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T3-L1 cell Lin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초

금은화약침(金銀花藥鍼)의 항암 및 면역반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s of Anti-cancer and Immune Response of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

  • 박희수;한재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05-218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cancer and changes In immune response of Lonicerge Flos Herbal-acupuncture. Methods Experimental studies were evaluated through the anti-cancer and immune response activities such as, cell viability, BNA fragmentation, Apoptosis, survival time, pulmonary colonization, and productivity of interleukins & $interferon-{\gamma}$.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anti-cancer and changes in immune response of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 Normal group(non treated group), Control A group(0.2ml Normal saline for oral administration), Control B group(administration of intramuscular injection with 0.2ml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 solution), Acupuncture group(AT, administration of acupuncture at Chungbu(L1)), and Herbal-Acupuncture group(HAT, administration of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 at Chungbu(L1)). Results : 1.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300mg/ml) could lead cancer cell to cell death. 2. Lonicerae Flos Herbal - acupuncture (40mg/ml) caused DNA cleavage. 3.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400mg/ml) caused apoptosis in the cancer cell line. 4. In mouse survival time, all of experimental groups didn't show an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5. In pulmonary colonization assay,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 group was less than Control A group at 7 days after induction of cancer. 6. In comparison Control A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of Interleukin-2 level in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 group. 7. In comparison Control group, there was decrease of Interleukin-4 level in the Acupuncture group. 8. In comparison Control group, there was decrease of Interleukin-10 level in the Acupuncture group. 9. In comparison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Interleukin-12 level in Acupuncture group and Lonicerae Flos Herbal-acupuncture group. 10. In comparison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Interferon-{\gamma}$ level in Acupuncture group. Conclusion : According to above mentioned results, Lonicerae Flos Herbal- acupuncture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anticancer and improvement in immune response.

  • PDF

Synthesis and Evaluation of Antitumor Activity of 2- and 6-[(1,3- Benzothiazol-2-yl)aminomethyl]-5,8-dimethoxy-1,4-naphthoquinone Derivatives

  • Chung, Yong-Seog;Shin, Young-Kook;Zhan, Chang-Guo;Lee, Sung-Duck;Cho, 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9호
    • /
    • pp.893-900
    • /
    • 2004
  • 2- or 6-Substituted BZT-N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against can-cer L1210 and SNU-1 cells was examined. The antitumor action was also assessed in mice bearing S-180 cells in peritoneal cavity. In a comparison, it was found that 6-substituted BZT-N derivatives exhibited higher potencies in both bioactivities than 2-substituted BZT-N derivatives against L1210 cells in in vitro and S-180 in vitro tests exception of compound 36. Interestingly, it was observed that 2-substituted compound 36, which has methyl group at RI position, exhib-ited a better antitumor activity than 6-substituted compounds against L1210 and SNU-1 in vitro. The EDso value of 2-substituted compound 36 against L1210 was found to be comparable to the EDso value of adriamycin and was even better against the solid cancer cell line SNU-1. It was also observed that 2-substituted compound 36 showed better antitumor activity in mice bearing S-180 cells in the peritoneal cavity. The T/C (%) value of 2-substituted compound 36 was simi-lar to that of adriamycin.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QSAR) tests reveal that the experimental E $D_{50}$ values against SNU-1 closely correlate with both the calculated HOMO ener-gies ( $E_{HOMO}$) and the measured H-NMR chemical shift of 3-H ($\delta$$_{H}$). The results suggests that a compound having higher $E_{HOMO}$ and $\delta$$_{H}$ values usually should have a lower E $D_{50}$ (SNU-1) value.lue.lue.lue.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L.) 정유의 향취, 화학성분 및 세포독성 (Fragrance, Chemical Composition and Toxicity of the Essential Oil in Erect Bur-marigold (Bidens tripartita L.))

  • 윤미선;연보람;조해미;이사은;주진우;정지욱;박유화;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5-203
    • /
    • 2012
  • 가막사리는 우리나라 전역의 논에서 다발생하여 농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일년생잡초이지만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막사리 정유를 향장산업제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가막사리에 함유된 정유의 함량은 $0.028{\pm}0.003%$이었으며, 역치값은 0.1%이었으며, 향취는 green, herbal, oily, spicy이었다. 가막사리 정유에는 탄화수소 17종, 알코올 6종, 아세테이트 6종, 질소화합물 5종, 에테르 3종, 케톤 3종, 락톤 1종, 황화합물 1종 등 총 42종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함량 성분은 ${\alpha}$-phellandrene(22.50%), ${\alpha}$-pinene(22.21%), 2,4-dimethyl(2,5-dimethylphenyl)methyl ester benzoic acid(15.11%), limonene(10.66%), ${\beta}$-pinene(35.43%), ${\beta}$-cubebene(5.27%)이었다. 가막사리 정유가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한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가막사리 정유의 $IC_{50}$값은 0.018%이었으며,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피부자극유발시험을 수행한 결과 가막사리 정유 0.1% 처리에도 그 어떠한 발진이나 수포도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막사리 정유가 향장제품을 위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여 준다.

