대에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몽골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몽골 공학대학에서 적합한 Blended PBL 모형을 제시한다. BPBL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이다. 현재 몽골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환경과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공학 교수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몽골 공학 교육의 발전을 위한 BPBL 학습을 도입하며 공학 교수자들에게 더 많은 교육의 기능성을 제공 할 것이다. 최근에는 몽골에서 대학 내에 '교수학습센터'를 설립하여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교수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도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특강 형식의 지원이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많은 교수들은 '그저 자신이 배운 방식대로' 가르친다. 아직도 공학 교수방법은 교수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급변하는 미래 정보사회를 전망할 때, 몽골공과대학의 목표해야 할 기본적인 방향은, 규제의 철폐, 완화를 통해서 진정으로 풍요롭고 활력 있는 사회를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의 공과대학 강사와 사회는 익숙한 구식 방법 말고 다른 공학 교육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공학 교육 방법의 개발에 효과적인 엔지니어링 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성공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약용식물 추출물이 흰쥐의 뇌혈류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 in Rats)

  • 박성진;함태식;김천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06-510
    • /
    • 2010
  • 본 연구는 뇌혈관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양생약선으로의 활용을 위한 약용식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계획되었고 문헌상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약용식물의 여러 기능 중 혈류 및 혈압 개선 효과에 중점을 두고 그 기능을 과학적으로 확인하여 보고자 하였다. 흰쥐를 대상으로 LDF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물이 국소 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투여 시 국소 뇌혈류량은 증가되었다. 추출물이 국소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atropine, L-NNA, methylene blue, indomethacin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는 국소 뇌혈류량에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propranolol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1.0 mg/kg 농도 이상으로 투여했을 때는 국소 뇌혈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투여 시 혈압은 감소되었다. 추출물이 혈압의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atropine, L-NNA, methylene blue, indomethacin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는 혈압변화에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propranolol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1.0 mg/kg 농도 이상으로 투여했을 때는 혈압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에서 약용식물 추출물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기전은 교감신경 $\beta$ 수용체의 활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인 약선식으로의 활용에 있어 원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완제품에 대한 영양성분 및 유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easonal Dynamics of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 the Gap Stream Along With Conventional Water Quality

  • Lee, Jae-Hoon;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03-510
    • /
    • 2007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seasonal effects on the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cluding trophic guilds and tolerance guilds. For the study, we collected fish samples twice in June as premonsoon period and early September 2007 as monsoon periods in five sampling sites of the Gap Stream, and then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nutrients (TN, TP) and suspended solids (SS) were compared with the guild data along the gradient of upstream-to-downstream. Chemical water quality, based on BOD, TP, and TN degraded gradually from the upstream to downstream reach and there were about 3 fold difference between S1 and S5. Water quality was worse in the premonsoon than the monsoon, and the heavy monsoon resulted in a dilution of the polluted river by rain water, especially, in the downstream reach.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based on the catch per unit effort (CPUE),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asons; 30 species were sampled in premonsoon, but 23 species were sampled in the monsoon, indicating a seasonal difference in the fish fauna. Tolerant species dominated the fish community (48.3%) in the stream, and the proportions prior to physical disturbance by the monsoon rain were evidently greater in the downstream reach than the upstream. Thi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polluted by nutrient enrichment as shown in the BOD and TP values. Sensitive species in the premonsoon decreased from the gradient of upstream-to-downstream reach. Such seasonal modifications in the trophic and tolerance guilds were evident. In the analysis of trophic guild and habitat guild, during the premonsoon the proportion of insectivore and riffle-benthic species were largely greater in the upstream reach than the downstream, whereas the proportions were opposite along the gradient of the stream in monsoon. Thus, the patterns of chemical water quality along the longitudinal gradients reflected the premonsoon conditions of insectivores and tolerant species, indicating that summer monsoon data of fish may not match with water quality due to large physical disturbance by flow regime. Seasonal monsoon in this region as well as the chemical pollution may act as a key role influencing the fish compositions of trophic and tolerance guilds and fauna.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remonsoon rather than the monsoon, thus, may be better predictor for a diagnosis of stream health conditions.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Impact Factors for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 정복례;박현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2호
    • /
    • pp.75-84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수면의 질, 불안, 희망 및 건강상태의 관계를 확인하여 이들의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3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 11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돌봄제공자는 각각 4점 만점인 척도로 측정한 결과 수면의 질은 평균평점 2.55, 불안은 1.91, 희망은 2.78, 건강상태는 2.68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수면의 질(${\beta}=0.526$), 성별(${\beta}=-0.195$), 불안(${\beta}=-0.232$) 및 희망(${\beta}=0.169$)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59.8% (F=44.510, P<0.001)이었고, 그 중에서 수면의 질이 47.3%를 차지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고 있는 가족의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사는 수면의 질을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키고, 희망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