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9 GHz

검색결과 787건 처리시간 0.026초

하프 커팅을 이용한 이중 슬리브를 갖는 직사각형 평면 모노폴 안테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tangular Planar Monopole Antenna with a Double Sleeve Using Half Cutting)

  • 강상원;장대순;최광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57-26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이중 슬리브를 갖는 직사각형 평면 모노폴 안테나에 하프 커팅과 불연속 급전 구조를 적용하여 안테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중 슬리브를 갖는 직사각형 평면 모노폴 안테나를 자기 대칭 라인을 중심으로 하프커팅을 하고, 급전부에 불연속 구조를 적용과 이중 슬리브 간격을 조정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하였다. 안테나 파라미터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NSYS사의 HFSS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고, 안테나 크기는 $21{\times}40mm^2$이다. 제안한 안테나에서 VSWR이 2 이하인 시뮬레이션 주파수 대역은 2.6GHz~10.25GHz이다. 주파수 대역폭은 7.65GHz이다. 실제로 제작한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은 3.3GHz~9.75GHz이며, 주파수 대역폭은 6.45GHz이다. 측정된 복사패턴 주파수는 3.5GHz, 5.5GHz, 7.5GHz, 9.5GHz이다. 모든 주파수에서 다이폴안테나 패턴과 유사한 복사패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십자 슬롯을 이용한 광대역 원형편파 적층 개구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Wide Bandwidth Circularly Polarized Aperture Coupled Microstrip Antenna using Cross-slot)

  • 양태식;이범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748-754
    • /
    • 2000
  • 단일 급전구조를 갖는 새로운 구조의 십자슬롯 결합 광대역 원형판의 적층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고 측정하였다. 설계된 단일 방사소자의 10dB 반사손실 대역폭은 34.5%(9.45~13.54GHz), 3dB 축비 대역폭은 18.7%(11.17~13.39GHz), 6dB 이득 대역폭은 29% (10.21~13.64GHz)로 광대역 특성을 갖는다. 순차적 회전 배열방식을 이용하여 설게한 2$\times$2배열 안테나의 10dB 반사손실 대역폭은 35.9%(9.69~13.94GHz), 3dB 축비 대역폭은 34.6GHz (9.93~14.03GHz), 12dB 이득 대역폭은 27.4%(10.35~13.6GHz)로 더욱 개선된 광대역 특성을 갖는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확장된 8$\times$8 배열 안테나를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10dB 반사손실 대역폭은 27.3%(10.17~13.41GHz), 3dB 축비 대역폭은 27.9%(10.1~13.4GHz)로 나타났고, 방사패턴은 이론에 의한 것과 거의 일치하였다. 이 안테나는 Ku 대역에서 광대역 응용이 필요한 분야의 통신 또는 방송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하모닉 발진을 이용한 5.8GHz 대역 주파수 합성기 (5.8GHz Band Frequency Synthesizer using Harmonic Oscillator)

  • 최종원;이문규;신금식;손형식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304-308
    • /
    • 2003
  • A low cost solution employing harmonic oscillation to the frequency synthesizer at 5.8 GHz is proposed. The proposed frequency synthesizer is composed of 2.9GHz PLL chip, 2.9GHz oscillator, and 5.8GHz buffer amplifier. The measured data shows a frequency tuning range of 290MHz, ranging from 5.65 to 5.94GHz, about 0.5dBm of output power, and a phase noise of -107.67 dBc/Hz at the 100kHz offset frequency. All spurious signals including fundamental oscillation power (2.9GHz) are suppressed at least 15dBc than the desired second harmonic signal.

  • PDF

Single FET와 Class-F급을 이용한 이중대역 고효율 전력증폭기 설계 (Design of a Dual Band High PAE Power Amplifier using Single FET and Class-F)

  • 김선숙;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호
    • /
    • pp.110-1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단일 FET를 이용하여 2.14GHz/5.2GHz 이중대역 고효율 Class F 전력증폭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초기의 정합값을 적절히 이동시켜 하나의 능동소자로 2.14GHz/5.2GHz의 이중대역에서 동작되는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으며, 2.14GHz에서 32.65dBm의 출력과 11dB의 출력이득 36%의 전력효율을, 5.2GHz에서 7dB의 출력이득의 특성을 보였다. 고조파를 제어 회로를 설계하여 증폭기의 출력단에 추가 하여 Class F로 동작하는 이중대역 전력증폭기를 설계 하였다. 이중대역 Class F 전력증폭기는 2.14GHz에서 9.9dB의 출력이득과 30dBm의 출력, 55%의 전력효율을 가졌으며, 5.2GHz에서 11.7dB의 출력이득을 갖는 특성을 보였다. 고조파 제어 회로를 이용한 이중대역 Class F 전력증폭기가 전력효율을 향상시킴을 보였다.

저전력소모2.4 GHz 송수신 MMIC (A Low Power Consumption 2.4 GHz Transceiver MMIC)

  • 황인덕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5호
    • /
    • pp.1-10
    • /
    • 1999
  • 저전력으로 동작하고 24리드 SSOP에 실장할 수 있는 2.4 GHz 송수신 MMIC를 1.0㎛ 이온주입 MESFET공정으로 제작하였다. 이MMIC는 송신모드일 때 2.44 GHz에서 3.9 mA의 전류를 소모하였으며 이때 변환이득은 7.5㏈, 출력 IP3는 -3.5 ㏈, 잡음지수는 3.9㏈이었다. 수신모드일 때는 소모전류 2.0mA로 전압검출도 6.5 mV/μW를 나타내었다. 그동안 발표된 다른 MMIC가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2.4 GHz의 ISM 대역에서 간단한 방식의 무선랜, WLL, RFID 등으로 응용될 것이 기대된다.