닭의 성장과 산란 생산성 개선 효과 증대를 위한 한방제제(Herb Mix®)의 개량에 관한 연구 (Modification of Herbal Product(Herb Mix®) to Improve the Efficacy on the Growth and Laying Performance of Chickens)

  • 이우선;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5-251
    • /
    • 2007
  • 한방생약제제(Herb $Mix^{(R)}$) 첨가가 중대추의 증체와 산란 개시 및 peak 도달일령, 산란 생산성, 계란 품질, 분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성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14주령된 산란계(Hy-Line Brown) 중추 1,120수를 무첨가 대조구(T1), Herb $Mix^{(R)}$(HM)(T2), 지황 강화 HM구(T3), 당귀 강화 HM구(T4), 천궁 강화 HM구(T5), 작약 강화 HM구(T6) 그리고 플라보마이신 구(T7) 등 총 7개의 처리구에 처리당 8반복, 반복당 10케이지, 케이지당 2수씩 수용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산란율 10% 도달 시 체중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당귀 강화 HM구(T4)가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천궁 강화 HM구(T5), HM-original구(T2)와 작약 강화 HM구(T6), Flavomycin 구(T7) 그리고 지황 강화 HM구 (T3)이었으며, 대조구(T1)가 가장 가벼웠다. 산란율 50% 도달 일령 및 산란 피크 도달 일령 역시 당귀 강화 HM구(T4)가 가장 빨랐으며, 대조구(T1)가 가장 늦었다. 일계산란율, 난중,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전환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계산란율에 있어서 당귀 강화 HM구(T4)가 가장 높았고, 전체적으로 HM 첨가구들이 항생제 첨가구(T7)나 대조구(T1)보다 높았다. 난중은 천궁 강화 HM구(T5)가 가장 무거웠으며, 대조구(T1)가 가장 가벼웠다. 사료 전환율에 있어서는 항생제 첨가구(T7)이 2.14로 가장 낮았으며, 당귀 강화 HM구(T4)와 작약 강화 HM구(T6)가 2.30으로 가장 높았다. 모든 장내 미생물들의 수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Cl. perfringens와 E. coli 수는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백혈구 (WBC) 수와 heterophils(HE)의 수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WBC는 모든 첨가구 특히 HM 첨가구들이 항생제 첨가구나 대조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림프구 (LY)의 경우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모든 첨가구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stress indicator로 알려진 HE/LY는 HM첨가구들이 항생제 첨가구나 대조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중대추의 증체와 산란개시일령 및 peak 도달일령 단축, 산란 생산성에 미치는 Herb $Mix^{(R)}$ 의 첨가 효과는 기존 Herb $Mix^{(R)}$ 처방에 당귀, 작약 및 천궁을 강화시킴으로 개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이들 한방제제가 사료섭취량,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차나무 종자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항종양활성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Seed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 윤원호;최재훈;이경호;김창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8-112
    • /
    • 2005
  • 본 연구는 폐기되는 차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향균활성과 항종양활성을 비교하고 이용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항균활성과 항종양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70%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은 식중독균과 몇 종의 병원균, 효모, 곰팡이 등 17균주에 대하여 추정하였고, 항종양 활성은 6종류의 인체 암세포주, 1종류의 정상세포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차나무 잎, 종자와 과피의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종자의 70% 에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효모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candida albicans, Cryptococcus neoforman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종자 물 추출물을 $80,\;100^{\circ}C$에서 30분,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 후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가열온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항종양 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MTI assay를 통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과피 추출물에서 전혀 활성이 없었지만 종자 추출물에서는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극성용매인 70%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종양세포 증식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물 추출물이 70%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게 항종양 활성이 나타났다. 차나무 종자로부터 추출한 활성물질의 종양세포와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MTT assay로 비교한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난소암 세포인 SK-OV-3는 70%의 억제율을 나타낸 반면 정상세포에서는 10% 미만으로 나타나 정상세포보다 종양세포에 대하여 보다 큰 선택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cinia cambogia Extract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Lipotoxicity)

