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2초

5-6학년군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연구 : 2009년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lture Contents in English Textbook for Grade 5-6 : Comparison of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임보현;허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9-10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5-6학년군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을 분석하고,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군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을 분석한 선행연구로부터의 제언들이 2015 개정 영어교과서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교과서에서 바람직한 문화내용의 제시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및 2015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군 영어교과서 각 10종, 총 20종의 교과서를 문화유형, 문화소재, 문화 배경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영어교과서에는 아직 문화 유형별, 소재별, 배경별 불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2009 개정 영어교과서 분석시 제언되었던 내용들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습자에게 균형 잡힌 문화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문화내용이 유형, 소재, 배경 면에서 보다 다양하고 균형 있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문화교육발전을 위해 제언되는 의견들은 영어교과서에 반영되어 더 효과적인 문화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f Analysis Current state of the Apprenticeship Curriculum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 안재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57-78
    • /
    • 2017
  • 본 연구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편성되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제 프로그램 개발과 도제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2차 33개 도제학교의 도제 교육과정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와 '인력 양성 분야 및 목표', '학과'와 '자격' 간의 적절성(연관성)은 도제반과 일반반이 비슷하였으나 '인력 양성 분야 및 목표'와 '자격' 간의 적절성(연관성)은 도제반이 일반반보다 높은 편이다. 둘째, 도제 프로그램의 필수 능력단위와 선택 능력단위는 Off-JT와 OJT에 비교적 균등하게 편성되어 있다. 셋째, 도제 프로그램의 능력단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NCS 실무과목뿐만 아니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교과목에도 편성되어 있다. 넷째, 도제 프로그램의 능력단위와 학교 교육과정 전문교과 과목 간의 연관성은 대체로 높으나 연관성이 낮은 학교도 상당 수 있다. 다섯째, 도제 프로그램 능력단위의 학기별 편성 위계성은 대체로 높으나 위계성이 낮은 학교도 상당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도제학교의 교육과정 변경 승인 기간 유예 적용, NCS 능력단위 수정 보완 전후 매칭표 보급, 고시외 실무과목의 편성, 기업특화과목의 신설, 도제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한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National Assessment Between Japan and Korea)

  • 임해미;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59-2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PISA에서 약진하고 있는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전국학력 학습상황조사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일본의 수학교육 개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제 8차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셋째, 일본의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개요, 특징, 문항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및 PISA 수학 평가와 비교하였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역에 차이가 있으며,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에서 일본은 수학적 지식의 활용을 강조하는 B형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인 수학적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이 학교수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학년간 내용 편제의 차이,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다원화된 평가틀 등은 현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및 문항 개발에서 참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영역』의 안전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Field of home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veloped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 김남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3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중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안전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9개정 교육과정으로 12개 출판사에서 각각 집필된 중학교 교과서 12종 총 24권이다. 분석기준은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바탕으로 안전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학자들의 검토를 토대로 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기준으로 각 교과서를 읽고 '안전'이라고 직접 언급한 단어, '심리적 안전'과 '행복한 삶'을 의미하는 단어, '주의', '유의', '안정'과 관련된 단어 등 안전교육 분석기준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단어들을 모두 추출한 후 가정교과서 단원에 따른 안전교육 내용을 분석틀로 하여 빈도와 퍼센트를 내는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교과서 분석결과, 안전교육 내용 쪽수는 기술 가정 교과서 12종의 총 쪽수 3412쪽 중 336.3쪽으로 9.8%로 나타났고 권별로 안전교육 관련 내용의 비중을 분석하여 보면, 1권의 경우 안전교육 내용 비중이 총 224.9쪽, 2권의 안전교육 내용 비중이 총 111.9쪽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가정 교과서의 안전교육 비중이 낮아졌다. 안전교육 내용 가장 많은 단원은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으로 3개의 안전교육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고 '청소년의 생활', '녹색생활의 실천' 단원 등과 같이 주로 실천과 체험, 실습이 강조되는 단원의 경우 '생활안전'영역의 안전교육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당하는 안전사고와 관련 있는 가정 내 사고(1.4%), 실험 실습사고(0.3%)등에 대한 내용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유니버설주거와 학교폭력 내용은 교과서 1권과 2권에 중복해서 제시되었다. 12종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다른 안전교육 내용은 바람직한 성태도, 식생활문제, 가족 갈등, 식품의 선택이며, 가장 적게 다룬 안전교육 내용은 유해약물, 가정 복지, 인터넷 중독,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이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개발된 교과서 12종을 분석하였기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교과서와의 비교를 통해 안전교육의 내용 체계를 분명히 하고 내용의 중복을 피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과서를 보조할 수 있는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미국 일리노이주와 한국의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환경교육 내용 비교 분석 - 3~6학년 환경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 between Korea and Illinois State in USA - Focus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of 3rd~6th Grades -)

