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pace

검색결과 3,626건 처리시간 0.041초

3D 가상공간에서의 인상 차원에 관한 연구 -2D 기반과 3D 기반의 가상공간에서의 인상차원 비교- (Empirical study of impression dimensions in 3D cyber space : Comparison research between 2D cyber space and 3D cyber space)

  • 이수정;김희선;박수이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18-1224
    • /
    • 2009
  • 온라인 3D 게임에 기원을 두던 3D 가상공간은 오늘날 3D 기술의 발달로 점점 현실과 유사하게 구현되어 사회성이 강조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3D 가상공간에서도 현실세계와 똑같이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갖길 원하게 되었고 3D 가상공간에서 인상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웹사이트 기반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상 차원과 비교되는 3D 가상공간에서의 인상차원을 제시할 것이다. 2D 기반의 가상공간과 구분되는 3D 가상공간만의 인상을 도출함으로써 전 매체에 걸친 인상 연구에 대한 바탕이 되는 이론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향후 지속적인 기술발전에 따라 변화될 3D 가상공간 상에서의 대인관계 및 문화적, 사회적 현상에 대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다.

  • PDF

3D 가상공간에서 의사표현을 위한 Sketch Annotation 제시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play Technique of Sketch Annotation in 3D Virtual Space for Collaboration)

  • 신은주;최윤철;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466-1477
    • /
    • 2009
  • 3D 가상공간은 도시 및 건축 설계 분야에 매우 적합한 활용 기술로 인식되어 다양한 연구가 시도 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 및 건축 설계의 과정이 다양한 관계자들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이를 지원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3D 가상공간이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상공간 내에 의사소통을 지원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빠르고 직접적인 의사 표현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의사 표현 방법으로는 Sketch 기법이 효과적이며, Sketch의 부 정확한 선은 협업과정의 아이디어 단계에서 사고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표현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Sketch 기법만으로는 사실상 3D 가상공간에서 협업을 지원하기 어렵다. Sketch 기법을 협업에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이 있지만 주로 3D 가상공간에 Sketch Annotation을 입력하는 것에만 중점을 두고, 입력된 Sketch가 담고 있는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선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평면이 아닌 객체에는 Sketch Annotation 입력이 불가능하거나, 입력되더라도 그 내용전달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어떠한 형태의 면에 대해서도 Sketch Annotation의 내용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Sketch-Box를 이용한 Annotation기법을 연구한다.

  • PDF

3D 가상공간에서의 인상 형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세컨드 라이프를 중심으로 인상 형성 요인 분석 (Empirical study of impression formation factors in 3D cyber space : Analysis focused on Second Life)

  • 김희선;이재희;장수진;박수이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13-520
    • /
    • 2008
  • 온라인 3D 게임에 기원을 두던 3D 가상공간은 오늘날 Web 3D 기술의 발달로 정정 현실과 유사하게 구현되어 사회성이 강조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3D 가상공간에서도 현실세계와 똑같이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갖길 원하게 되었고 3D 가상공간에서 인상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대인관계와 인상의 관계를 확인하고 인상을 형성하는 요소를 제시할 것이다. 타 매체와 구분되는 3D 가상공간만의 특정적 요소들을 분석 함으로써 본 연구는 3D 가상공간 상의 인상에 따른 대인관계 연구에 대한 바탕이 되는 이론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향후 지속적인 기술발전에 따라 변화될 3D 가상공간 상에서의 대인관계 및 문화적, 사회적 현상에 대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다.

  • PDF

Three-dimensional Mixed-use Complex Spaces and Setting Criteria for Road Sections for Three-dimensional Addressing

  • Kim, Ji You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55-465
    • /
    • 2020
  • As cities continue to expand and additional underground structures are constructed, a policy is being planned to expand addresses, which are national framework data.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scope of a proposed 3D (three-dimensional) mixed-use complex space for assigning 3D addresses was defined, based on past research on 3D address systems and by analyzing related laws. Underpass shopping malls, underground walkways (excluding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3D mixed-use transfer centers with a gross floor area of 2,000㎡ or more are connected with each space by underground walkways or public paths. In addition, the detailed space corresponding to the public space of the 3D mixed-use complex space was presented and distinguished from the space to which the detailed address is assigned.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road sec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intermediate spac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3D mixed-use complex spaces. The proposed criteria were applied to the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3D mixed-use transfer center) and COEX mall (underpass shopping malls). Thus, the road section was set for an unfamiliar 3D mixed-use complex space. However, by applying the proposed criteria to various 3D mixed-use complex spaces, additional and detailed criteria for different cases should be prepared.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서 Space Balance 3D와 Tinetti Mobility Test를 이용한 균형 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Balance Evaluation using Space Balance 3D and Tinetti Mobility Tes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최지민;이종훈;하현근;김양구;김연희;배영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64-273
    • /
    • 2012
  •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화된 시각적 되먹임 균형 훈련 및 평가 장비인 space balance 3D와 기능적 검사인 tinetti mobility test (TMT)의 신뢰도 및 버그균형척도와의 동시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아급성 뇌졸중 환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에게 space balance 3D, TMT, 버그균형척도를 이용해 균형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간 신뢰도에서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은 중등도의 신뢰도를 보인반면,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동시타당도에서 TMT의 세가지 점수, 버그균형척도,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간에 각각 중등도의 유의한 (p<.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의 후좌측, 전좌측 방향과는 각각 유의한 (p<.05)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나머지 방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space balance 3D와 TMT의 균형 능력 평가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 평가는 한계점이 있었다.