  • PDF

역 E급 2.9 GHz/5.8 GHz 주파수 체배기 설계 (Design of Inverse Class E 2.9 GHz/5.8 GHz Frequency Multiplier)

  • 김태훈;주재현;구경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48-15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2.9 GHz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5.8 GHz 대의 무선 랜 신호를 생성하는 역 E급 주파수 체배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역 E급 주파수 체배기는 기존에 제시된 E급 주파수 체배기보다 작은 인덕턴스 소자값을 사용하고 낮은 피크 드레인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에 걸리는 부담이 적어진다. 측정한 결과 5.8 GHz에서 15dBm이 인가됐을 때 출력 전력은 21 dBm, 체배 이득은 6 dB, 전력 부가 효율은 35 %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GaAs MESFET를 이용한 ISM 대역 MMIC SPDT 스위치 설계 (Design of MMIC SPDT Switches in the ISM Band Using GaAs MESFETs)

  • 박훈;윤경식;지홍구;김해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3A호
    • /
    • pp.179-18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ISM대역에서 수신경로의 격리도를 크게 송신경로의 삽입손실은 작게 하며 동시에 P1dB를 크게 하는 비대칭구조의 MMIC SPDT 스위치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ETRI에서 지원하는 IDEC MPW의 0.5㎛ GaAs MESFET으로 제작하였다. 이 SPDT 스위치 수신경로의 삽입손실은 3GHz에서 1.518dB, 5.75GHz에서 1.777dB이고, 격리도는 3GHz에서 38.474dB, 5.75GHz에서 29.125dB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송신경로의 삽입손실은 3GHz에서 0.961dB, 5.75GHz에서 1.162dB이고, 격리도는 3GHz에서 23.259dB, 5.75GHz에서 16.632dB였다. 비대칭구조의 스위치는 대칭구조에 비하여 수신경로의 격리도가 3GHz에서 15.9dB, 5.75GHz에서 11.9dB 정도 개선되었으며, 삽입손실은 약 0.6dB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SPDT 스위치 송신경로의 P1dB는 21.5dBm로 대칭구조에 비하여3.86dB 증가하였다.

무선 통신을 위한 Quad-band RF CMOS 전력증폭기 (Quad-Band RF CMOS Power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 이미림;양준혁;박창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807-81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RF CMOS 180-nm 공정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기에서 quad-band를 지원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전력증폭기는 low-band인 0.9,1.8,2.4 GHz 와 high-band인 5 GHz 로 구성되어있으며, 각각 입력 정합회로에서는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최대 선형 전력 확보를 위해 출력 정합회로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력 정합지점으로 임피던스 변환을 진행하였다. 제안한 전력증폭기는 무선 통신 변조 신호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Long-term evolution(LTE) 10 MHz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0.9 GHz 및 1.8 GHz 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출력 전력은 각각 23.55 dBm 및 24.23 dBm으로 측정 되었고, 20 MHz 변조 신호를 사용한 경우, 1.8 GHz에서 출력 전력 22.24 dBm 이 측정되었다.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802.11n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2.4 GHz 및 5.0 GHz 대역을 측정하였으며, 출력 전력은 20.58 dBm 및 17.7 dBm으로 확인되었다.

팔각 나선형 박막 인덕터의 주파수 특성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Octagonal Spiral Planar Inductor)

  • 김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284-1287
    • /
    • 2012
  • 본 논문에서 underpass와 via를 갖지 않는 팔각 나선형 박막 인덕터 구조를 제안하고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인덕터의 구조는 Si를 $300{\mu}m$, $SiO_2$$7{\mu}m$으로 하였으며, Cu 코일의 폭과 선간의 간격은 각각 $20{\mu}m$으로 설정하여 3회 권선하였다. 나선형 박막 인덕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인덕턴스, quality-factor, SRF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HFSS로 시뮬레이션 하였다. 팔각 나선형 박막 인덕터는 0.8~1.8GHz 범위에서 2.5nH의 인덕턴스, 5GHz에서 최대 18.9 정도의 품질계수를 가지며, SRF는 11.1GHz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었다. 반면에 사각 나선형 박막 인덕터는 0.8~1.8GHz 범위에서 2.8nH의 인덕턴스, 4.9GHz에서 최대 18.9 정도의 품질계수를 가지며, SRF는 10.3GHz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미국의 5.9GHz 차세대 DSRC 주파수 및 표준화 현황

  • 오종택
    • TTA 저널
    • /
    • 통권98호
    • /
    • pp.122-132
    • /
    • 2005
  • 미국에서는 차세대 DSRC로 5.9GHz DSRC의 규격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매우 다양한 ITS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한다. 이미 FCC에서는 75MHz의 주파수를 분배하였으며 교통성 주관으로 관련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9GHz DSRC의 주파수 및 관련 기술에 대해서 연구$\cdot$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