  • 강은실;함선아;황정석;이창권;서한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1-416
    • /
    • 2013
  • 본 연구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항비만 효과의 분자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내 지질 적의 형성 및 중성지방의 축적, 지방 분화 특이 지표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T3-L1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는 MDI로 유도 후, 2일째부터 지방 적 및 중성 지방이 유의하게 축적되기 시작하였는데, 1%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 이러한 지방 적 및 중성 지방의 축적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특이 지표 단백질로 알려진 $PPAR{\gamma}2$, $C/EBP{\alpha}$, aP2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 또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palmitate를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중성지방의 축적 및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유리 지방산의 축적에 의한 지속적인 염증 반응으로 유발되는 지방독성(lipotoxicity)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세포 수준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로도 효과적으로 비만을 억제할 수 있으며,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유리지방산에 의한 지방독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D-Methionine and 2-hydroxy-4-methylthiobutanoic acid i alter beta-casein, proteins and metabolites linked in milk protein synthesis in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 Seung-Woo, Jeon;Jay Ronel V., Conejos;Jae-Sung, Lee;Sang-Hoon, Keum;Hong-Gu,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3호
    • /
    • pp.481-49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methionine (D-Met) isomer and the methionine precursor 2-hydroxy-4-methylthiobutanoic acid i (HMBi) supplementation on milk protein synthesis on immortalized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 (MAC-T). MAC-T cells were seeded using 10-cm dishes and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DMEM/F12) basic medium. The basic medium of DMEM/F12 was replaced with the lactogenic DMEM/ F12 differentiation medium when 90% of MAC-T cells reached confluency. The best dosage at 0.6 mM of D-Met and HMBi and incubation time at 72 h were used uniformly for all treatments.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six times wherein treatm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a 6-well plate. Cell, medium, and total protein were determined using a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kit. Genes, proteomics and metabolomics analyses were also done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the milk protein synthesis pathway.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supplement type and plate as fixed effects.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The HMBi treatment group had the highest beta-casein and S6 kinase beta-1 (S6K1) mRNA gene expression levels. HMBi and D-Met treatments have higher gene express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medium protein content, HMBi had a higher medium protein quantity than the control although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D-Met group. HMBi supplementation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3 subunit protein essential for protein translation initiation resulting in higher medium protein synthesis in the HMBi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rotein pathwa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D-Met group stimulated fructose-galactose metabolism, glycolysis pathway, phosphoinositide 3 kinase, and pyruvate metabolism. The HMBi group stimulated the pentose phosphate and glycolysis pathways. Metaboli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Met treatment group increased seven metabolites and decreased uridine monophosphate (UMP) production. HMBi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hree metabolites and decreased UMP and N-acetyl-L-glutamate production. Taken together, D-Met and HMBi supplementation are effective in stimulating milk protein synthesis in MAC-T cells by genes, proteins, and metabolites stimulation linked to milk protein synthesis.

Jl 배아주세포를 이용한 효율적인 생식선 이행 카이미라의 생산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vity of Germ-line Chimeras from Jl Embryonic Stem Cells)

  • 김선욱;구본실;정상균;이태훈;유성란;남윤이;김정림;현병화;신희섭;이경광;상병찬;유대열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77
    • /
    • 2001
  • 본 실험은 phospholipase C (PLC)-$\beta$-3 및 peroxiredoxin (Prx) II 유전자가 적중 ($\Delta$)된 J1 마우스 배아주 (embryonic stem) 세포로부터 생식선이행 카이미라 마우스생산을 위한 제반조건 및 배아주세포의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80% 이상의 정상핵형을 보이는 유전자 적중된 4개의 클론 ($\Delta$Pu II C3, $\Delta$Pu II C3, C10 및 15)으로부터 카이미라를 생산하였을 때 형태적으로 분화정도가 높은 클론 ($\Delta$PLC$\beta$-3 C3)의 이용은 카이미라의 생산율 (21.1%)과는 무관하게 카이미리즘 (< 20%)이 낮았고, 수컷 카이미라의 생산 빈도 (7/15, 46%)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태적으로 안정된 3개의 클론 ($\Delta$Prx II C3, C10 및 15)은 80% 이상의 높은 카이미리즘을 지닌 마우스 (9/13, 69.2%)를 생산하였고, 수컷 카이미라의 생산율 (l1/13, 84.6%)도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80% 이상의 정상핵형을 지닌 배아주 세포를 형태적으로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카이미리즘이 높은 마우스를 생산하는데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세주입용 배반포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5~10주령 사이의 C57BL/6J 암컷마우스를 교배 한 결과, 10주령 마우스가 미세주입가능한 3.5일령 배반포를 가장 많이 생산 (2.94개/마리)하였다. 또한 미세주입된 배반포를 이식하기 위해 ICR 및 ICR$\times$C57BL/6J F1 (IBF1)위임신 대리모를 사용하였을 때, IBF1이 복당 산자수 (2.8 vs. 5.6)가 많았고 카이미라 생산율 (0 vs. 35.3%)도 매우 높았다. 따라서 공여마우스의 주령 및 대리모의 선택이 카이미라 생산효율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결과적으로 핵형이 안정된 ES 세포를 동정하는 것은 물론 클로닝 과정중에 형태적으로 분화가 없도록 ES세포를 배양하는 것이 카이미리즘이 높은 마우스를 생산하고 아울러 생식선 이행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In vitro cytotoxicity of self-etching primers)

