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imension

검색결과 3,790건 처리시간 0.034초

노년기 요실금 여성의 수면의 질,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우울 (The Relationship of Quality of Sleep, Depression, Late-life Function and Disability (LLFDI)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 신경림;강윤희;옥지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3-581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quality of sleep, depression, late-life function and disabi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was conducted to recruit participants from May 10 to August 17, 2007.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quality of sleep, depression, and late-life function and disability in 128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56.3% of participants belonged to urinary incontinence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leep latency, sleep duration, daytime dysfunction, quality of sleep, function component, frequency dimension, and limitation dimension. 3)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equency dimension, limitation dimension in capability which explained 44% of variance in depression.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sleep quality, depression, late-life function and disability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Therefore, health programs for prompting older women's health should be planned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하천의 프랙탈 차원 산정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Fractal Dimension Estimation in River Basin)

  • 박진성;김형수;안원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27
    • /
    • 2003
  • The fractal study in river basin has been performed for the sinuosity of an individual stream and bifurcation of the stream network. The previous studies has suggested many methods or equations for the fractal dimension estimation in a river network. This study used those many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fractal dimensions on the streams such as Bokha, Gonjiam, and Pocheon streams. The estimated dimensions are in the range of 1 to 1.359 for the individual stream and 1.634 to 2 for the stream network. The most of equ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ssumption of self-similarity of a river basin for the individual stream and stream network. However, the real river basin could be characterized by self-affinity rather than self-similarity. Even though we estimate the dimensions by using many equations, we could not recommend which one is better equation for the estimation of fractal dimension. This might be from the self-similarity assumption of equations. Therefore, the assumption and research work of self-affinity will be needed for the appropriate estimation of fractal dimension in river basin.

  • PDF

Crowding에서 치아크기와 치열궁크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IN DENTAL CROWDING)

  • 이진행;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7-225
    • /
    • 1988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in dental crowding. Two groups of dental cas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dental crowding. One group, consisting of 51 pairs of dental casts (24 male and 27 female), exhibited remarkable dental crowding. A second group, consisting of 60 pairs of dental casts (30 male and 30 female), exhibited little or no crowd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used to compare two groups. individual and collective mesiodistal tooth diameters, buccal and lingual arch widths and arch ar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crowed group revealed larger tooth size than noncrowded group. (p < 0.01) 2. The crowded group smaller maxillary dental arch dimension than noncrowded group except lingual arch width at canine region. (p < 0.01) 3. The corwded group revealed smaller mandibular dental arch dimension than noncrowded group except lingal arch width at second premalar region in the male and buccal arch width at canine, premolar region in the female. (p < 0.01) 4. The crowded group revealed smaller arch area than noncrowded group in the female (p < 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male.

  • PDF

안모의 수직고경에 영향을 미치는 교정적 요인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of vertical dimension fo fac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최우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187-197
    • /
    • 2001
  • 전통적 교정술식인 edgewise technique으로 치료한 경우 잔여성장, 안모 유형과 발치 여부가 안모고경에 미치는 영향과 요소를 알아보고자 16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대상군들은 SN-GoGn angle,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Occluso-mandibular plane angle을 이용하여 수직 비발치군, 수직 발치군, 수평 비발치군, 수평 발치군으로 구분하였다. 치료 전후에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계측하고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모든 군에서 치료 후의 전하안모고경, 전안모고경, 후안모고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하악 구치고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치료 전후의 안모고경 변화에서 수직, 수평 안모 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3. 발치군과 비발치군 간의 안모고경 변화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4. 전하안모고경의 변화량이 성장군에서 상악 구치고경의 변화와, 성인군에서 하악 구치고경의 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5. 전하안모고경의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뚜렷하지 않았다.

