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L-5

검색결과 30,508건 처리시간 0.057초

GPS L1 신호추적 결과를 이용한 GPS L5 신호추적 기법 (GPS L5 Signal Tracking Scheme Using GPS L1 Signal Tracking Results)

  • 주인원;이상욱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9-104
    • /
    • 2012
  • 미국은 GPS 현대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주요 내용 중의 하나가 L5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1176.45MHz 대역의 L5 주파수는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할당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항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L1 주파수와 동시에 사용시 이온층 오차를 제거하여 보다 높은 측위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L5 신호의 코드길이는 L1 신호에 비해 10배가 더 길기 때문에 L5 신호의 획득시간도 L1 신호에 비해 더 길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호획득에 사용되는 상관기 갯수를 늘려야 하는데, 이는 상관기 구조가 복잡해지고 연산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GPS L1/L5 겸용 수신기에서 L1 신호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L5 신호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L5 신호획득 과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제안된 방법은 동일한 GPS 위성에서 전송하는 L1/L5 신호는 코드시작시점의 코드위상이 동기가 되어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L1 신호의 메시지 비트가 시작하는 시점에 L5 코드의 시작시점을 동기시킨다. 그리고, GPS L1 신호를 처리하여 산출된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여 캐리어 주파수간의 관계식을 통해 GPS L5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L5 신호의 코드시작시점과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면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상관기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L5 신호를 추적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론적 분석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쪽파(Allium wakegi Araki)의 정단분열 조직배양으로부터 식물체 분화와 인경형성 (Direct Plant Regeneration and Bulblet Formation from Apical Meristems Culture in Allium wakegi Araki)

  • 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4
  • 쪽파의 정단분열조직을 LS기본배지에 zeatin(0.1, 0.5, 1.0, 3.0mg/L)과 NAA(0.1, 0.5, 1.0, 2.0, 5.0mgA)를 단독 및 혼합 첨가시키어 식물체 생산과 인경 형성율을 조사하였다. 정 단분열조직으로부터 신초 분화는 zeatin 0.1, 0.5, 1.0 mg/L 단독처리구와에 zeatin 0.5 mg/L에 NAA 1.0mg/L 혼합첨가구에서 가장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뿌리분화율은 zeatin 0.5 mg/L에 NAA 1.0mg/L 혼합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분화된 식물체로부터 정상적인 인경형성은 NAA단독첨가보다는 zeatin과의 혼합첨가가 효과적이었다. 특히 NAA 3.0mg/L에 zeatin 1.0mg/L를 혼합시켰을 때 정상적인 인경 형성에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다.

GPS L1/L2C/L5 수신기를 위한 적응 코드추적루프 설계 (Design of a Adaptive Code Tracking Loop for GPS L1/L2C/L5 Receivers)

  • 최현호;임덕원;이상욱;김지훈;이상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83-288
    • /
    • 2011
  • In this paper, an adaptive signal tracking loop for a GPS L1/L2C/L5 receiver is designed. The design parameter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eceiver'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the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r dynamics by us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GPS L1, L2C and L5 signa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racking accuracy of the proposed signal tracking loop is better than those of L1, L2C and L5 only signal tracking loop.

방사선 일반 정면검사에서 허리뼈 추간판 계측 값에 따른 입사각 적용 (Application of Incidence Angle on Lumbar Spine Anteroposterior General Radiography Image according to Measured Intervertebral Disc Angle)

  • 문슬지아;김경립;조희정;성순기;곽종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71-480
    • /
    • 2019
  • 정상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전만각도에 따른 L-spine 3~4,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각각의 추간판각도를 비교 분석하여 입사각을 제시하였다. 체질량지수의 L-spine 3~4,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정면 입사각도는 머리 쪽 방향으로 5.66도, 13.23도, 29.13도였으며, 전만각도의 L-spine 3~4,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정면 입사각도는 머리 쪽 방향으로 6.32도, 16.09도, 35.36도였다. 체질량지수, 전만각도에 따른 정면 입사각도에 따라 적용한 팬텀의 일반 전후방향 영상의 왜곡정도를 면적비율로 비교한 결과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추간판각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5), 전만각도와 추간판각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팬텀의 전만각도에 따른 추간판각도 계측 값을 머리 쪽 방향으로 입사각을 L4는 11도, L5는 26도로 적용하여 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한 결과, 왜곡비율면적은 L4에서 14.90%에서 12.11%로 줄어들었고, L5에서는 15.25%에서 13.72%로 줄어들었다. 계측된 추간판 각도에 따른 입사각을 적용한 허리뼈 일반 전후방향 영상에서 허리뼈 4번, 5번을 목적으로 하는 허리뼈 정면 영상에서 왜곡을 줄여, 정확한 구조의 정면 추체상과 인접하는 관절 간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목적하는 부위의 영상의 질과 진단적 정보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MA저장중 혼합비율에 따른 적로메인, 갯기름나물, 그리고 곤달비 혼합 어린잎채소의 엽색과 저장성 비교 (Comparison of Leaf Color and Storability of Mixed Baby Leaf Vegetables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s of Red Romaine lettuces (Lactuca sativa), Peucedanum japoincum, and Ligularia stenocephala during MA Storage)

