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year-old seedl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3초

저선량 ${\gamma}$선 조사가 배추종자의 발아와 수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germination and yield components of chinese cabbage)

  • 김재성;김진규;이영근;백명화;김정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4-278
    • /
    • 1998
  •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식물생육 촉진효과를 보고자 남방계 배추품종의 $1{\sim}5$년간 묵은 종자에 저선량 ${\gamma}$선을 $0.5{\sim}30.0Gy$까지 조사하여 온실과 포장에서 재배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추 묵은 종자의 발아율과 유묘초장은 저선량 조사에 의해 향상되었으나 그 효과는 저장기간에 따라 달랐다. 저장기간이 5년차, 4년차, 3년차인 종자에게는 각각 4.0Gy, 1.0Gy, 0.5Gy 조사에서 발아율과 유묘초장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1년차와 2년차 종자에서 발아율 촉진효과는 없었으나 유묘초장은 증가하였다. 포장재배한 배추의 초장, 생체중, 직경으로 본 수량은 모든 저장종자의 4.0Gy와 8.0Gy 조사구에서 증가효과가 있었고 1년차와 2년차 종자에서는 20.0Gy와 30.0Gy에서도 수량증가 효과가 있었다.

  • PDF

온도에 따른 죽절초 왜화효과 (Dwarfing Effect by Different Temperature Treatment in Chloranthus glaber)

  • 길미정;최성열;권영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3-347
    • /
    • 2012
  • 온도에 따른 왜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죽절초 1년생과 3년생 각각을 2011년 1월 3일부터 광도 $500{\pm}20$ lux, 상대습도가 $40{\pm}5$%로 유지되는 $5^{\circ}C$, $10^{\circ}C$, $15^{\circ}C$, $20^{\circ}C$의 생육상에 약 120일간 처리한 후 즉시 유리온실(50% 차광)에 입실시켜 60일 동안 계속 재배하였다. 그 결과 죽절초 1년생은 $5^{\circ}C$ 처리에서 초장 증가율이 가장 낮아 왜화에 효과가 있었지만, 생육상태는 양호하지 않았다. $10^{\circ}C$ 처리의 초장은 약간 신장 하였지만, 엽수와 엽폭이 가장 많이 증가되어 미관상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15^{\circ}C$$20^{\circ}C$ 처리는 초장이 오히려 감소되고 하엽이 지는 등 생육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죽절초 1년생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10^{\circ}C$가 가장 적정한 온도로 생각된다. 3년생 죽절초의 초장은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초장 신장률은 $5^{\circ}C$$10^{\circ}C$, $15^{\circ}C$$20^{\circ}C$ 처리구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엽수는 $5^{\circ}C$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한 마디당 측지도 $5^{\circ}C$$10^{\circ}C$는 많이 발생한데 비해 $15^{\circ}C$$20^{\circ}C$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5^{\circ}C$$10^{\circ}C$ 처리구는 8월말까지 각각 약 90%와 60% 이상 개화 되었지만 $15^{\circ}C$$20^{\circ}C$는 거의 개화되지 않았다. 위 결과로 보아 1년생과 3년생 죽절초를 소형분화로 상품화하기 위한 왜화 온도는 각각 $10^{\circ}C$$5^{\circ}C$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비수준에 따른 소나무, 낙엽송, 자작나무, 상수리나무 묘목의 생장변화 (Growth Response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at Various Levels of Fertilization)

  • 변재경;김용석;이명종;손요환;김춘식;정진현;이천용;정용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93-698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산림 수목용 비료 성분비율은 질소:인산;칼륨이 12:16:4의 1가지만 생산되고 있어, 수종별 생장특성을 고려하고 다양한 토양환경조건에 적합한 비료 성분비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에 대한 비료의 적정 비료배합 비율을 구명하기 위하여 소나무, 낙엽송, 자작나무, 상수리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30 l의 pot에 1본씩 식재하고 여러 가지의 시비수준에 대한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시비수준은 질소:인산:칼륨의 배합비율이 각각 2:2:1, 3:4:1, 3:8:1, 6:4:1, 3:4:2 및 무시비구(대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시비처리는 3년간 pot당 매년 30 g의 양을 기준으로 비료 배합비율에 따라 조제하여 시비하였다. 3년의 조사기간 동안 소나무와 낙엽송의 수고 및 근원경 생장은 3:8:1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3:4:1이나 2:2:1처리를 제외하고 시비처리수준 간에 생장 차이는 크지 않았다. 자작나무와 상수리나무 같은 낙엽활엽수종의 경우 수고 생장은 3:8:1 처리구, 근원경 생장은 6:4:1처리구가 타 시비처리에 비해 높은 생장 특성을 보였다. 조사된 4수종 모두 수고 및 근원경 생장은 3:8:1처리구 및 6:4:1처리구가 유의적인 높은 생장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3:4:1이나 2:2:1처리구의 경우 타 시비수준에 비해 낮은 생장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초제 Quinclorac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Quinclorac on Ginseng Growth)