  • PDF

수직적 교합고경의 증가가 사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Increase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n Appendage Muscle Strength)

  • 안수진;이성복;이석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69-178
    • /
    • 2010
  • 연구목적 : 이 연구는 수직적 교합고경의 증가에 따른 사지 근력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 평균 연령 21세의 10명의 남자를 선발하였다. 상악피개형의 교합장치를 제작하여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교두감합 (Intercuspal Position, ICP)시와 2mm, 3.5mm 그리고 5mm 수직적 교합고경을 증가시킨 위치에서 각각의 근력을 Cybex II dynamometer (Lumex Inc., Ronkonkoma,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측정한 14가지 동작 중 hip의 굴곡운동과 신전운동, forearm의 회외운동, shoulder의 내전운동, knee의 외전운동과 내전운동, ankle의 배측굴곡과 족측굴곡에서 교합장치의 장착시 근력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수직적 교합고경을 증가시켰을 때 대부분의 동작에서 평균근력이 증가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특히 3.5mm 수직적 교합고경을 증가시켰을 때 가장 높은 평균근력 증가율을 보였다.

GIS를 이용한 3차원 지형도 생성 및 정확도 분석 (3dimension Topography Generation and Accuracy Analysis Using GIS)

  • 임영빈;박창숙;이철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9-196
    • /
    • 2005
  • 최근 지도제작 기법의 발달과 기 제작된 종이 및 수치지도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2차원 형태의 지형도보다 지형을 보다 사실감 있게 표현하는 3차원 지형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 는 기존의 국가기본도 중 축척 1:25,000 종이지형도와 수치지도의 지형정보들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도를 생성하였으며, 3차원 지형도의 정확도분석 결과 1:25,000 국가기본도 허용오차 범위에 포함되어 그 활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3차원 지형도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좌표 변환된 국가기본도의 이미지와 동일도엽의 수치지도상의 각종 지물지모들간의 평면 위치오차 및 수직 위치오차를 레이어별로 분석하여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영상자료의 좌표변환시 이용되는 변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보정방법에 따라서도 위치오차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좌표 변환된 영상자료의 평면정확도는 지상거리 ${\pm}4.1m$로 1:25,000의 수치지도 허용범위를 만족하였다. 따라서 기 제작된 다양한 축척의 국가기본도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3차원 지형도를 제작할 수 있으며, 향후 기존 지형도 및 수치지도를 이용한 입체지형도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된다.

2.45GHz 대역 RTLS에서 3차원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3D Location Estimation in 2.45GHz Band RTLS)

  • 정승희;이현재;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57-96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45GHz대역 RTLS에서 2차원 평면 위치추정 알고리즘을 확장한 3차원 공간상의 위치추정 알고리즘을 연구하였으며, 태그의 송신시간 정보가 필요 없는 TDOA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를 추정하였다. 가로, 세로 300m의 탐색범위에서 시뮬레이터 구현을 통해 이차원 평면상의 쌍곡선 교점을 태그의 X, Y 좌표로 추정하였으며, 추정한 X, Y 좌표를 통해 Z 좌표를 최종적으로 추정하였다. RTLS 규격상 허용 오차 범위는 반경 3m 이내를 만족해야 하며, 실험결과 리더의 수신 옵셋이 이상적인 경우 태그의 3차원 위치는 실제 좌표와 근접함을 확인하였다. 수신옵셋이 32.76nsec 이내의 경우 옵셋의 차등적 증가시 RTLS 규격상의 반제 3m 이내의 오차범위를 벗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해 리더의 수신옵셋을 저감할 수 있는 기법이나 3차원 위치 추정시 적정 임계치 설정과 같은 판별 기법을 통해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 PDF

미륵사지석탑 정밀복원모형 제작을 중심으로 한 3차원 실측데이터의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3D Measurement Data Application: The Detailed Restoration Modeling of Mireuksajiseoktap)