가상공간지도 기반의 3차원 가상공간 저작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uthoring Tool for 3D Virtual Space Based on a Virtual Space Map)

  • 정일홍;김은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7-186
    • /
    • 2006
  • 이 논문은 입력 영상에 대해 기존의 영상기반 렌더링 기법을 적용하고 가상공간지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사실적인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저작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고 있다. TIP 같은 기존의 기법들은 단일 영상을 사용하여 작은 3D가상공간을 구축하는 반면 여기서 제안하는 저작도구는 복수의 영상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가상공간을 구축한다. 이 저작도구는 입력영상 각각에 대해 작은 3차원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먼저 정의된 가상공간지도를 사용하여 이 독립적인 3D가상공간을 서로 연결하여 광범위한 3D가상공간을 구축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가상공간지도는 세 가지 구성요소와 세 가지 방향으로 구성되어있다. 세 가지 구성요소는 특정 공간, 연결점 및 통로이고, 세 가지 방향은 정방향, 역방향 및 양방향이다. 가상공간지도는 가상공간의 연결구조, 네비게이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저작도구는 사용자가 광범위한 3차원 가상공간을 쉽게 구축할 수 있게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 PDF

MIRIS EOC 주경의 광기계 해석 (Opto-mechanical Analysis for Primary Mirror of Earth Observation Camera of the MIRIS)

  • 박귀종;문봉곤;박성준;박영식;이대희;이창희;나자경;정웅섭;표정현;이덕행;남욱원;이승우;양순철;한원용
    • 한국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62-268
    • /
    • 2011
  •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 MIRIS)은 과학기술위성 3호(STSAT-3)의 주탑재체이다. 지구관측카메라(Earth Observation Camera, EOC)는 MIRIS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적외선 카메라 중에 하나로, 지구의 $3{\sim}5{\mu}m$ 파장대의 적외선을 관측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EOC의 광학계는 카세그레인 방식으로써 구경이 100 mm이고, 주경과 부경은 모두 비구면 반사경이다. EOC 주경의 플렉서는 링 타입으로써 발사환경에서 주경이 겪을 수 있는 충격과 진동을 견디도록 예압을 가하며 주경을 지지한다. 이는 마치 리테이너로 렌즈를 지지하는 것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주경을 지지하기 위한 시도이다. 광기계 해석을 통해 EOC 주경이 효과적으로 지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Exploration of Isovist Fields to Model 3D Visibility With Building Facade

  • Chang, Dong-Kuk;Park, Joo-Hee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9-29
    • /
    • 2011
  • Visibility of a space have been defined in several different ways: such as the axial line covering a convex space, a convex space defining the fattest shape in a space and an Isovist field formed by a field of vision at a given vantage point. Isovist fields are referred to as a descriptive medium to describe a movement by reviewing and analyzing geometric properties in them. Many descriptive methods for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isovist are applied to analyzing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in a 3D space more realistically. Although these models are regarded as a more advanced method for describing spatial properties, they have pros and cons such as complex mathematical calculations and somewhat arbitrary calibration in addition to huge consumption of memory space. These difficulties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three-dimensional visual accessibility model that explores the implication of building shape on the calculation of isovist fields drawn on a 2D plane. We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of how to measure the isovist field not as a 3D volume but as a combination of 2D plane on the ground with the 3D building shape of it's facade.

전자지도를 이용한 3차원 가상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3D Virtual Space from Digital Map)

  • 성원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6
    • /
    • 2009
  • This study describes a construction procedure of 3D virtual space using the NGIS data and its application to simulation. 3D space topography is modeled by using DEM consisted with triangular regular network. The elevations of nodal points of DEM are calculated through the interpolation with contour line and elevation points from the NGIS. Also, data for 2D roads and their environments, such as trees, lamps, and traffic signals, were extracted from the NGIS and projected on the DEM surfaces to get 3D virtual space. To give a reality to 3D virtual space and accelerate its graphic speed, data were converted into the directX format. It is believed that the virtual space constructed in this work can be applicable to the ubiqutous because DEM data can be converted to the AutoCAD format and ASCII code.

Olfactory bulb MRI 검사 시 SPACE 3D T2 기법의 Turbo factor 변화에 따른 화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ty Evaluation of the Turbo Factor of the SPACE(Sampling Perfection with Application optimized Contrast using different flip-angle Evolutions) 3D T2 Technique during Olfactory Bulb MRI Examination)

  • 이준규;노태관;조용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5-122
    • /
    • 2022
  • 본 연구는 후각망울(Olfactory Bulb) 검사 시 SPACE 3D T2 기법의 Turbo Factor 값을 변화하여 검사 한 후 2D TSE T2와 비교하여 진단능과 화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정성적, 정량적 분석 결과 SPACE 3D T2 기법이 2D TSE T2 기법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결론적으로 Turbo Factor값을 적절하게 변화 시킨 SPACE 3D T2 기법은 검사시간을 단축시키면서 2D TSE T2기법과 비교하여 화질이 증가 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충분한 진단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