  • 이일호;김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96-100
    • /
    • 1996
  • In this experiment, germination test of ginseng seed and growth test of two year old ginseng in soil incorporated with quinclorac (3,7-Dichloro-8-quinoline carboxylic acid) were conducted to evaluate phytotoxicity caused by quinclorac residue in soil. Ginseng seed germiilation was hardly affected, but growth of ginseng seedling was retarded by quinclorac. The phytotoxicity of quinclorac on ginseng seedling was expressed at the lowest level tested, 3.75 g a.i./10a (118 of recommended rate for rice cultivation). The representative phytotoxicity in ginseng were decreased root weight, shortened leaf width and leaf length, and weak lateral root Quinclorac residue decreased by 1/4 in pot soil after 2 months and below 2 ppm in the paddy soil applied at usual rate (30 g a.i./10a) after 1∼ 2 years. Below 2 ppd ginseng did not show any phytotoxicity symptom.

  • PDF

백합나무 5년생 체세포배 유래 클론배양묘 및 실생묘 간의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5-year-old emblings Derived form Somatic Embryos and Seedlings in Liriodendron tulipifera)

  • 김용욱;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13-618
    • /
    • 2012
  • 본 연구는 백합나무 5년생의 실생묘와 체세포배 유래 식물체(클론배양묘, embling) 간의 수고, 흉고직경, 엽 형질, 엽록소 함량 및 엽 조직의 미세구조 비교를 위해 수행되었다. 수고비교의 경우 실생묘의 평균 수고는 3.8 m, 클론배양묘의 경우 3.87 m로 나타나 두 식물체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줄기직경은 실생묘가 12.09 cm, 클론배양묘는 12.53 cm로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엽 특성비교에서는 엽장(실생묘, 108.11 mm; 클론배양묘, 113.59 mm), 엽 폭(실생묘, 149.1 mm; 클론배양묘, 167.71 mm), 엽 면적(실생묘, $119.92mm^2$; 클론배양묘, $164.43mm^2$), 엽 생중량(실생묘, 2.1 g; 클론배양묘, 2.62 g), 엽병 길이(실생묘 81.49 mm; 클론배양묘, 98.41 mm) 및 엽병 두께(실생묘 1.66 mm; 클론배양묘, 1.98 mm)등 클론배양묘가 실생묘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엽록소 a(실생묘, $11.2{\mu}g/g$; 클론배양묘, $13.2{\mu}g/g$), 엽록소 b(실생묘, $4.82{\mu}g/g$; 클론배양묘, $5.4{\mu}g/g$) 및 총 엽록소 함량(실생묘, $800.1{\mu}g/g$; 클론배양묘, $930.2{\mu}g/g$) 모두 실생묘 보다 클론배양묘가 높았으나, 카르티노이드 함량(실생묘, $260.3{\mu}g/g$; 클론배양묘, $265.2{\mu}g/g$)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엽 조직의 미세구조 비교에서는 실생묘 및 클론배양묘 둘 다 책상(palisade)과 해면(sponge) 유조직 각각은 정상적인 배열로 나타났다. 따라서 5년생 클론배양묘와 실생묘의 비교에서 생장차이는 거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고려인삼의 주아 발달경로 (Developmental Pathway of Main Bud in Panax ginseng C.A. Meyer)

  • 정찬문;임흥빈;이이;정열영;전병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89-193
    • /
    • 2009
  • 본 시험은 인삼의 채종종자의 조직을 관찰하여 잠아의 실체를 조사하였고 묘삼의 잠아특성을 산지별로 조사하여 다경이 되는 잠아의 발달경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묘삼을 본포에 이식하여 3 년생을 채굴하여 4 년생이 될 주아의 생성경로를 조사하였다. 묘삼의 주아는 발아종자의 경근천이부에서 피층조직이 융기하여 돔 (dome)형태의 원잠아 또는 측잠아가 형성된 후 이들 조직이 분화하여 발달하였다. 그리고 묘삼의 단뇌는 90%가 원잠아에서 유래하였으며 쌍뇌는 원잠아와 2 개의 측잠아 중 1 개가 발달되어 형성되었으며 3 뇌는 원잠아와 측잠아 2 개가 발달하여 형성되었다. 본포에서 2 년생과 3 년생은 주아가 단뇌로 형성되어 있어 2 경 개체가 발생하지 않으나 4 년생은 3 년생에서 발달한 쌍뇌 이상의 주아가 있어 2 경 개체이상이 관찰되는 최초의 연생이었다. 4년생의 주아는 종자에서 형성된 원잠아, 측잠아와 2-3년생에서 뇌두부위에서 형성된 피층잠아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고년생으로 갈수록 쌍뇌 또는 3뇌는 원잠아에 비해 피층잠아 유래의 주아가 많았다.

