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15 Revision Curriculu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 검토 (Review Report for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 이인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69-117
    • /
    • 2020
  • 이 글은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다.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분석한 기록을 남기는 것이 훗날의 교과서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이 글은 주로 (수학교육학적인 내용이 아닌) 수학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 글의 내용에 관한 수학교육계와 수학계의 더욱 깊이 있는 검토와 토론이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광학 내용의 변화 (Changes in Optics Content Described in the Middle-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mpanying Revision of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이봉우;손정우;권경필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94-202
    • /
    • 2017
  •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광학 개념 및 활동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 2007년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에 제시된 광학 성취기준과 각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에 제시된 광학 내용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광학 내용은 물체를 보는 과정, 빛과 색, 반사와 굴절, 거울과 렌즈의 상 등의 4가지 개념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특정 광학 개념의 추가, 삭제, 이동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물체를 보는 과정, 분산, 반사와 굴절 등의 개념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거울과 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의 내용이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점차 축소되었으며, 활동의 수준도 조절되었다. 셋째, 학생들이 일상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현상 및 도구에 연계하여 교과서의 내용이 제시되는 시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추가적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광학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2015개정 초등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요소분석 (Analysis of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 강현주;정세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03-41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multicultural elements and propose measures to strengthen them in the 2009and the 2015 school curriculum. Based on Kim Cheong-ha (2015), the multi-cultural guidance elements and Bennett (2003:32-35) the target system and Choi Moo-sung and Kim Soon-ja (2009) were reconstructed and analyzed. Multicultural elements show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cultural diversity, recognition and tolerance, community awareness, and self-identity. The analysis targets analyzed multicultural elements of 'seeking human beings', 'core competences' and 'school organization and operation' during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cultural elements of the former primary education process, 'cultural diversity' is 1,Recognition and tolerance'0, community spirit'3, and 'self-reliant'2 total6. In the new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18 were analyzed as 'cultural diversity'1, 'Recognition and tolerance'1, 'community spirit'8, and 'self-identity'8. The first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appearing in the new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addition of multicultural elements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rea' and 'education and tolerance' to the following: Second, to grow into a balanced multicultural society member, it proposes an enhanced multicultural curriculum in four areas: cultural diversity, recognition and tolerance, ccommunity spirit, and self-identity.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49-68
    • /
    • 2019
  • 초 중등학교에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육의 핵심이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육자료 및 교수-학습방법을 규정한 종합적인 교육계획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초 중등학교 교육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10차례에 걸쳐 개정한 바 있으며, 현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한국도서관협회에서는 2007년에 초 중등학교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해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어서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와는 차이가 있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에 맞추어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후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문이과 통합형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교 수학 및 과학 교과목 학습경험 분석: S 대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신동주;김진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1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of new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respond to strengthen basic knowled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1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S Universit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freshmen, the geometric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which is the result of students' sensitive responses to transitional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SAT system after revision. In science, general elective subjects were higher than career elective subjects, and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science subjects, which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diversity and hierarchy of science subject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earning experience after revision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learning experience of Mathematics II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geometry decreased significantly. Both Chemistry I and 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and Earth Science I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strategic choices based on obtaining grades in the CSAT and disadvantages in college entrance exam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sensitive reactions to changes in the high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were confirmed, basic mathematics and science-related courses were opened to alleviate variations in the academic ability due to elective courses, and countermeasures tailored to each university's situation.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통신기술 영역에서 다양한 볼록렌즈를 사용한 'VR 글라스' 수업자료 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using various convex lenses 'VR glasses' for area of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in middle school)

  • 황우준;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4-1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통신기술 영역에서 다양한 볼록렌즈를 사용한 'VR 글라스' 수업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학습자 및 사회적 요구분석을 통해 수업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가상현실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VR 글라스와 관련 있는 통신기술 영역을 확인하였다. VR 글라스와 관련 있는 통신기술 영역으로 정보의 통신과정을 선정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분석단계를 바탕으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교수전략 및 교수매체를 선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 개발된 수업자료는 교수 학습지도안, 수업용 PPT, 모둠활동지, 개인별 포트폴리오 활동지, 다양한 볼록렌즈를 사용한 'VR 글라스'의 예시이다. 다양한 볼록렌즈를 사용하여 VR 글라스를 제작한 결과 볼록렌즈의 지름이 큰 경우 시야각이 더 확장되었으나 이를 수치화하기 어려웠다. 실행단계에서는 중학생들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평가단계에서는 학습자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수업자료를 개선하였다.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43-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figuration changes of content elements and inquiry activities between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trends in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2009 revised one, but fell short of goal level for revision, that was to cut 20 percent of present achievement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to enhance the relation to practical life, to integrate the content elements separated, and to adopt the achievement standard to introduce new concept. Second,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also slightly decreased, and to be linked with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ome cases, the range of inquiry activity was adjusted, or the unit to present it was changed. Teacher should know exactly about the elements to be chang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 will be needed them to make an efforts in the cause of its smooth application.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지도의 개선점과 개선 방향 -Polya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ing on Polya's Problem Solving -)

  • 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25
    • /
    • 2018
  • 학교 수학에서 문제해결력의 신장은 수학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길러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 수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수학과 목표에 제시한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를 조사하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각 학년군의 5개 영역별 문제해결의 성취기준과 이를 반영한 수학 교과서의 문제해결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수학과 목표에서 문제해결의 용어 사용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이고, 문제해결 교육은 제4차 교육과정에서 시작하였다. 그 후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06 개정 교육과정까지는 활발하다가 지난 교육과정에서는 소홀해졌는데, 현재 교육과정의 초등 수학 문제해결 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개선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수학교사들의 인식 조사와 현장 실태 (Survey on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Schools' Reality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김세란;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421-444
    • /
    • 2015
  •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carried out a field survey of schools' compliance of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36 mathematics teachers in 22 middle and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mathematics teachers had low interest in and did not feel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vising the mathematic curriculum. This was because tha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curriculum revision was not well understood by secondary school teachers, thanks to a hasty revamping. In addition, schools are organizing and operating their own educational programs with the focus on the college entrance exams, regardless of the guidelines of the current revised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in Computing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 An, Sangji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81-18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ree elementary school computing curriculum - the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the computing programm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and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focusing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mainly addressed applying procedural knowledge and using digital technology is the main theme. The computing programme in England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such as algorithms.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lso addressed applying procedural knowledge, but the main focus is making softwares and robots. The finding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set up concrete educational objectives for lower grade and make them related to the secondary education to make more coherent elementary-level learning objectives. And elementary-level computing learning objectives are needed to be organized with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