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ification of Herbal Product(Herb Mix®) to Improve the Efficacy on the Growth and Laying Performance of Chickens

닭의 성장과 산란 생산성 개선 효과 증대를 위한 한방제제(Herb Mix®)의 개량에 관한 연구

  • Lee, W.S.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Chung Ang University) ;
  • Paik, I.K.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Chung Ang University)
  • 이우선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 백인기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cation of a herbal recipe(Herb $Mix^{(R)}$) on the growth of pullet and laying performance of hens. The formula of Herb $Mix^{(R)}$, a mixture of Rehmannia glutinosa, Angelica gigas, Discorea japonica, Glycyrrhiza uralensis, Schisandra chinensis and Ligusticum jeholense, was modified in mixing ratio. A total of 1,120 pullets(Hy-Line Brown) of 14 wks old were assigned to seven treatments; control, Herb $Mix^{(R)}$(HM), R. glutinosa fortified HM, A. gigas fortified HM, D. japonica fortified HM, G. uralensis fortified HM, S. chinensis fortified HM, L. jeholense fortified HM and Flavomycin supplemented diet. Each treatment had 8 replicates of 20 birds each housed in 2 birds cages. Body weight at 10% egg production was significantly(P<0.05) influenced by treatments. Birds fed A. gigas fortified HM diet were heaviest followed by L. jeholense fortified HM, HM-original and D. japonica fortified HM, Flavomycin supplemented diet and R. glutinosa while those fed control diet were lightest. Also, age reaching 50% egg production and peak production was earliest in A. gigas fortified HM and latest in the control.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and egg weight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reatments. Significant improvement in egg production and feed intake was shown in A. gigas fortified HM treatment. Feed conversion ratio was lowest in antibiotic(Flavomycin) treatment and egg weight was heaviest in L. jeholense fortified HM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intestinal microflora but cfu of Cl. perfringnes and E. coli tended to be lower in HM treatments than the control. Among the leucocytes of blood, the HM treatment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in counts of white blood cell and heterophils. It was concluded that modification of Herb $Mix^{(R)}$ fortifying with A. gigas, D. japonica and L. jeholense significantly influence growth and laying performance of birds.

한방생약제제(Herb $Mix^{(R)}$) 첨가가 중대추의 증체와 산란 개시 및 peak 도달일령, 산란 생산성, 계란 품질, 분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성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14주령된 산란계(Hy-Line Brown) 중추 1,120수를 무첨가 대조구(T1), Herb $Mix^{(R)}$(HM)(T2), 지황 강화 HM구(T3), 당귀 강화 HM구(T4), 천궁 강화 HM구(T5), 작약 강화 HM구(T6) 그리고 플라보마이신 구(T7) 등 총 7개의 처리구에 처리당 8반복, 반복당 10케이지, 케이지당 2수씩 수용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산란율 10% 도달 시 체중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당귀 강화 HM구(T4)가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천궁 강화 HM구(T5), HM-original구(T2)와 작약 강화 HM구(T6), Flavomycin 구(T7) 그리고 지황 강화 HM구 (T3)이었으며, 대조구(T1)가 가장 가벼웠다. 산란율 50% 도달 일령 및 산란 피크 도달 일령 역시 당귀 강화 HM구(T4)가 가장 빨랐으며, 대조구(T1)가 가장 늦었다. 일계산란율, 난중,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전환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계산란율에 있어서 당귀 강화 HM구(T4)가 가장 높았고, 전체적으로 HM 첨가구들이 항생제 첨가구(T7)나 대조구(T1)보다 높았다. 난중은 천궁 강화 HM구(T5)가 가장 무거웠으며, 대조구(T1)가 가장 가벼웠다. 사료 전환율에 있어서는 항생제 첨가구(T7)이 2.14로 가장 낮았으며, 당귀 강화 HM구(T4)와 작약 강화 HM구(T6)가 2.30으로 가장 높았다. 모든 장내 미생물들의 수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Cl. perfringens와 E. coli 수는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백혈구 (WBC) 수와 heterophils(HE)의 수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WBC는 모든 첨가구 특히 HM 첨가구들이 항생제 첨가구나 대조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림프구 (LY)의 경우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모든 첨가구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stress indicator로 알려진 HE/LY는 HM첨가구들이 항생제 첨가구나 대조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중대추의 증체와 산란개시일령 및 peak 도달일령 단축, 산란 생산성에 미치는 Herb $Mix^{(R)}$ 의 첨가 효과는 기존 Herb $Mix^{(R)}$ 처방에 당귀, 작약 및 천궁을 강화시킴으로 개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이들 한방제제가 사료섭취량,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Gerbert S, Messikommer R, Wenk C 1999 Chinesische Krauter im Ferkelfutter. In: Gesunde Nutztiere: Umdenken in der Tierernahung? (Sutter F, Kreuzer M, Wenk C, ed) p.163
  2. SAS Institute 1996 $SAS/STAT^{\circR}$ User's Guide. Release 6.12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 Ushild K, Maekawa M, Arakawa T 2002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herb extracts on volatile sulfur production in pig large intestine. J Nutr Sci Vitam 48(1):18 https://doi.org/10.3177/jnsv.48.18
  4. Wenk C, Messikommer R 2002 Tumeric (Curcuma longa) als Futterzusatzstoff bei Legehennen. In: Optimale Nutzung der Futterressourcen im Zusammenspiel von Berg-und Talgebiet. Ein Beitrag zum Internationalen jahr der Berge, Schriftenreiheaus dem Institut fur Nutztierwissenschaften (Ed. M. Kreuzer, C. Wenk and T. Lanzini). 23:121
  5. 김병기 황인업 강삼순 신상회 우선창 김영직 황영현 2002 인삼, 산약, 한약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4(3):297-304
  6. 류경선 송근섭 1999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6(4):261-265
  7. 박상일 조성구 1995 당귀와 시호의 가축 사료첨가제 이용연구. 농업산학 협도논문집 37:15-31
  8. 박성진 김만배 1996 두충잎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3(2):71-76
  9. 박성진 박희성 유성오 1998 건지황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3(2):71-76
  10. 본초학 2002 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아카데미서적. 서울
  11. 최진호 김동욱 문영실 장동석 1996 한약재 부산물 투여가 돈육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1):110
  12. 홍성진 남궁환 백인기 2002 생약제제($Mircle20^{\circR}$)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기 능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3(5):671-680

Cited by

  1. Dietary Effects of Herbal Mixture on the Laying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vol.42, pp.1, 2015, https://doi.org/10.5536/KJPS.2014.42.1.61
  2. Effects of Increasing Supplementation of Lycii fructus and Glycyrrhiza uralensis Mixture in Diet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 Immune Response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Broilers vol.42, pp.2, 2015, https://doi.org/10.5536/KJPS.2015.42.2.139
  3. Effects of Supplementary Cu-Soy Proteinate (Cu-SP) and Herbal Mixture (HBM) on the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roa, Immune Response in Broilers vol.41, pp.3, 2014, https://doi.org/10.5536/KJPS.2014.41.3.165
  4.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cecal microbial populations of layersfed diets supplemented with fermented phytogenic feed additive vol.40, pp.13036181, 2016, https://doi.org/10.3906/vet-151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