Evaluation of Alfalfa Autotoxicity on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3 Cultivars

  • Chon, Sang-Uk;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3권1호
    • /
    • pp.71-78
    • /
    • 2000
  • Autotoxicity restricts reseeding of new alfalfa(Medicago sativa L.) after alfalfa until autotoxic chemical(s) breaks down or is dispersed into external environments, often requiring up to a year or more. One solution for reducing autotoxicity would be to select germplasms or cultivars with tolerance to the autotoxic chemical(5) and use genetically breeding program. Bioassay of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was conducted to evaluate autotoxic responses of 3 varieties of alfalfa to the water-soluble extracts(at 4 and 8g/L) from alfalfa ‘Cody’leaf by using agar and filter paper medium in a petri-dish assay. Root length at 5 days after seeding was more sensitive to the extract than was hypocotyl length or seed germination, and was a better parameter of autotoxic effects of alfalfa leaf extracts. Use of an agar medium gave better sensitivity of root length than did use of filter paper. Evaluating tolerance with percent of control was more important indicator than was mean of root length because of significant variation among varieties in root length of control treatment. Bioassay ranked varieties in the following order of tolerance on the basis of relative root length; “Cody” >“ Pioneer 5373” >“ Alfagraze”. Seedling growth from old “Cody” seed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5) than was that from newly produced seed.

  • PDF

Variation in Susceptibility of Pine Species Seedlings with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Greenhouse

  • Woo, Kwan-Soo;Kim, Yeong-Sik;Koo, Yeong-Bon;Yeo, Jin-Kie;Moon, Yil-So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70-75
    • /
    • 2007
  • We conducted an inoculation test using nine open-pollinated families of pine trees to evaluate their susceptibility and mortality in different densities of pine wood nematode. Three-year-old nine open-pollinated pine families were inoculated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at levels of 3,000, 5,000, and 7,000 nematodes/seedling in greenhouse. There were no distinct patterns in latent period among three densities of B. xylophilus in all families. Most families showed the first disease symptoms of needle discoloration within 12-15 days after inoculation. However,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inus densiflora showed the longest latent period because none of one-year-old needles were wilted until 14 days after inoculation with 5,000 and 7,000 nematodes. One-year-old needles were wilted earlier than current needles in all tested families with all densities of B. xylophilus. Current needles were not wilted until 14 days after inoculation in all seedlings. The mortality of all seedlings rapidly increased from 35 days to 49 days after inoculation, and all died within 80 days except two seedlings. A 3,000 nematodes/100 ${\mu}L$ with sterilized distilled water are enough to screen 3-year-old pine seedlings for resistance to B. xylophilus.

소나무 풍매차대 가계의 유묘 생장특성과 성목 생장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Adult Trees and Their Seedlings in Open-Pollinated Pinus densiflora Families)

  • 이위영;박응준;전병환;한상억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0-336
    • /
    • 2011
  • 신속하게 생장하는 소나무의 조기 선발인자를 구명하고자 32년생 소나무의 풍매차대 검정결과로 얻어진 재적지수를 기준으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선발된 12가계의 생장특성과 동일한 가계의 유묘 생장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선발된 12가계의 종자 특성과 동일 가계의 성목 생장특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다만 소나무 유묘의 초기 생장과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별 1년생의 유묘 건물중과 성목의 재적지수(32년생)와는 1%의 유의적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적지수가 높았던 상위 그룹의 유묘 가계의 건물중에 따른 서열은 모두 상위에 있어 중, 하위 그룹과 구분이 되었다. 또한 가계별 묘고의 평균 생장속도는 상, 중, 하위그룹이 각 4.568, 3.773, 3.535로 나타나 상위 그룹이 중, 하위 그룹보다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유묘의 건물중 및 묘고 생장속도는 신속 생장하는 소나무 가계의 조기선발을 위한 주요 인자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