  • 이창훈;김인령;김규천;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2-433
    • /
    • 2006
  •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는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교정치료를 하는 동안 치주조직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가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 이를 전통적인 접착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시편은 임상에서 브라켓 접착 시 사용하는 Transbond XT Adhesive (3M Unitek, Monrovia, CA, USA)를 각각 Transbond XT Primer (3M Unitek, Monrovia, CA, USA), Clearfil SE bond (Kuraray, Osaka, Japan), Transbond Plus Self Etching Primer, Adper Prompt L-Pop (3M Unitek, Monrovia, CA, USA)과 혼합한 후 광중합하여 제작하였고, Transbond XT Adhesive를 중합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이를 배양된 HGF-1 (Human eingiva Fibroblast),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RHEK (immorialized Human Epidermal Keratinocyte)에 노출시킨 후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고, MTT assay를 시행하여 세포독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72시간 후 HGF-1, HaCaT,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나 세포 돌기의 위축, 세포 형태의 변화, 세포 수의 감소, 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MTT assay 실험 시 HGF-1 을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Transbond Plus SEP, Adper Prompt L-Pop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고, HaCaT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fil SE Bond,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Transbond XT Primer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가 산부식프라이머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이 유의하게 높으므로 구강내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Trichoplusia ni 세포에 내재하는 당 수송체에 D-fructose가 미치는 효과와 Trichoplusia ni 세포에 발현된 사람 HepG2형 포도당 수송 단백질의 photolabelling (Effect of D-Fructose on Sugar Transport Systems in Trichoplusia ni Cells and Photolabeling of the Trichoplusia ni Cell-Expressed Human HepG2 Type Glucose Transport Protein)

  • 이종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1
    • /
    • 2014
  • Trichoplusia ni (T. ni) 세포는 사람 당 수송체를 이성질적으로 많은 양 생산하려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baculovirus 발현 시스템의 숙주세포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T. ni 세포에 존재하는 내재된 당 수송체의 높은 활동은, 발현된 외재적 당 수송체의 수송활성과 같은 직접적 증거 제시에 장애가 된다. 뿐만 아니라 곤충세포에 내재하는 당 수송체계의 특성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baculovirus 발현 시스템을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해 T. ni 세포의 2dGlc기질 수송에 D-fructose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으며, T. ni 세포에 발현된 사람 당 수송체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다 용이하게 검증하기 위해 발현된 수송체를 [$^3H$] cytochalasin B를 이용하여 photolabelling 하였다. 우선 감염되지 않은 세포와 recombinant AcMPV-GTL 감염시킨 T. ni 세포의 2dGlc uptake를 300 mM D-fructose가 있을 때와 없을 때, 그리고 $20{\mu}M$ cytochalasin B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상황에서 살펴보았다.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서의 육탄당 uptake는 D-fructose에 의해 강력하게 억제 되었으나 cytochalasin B에 의해서는 단지 미미한 억제 효과만을 보여주었다. 흥미롭게도 AcMPV-GTL 바이러스 감염된 T. ni 세포에서는 비록 2dGlc uptake율은 감염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해 다소 낮았지만 육탄당 수송 억제 반응은 근본적으로 동일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3H$] cytochalasin B를 이용한 발현단백질 photolabelling에서는, L-glucose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만 하나의 날카롭게 표지된 peak가,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서는 이러한 peak는 관찰되지 않았다. 게다가 D-glucose 존재 하에서는 발현된 단백질의 photolabelling이 완전히 억제되어짐을 보여주어, labelling의 입체선택성(stereoselectivity)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