  • 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453-463
    • /
    • 2014
  •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find how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McGraw-Hill science textbooks for third to sixth grade and science textbooks of Korea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ategories were educational goals, kinds of contents, distributions of contents and ten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in science textbook of Korea and United States were biased to knowledge area.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United States was higher 2.5 times then Korea and distributed in all areas. In quantitative distributions in Korea were biased some special areas. Tense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almost present.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students varies gradual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useful "evenly distributed" for all areas and school year.

2009 개정 교육과정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인문사회과정 고등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및 인식 (Learning Satisfaction with and Perceptions on Life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Course According to the Intensive Course Complete System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재연;문두호;김은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46-45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중이수제로 운영된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하여 교과목표 달성의 기초 자료로 삼고, 교과 운영에 반영함으로써 인문사회과정 고등학생들이 생명과학 기초소양과 과학적 소양을 갖춘 합리적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인문사회과정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집중이수제를 통한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학습만족도가 낮으며, 현재 수업시수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빠른 진도와 시험의 분량에 대한 큰 부담을 갖고 있었다. 또한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인식은 '약한 긍정'으로 진로 차원에서는 부정적이었으나 교육 차원에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중이수제의 시행을 전면 재검토하거나 전체적인 보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을 위한 생명과학교과의 다양한 교수 방법 및 맞춤형 교과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자연이공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연구를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대응한 초.중.고등학교의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 - 단위 학습공간 및 특별교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ility Criterion for the Revised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 Focused on the Unit Learning Space and Special Classroom -)

  • 최병관;박흥균
    • 교육시설
    • /
    • 제16권2호
    • /
    • pp.67-77
    • /
    • 2009
  • This study was made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the revised 7th education curriculum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s facility criterion. Throughout this study, in which we may accomodate the new education curriculum, we prepare the guide for the standard criterion of the school systems in order to reflect the flexibility of various dictinctive regional education conditions and school qualities considering the purpose of new standard criterion of school facilities. Below 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gular classroom's standard size, which is the basic module for the scale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ccomodates current standards.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s aimed to fit the standard number of the level of OECD member countrie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 that is, 30 students in prim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to be the standard number of student per class, depending on the district conditions and construction point of time. It is advised that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classrooms, according to the standard criterion of subject and hour allotment, to reflect the regional and institution's distinctive qualities by indicating the number of hours and classrooms including decimal points. That is to be done so that the founder and the interested parties of the institution, along with the architect can put to practical use when planning and designing the institution.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 재고 (Reconsider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 정은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4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 교육은 어떠했는지를 반추해보기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 초등학교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현재까지 문제해결이 계속 강조되어 왔으나,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교육이 양적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다가 그 이후 조금씩 약화되고 있으며,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2008 개정 보건과' 교육과정 운영 효과 - 중학생을 대상으로- (Effects on Heal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8 for Middle School Students, South Korea)

  • 이규영;심인옥;문윤정;송영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6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n health educational curriculum by grasping knowledge, attitude, and the extent of practicing it after giving a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r 17 hour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conducted with the first-graders enrolled in a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191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5 to March 13, 2009 before the education was given from July 20 to July 25, 2009 after the education. A total of 38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knowledge and a total of 39 questions were used to measure attitude and practice. This study used $x^2$ test, ANOVA, and t-test, Paired t-test. Results: After the health education curriculum was given, the test group s knowledge of health education was foun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considering the perfect score of 38, the knowledge scores of both groups were not high. With regard to each group s attitude and practice of health education, the study compared the scores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nd found that the test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n order for a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o successfully have favorable influence on the health of teenagers, the curriculum should be offered for a more extended period of time than 17 hours and as a compulsory course, not a selective one, so that all the students can develop their health management capabilities.

지식의 구조 재음미 : 통합적 지식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considered : Integrated Knowledge)

  • 안효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361-37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of new curriculum which has always problems even though it is revised repeatedly and to propose an fundamental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se problems considered the wrong point grasping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In other words,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is understood as the point of utility rather than the curriculum are constructed as the form reflecting nature of knowledge. According to do this, Bruner's structure of knowledge is of help. The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is well known existing is understood as manifest aspect but from now on, we have to be concerned about tacit aspect.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knowledge has characteristics as an integrated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