  • 문승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2호
    • /
    • pp.76-95
    • /
    • 2011
  • 문화재를 수리 연구하기 위해 각 대상물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실측하는 일은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일이다. 지금까지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장비가 선택되었으며 이들을 이용한 실측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실측대상의 3차원적 형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가 실측작업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3차원 스캐너에 의해 생성된 결과물들은 종래의 2차원적 실측과는 다른 입체적 정보이며, 장비에 따라 대략적인 형상 정보에서부터 극히 세밀한 부분의 정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따라서 실측대상의 특징에 따른 장비의 대입과 여기서 얻어진 결과물의 표현 및 활용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미륵사지석탑의 경우, 문화재 현장에서는 최초로 3차원 기반 문화재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해체의 전 과정에서 기존의 실측조사방법들과 더불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각 부재의 위치 및 개별부재에 대한 3차원적인 조사가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석탑의 3차원적인 형상자료와 3차원 스캔 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가 확보된 상태였다. 최근 이러한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미륵사지석탑의 입체적 파악과, 복원설계 안의 확정에 활용하기 위한 미륵사지석탑의 정밀복원모형이 제작됨에 따라 "문화재 해체 복원현장에서의 3차원 기반 조사 및 활용"이란 측면에서 일련의 단계가 완성되었다. 본고에서는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미륵사지석탑 정밀복원모형 제작과정과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문화재 해체조사 과정에서의 3차원 스캔, 디지털 모델링, 데이터 베이스화, 복원모형 제작 등 3차원 기반 문화재조사의 단계적 과정과 생성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단계별 과정을 거친 미륵사지석탑 복원모형 제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첫째, 석탑의 해체 이후 단위 부재별로 파악되었던 석탑의 모습을 석탑의 내 외부가 전체로 구축된 보다 실제적이고 명확한 형태로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3차원 복원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취득함으로써 부재 결합성 등 현재 작성된 2차원적 설계 안에 대한 3차원적인 검토가 가능하였다. 셋째, 부재 상호 간의 비교 분석과 인접 부재와의 결구상태를 고려하여 부재의 위치 변경 등 각 부재의 개별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구조적인 관점에서 구조 취약부 및 석탑의 파괴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구조보강 설계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미륵사지석탑의 복원을 위한 실제적이고도 구체적인 다각도의 검토는 복원 안을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심한 주의와 정확성이 요구되는 문화재의 해체보수 및 복원 공사에서 2차원적인 도면에 의한 보수 계획 및 복원 안의 수립과 검토는 어느 정도 시공상의 오류를 피할 수 없다. 특히 복잡하고 규모가 큰 대상일수록 현상에 대한 명확한 파악과 정확한 계획 수립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앞서 기술한 3차원 실측데이터에 기초한 일련의 사전 검토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욱 세밀한 계획을 수립하게 하여 시공상의 오류를 최대로 줄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단극하전 나노입자의 응집성장 과정에서 입자의 전기전도도의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the Particle Electric Conductivity on the Aggregation of Unipolar Charged Nanoparticles)

  • 박형호;김상수;장혁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2호
    • /
    • pp.173-180
    • /
    • 2003
  • Effects of the electric conductivity of particles were studied for the aggregation process of charged particles with a Brownian dynamic simulation in the free molecular regime. A periodic boundary condition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aggregation process in each cell with 500 primary particles of 16 nm in diameter. We considered two extreme cases, a perfect conductor and a perfect nonconductor. The electrostatic force on a particle in the simulation cell was considered as a sum of electrostatic forces from other particles in the original cell and its replicate cells. We assumed that aggregates were only charged with pre-charged primary particles. The morphological shape of aggregates was described in terms of the fractal dimension. The fractal dimension for the uncharged aggregate was D$_{f}$= 1.761. However, the fractal dimension decreased from 1.694 to 1.360 for the case of the perfect conductor, and from 1.610 to 1.476 for the case of the perfect nonconductor, with the increase of the average number of charges on the primary particle from 0.2 to 0.3. These values were smaller than that of the centered charge case.e.

Efficient Face Recognition using Low-Dimensional PCA: Hierarchical Image & Parallel Processing

  • Song, Young-Jun;Kim, Young-Gil;Kim, Kwan-Dong;Kim, Nam;Ahn, Jae-Hy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3권2호
    • /
    • pp.1-5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o raise the recognition rate of a front face in a low dimension by hierarchical image and parallel processing structure. The conventional PCA shows a recognition rate of less than 50% in a low dimension (dimensions 1 to 6) when used for facial recognition. In this paper, a face is formed as images of 3 fixed-size levels: the 1st being a region around the nose, the 2nd level a region including the eyes, nose, and mouth, and the 3rd level image is the whole face. PCA of the 3-level images is treated by parallel processing structure, and finally their similarities are combined for high recognition rate in a low dimension. The proposed method under went experimental feasibility study with ORL face database for evaluation of the face recognition function. The experimental demonstration has been done by PCA and the proposed method according to each level. The proposed method showed high recognition of over 50% from dimensions 1 to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