  • 최인이;이주환;왕립;박완근;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84
    • /
    • 2021
  • 본 연구는 산채을 활용한 어린잎 혼합 포장 상품의 개발하기 위해 기존 어린잎채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어린잎 적로메인상추(Lactuca sativa 'Red romaine')에 어린잎 산채로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incum Thunberg)과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을 혼합하여 적합한 비율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적로메인과 산채의 혼합비율은 적로메인0 : 갯기름5 : 곤달비5(R0:P5:L5), 적로메인3.3 : 갯기름3.3 : 곤달비3.3(R3.3:P3.3:L3.3), 적로메인5 : 갯기름2.5 : 곤달비2.5(R5:P2.5:L2.5), 적로메인8 : 갯기름1 : 곤달비1(R8:P1:L1), 적로메인10 : 갯기름0 : 곤달비0(R10:P0:L0)으로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구는 OTR(Oxygen transmission rate) 10,000cc·m-2·day-1·atm-1 필름으로 포장하여 2℃/85%RH 저온고에서 27일간 저장하며 생체중 감소율, 포장내 이산화탄소/산소/에틸렌 농도, 외관, 엽록소 함량, 색도를 조사하였다. 생체중은 R8:P1:L1 처리구가 0.4% 미만의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들은 0.5% 내외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포장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작물의 호흡률에 영향을 받았는데, 호흡률이 낮았던 상추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포장내 산소농도가 높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았다. 산소농도는 15일이후 크게 감소하였으나, 16%이상은 유지되었고, 이와 반대로 이산화탄소 농도의 경우 15일까지 1-4%로 유지되다가 서서히 증가하여 27일차에는 2-5%로 증가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저장 종료일까지 3-6µL·L-1 내외의 농도를 유지하였다. 저장 종료일의 외관상품질은 모든처리구가 상품성 한계점인 3점에 다소 못 미치는 정도를 보였다. 엽록소 함량(SPAD)은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적로메인과 곤달비의 경우 R8:P1:L1 처리구에서, 갯기름나물은 R5:P2.5:L2.5과 R8:P1:L1처리구에서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 Heat map으로 비교한 3가지 작물의 엽색(L∗, a∗, b∗, chroma)은 R5:P2.5:L2.5와 R8:P1:L1 처리구에서 저장 후 가장 변화가 적었다. 이중 R8:P1:L1 처리구는 엽록소 함량도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포장내 에틸렌 농도도 2번째로 낮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2-3%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적로메인 8, 곤달비 1, 갯기름 1(R8:P1:L1)의 혼합한 비율이 이 3가지 작물의 어린잎 혼합 포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판 패스트 푸드의 지질조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in Various Fast-Foods)

  • 김난숙;김성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37
    • /
    • 1994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19 various fast-foods. Fat content per serving in double cheese burger was 38.8g, shrimpburger 27.5g, gogi-mandoo 26.3g, pizza 25.8g and chicken nuggets 18.8g, respectively, Fatty acid contained in fast-foods mostly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nd stearic acid. The ratio of P/S in yubuLchobab was 3.l/l, ccochinoodle 2.3/l, pork cutlet 2.3/l, bibimbab 1.511 and shrimpburger 1.3/l when all the other tested fast-foods'P/S were less than 1. The ratio of P/M/S in ham cheese sandwich was 1/1/1, shrimpburger 1.3/1.5/l, bibimbab 1.s/l.5/l, which are similar to recommended 1∼1.5/1∼1.5/l. The ratio of 6/3 fatty acids was found to be kimbab(34.0/l), chicken nuggets(25.3/l), ccochi noodle(20.0/l), yubu-chobab (16.5/l), fried chicken(16.3/l), chickenburger(12.6/l) and hot dog(10.2/1), which were higher than 10/1. Also pizza(3.511), spaghetti(3.7/l) were lower than 4/1. The rest of the fast-foods were within the range of 4/1∼10/1.

  • PDF

Survival Rates and Risk Factors for Cephalad and L5-S1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after L5 Floating Lumbar Fusion : A Minimum 2-Year Follow-Up

  • Lee, Young-Seok;Kim, Young-Baeg;Park, Seu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2호
    • /
    • pp.108-113
    • /
    • 2015
  • Objective : Although the L5-S1 has distinct structural features in comparison with other lumbar spine segments, not much is known about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ASD) at the L5-S1 segment. The aim of study was to compare the incidence and character of ASD of the cephalad and L5-S1 segments after L5 floating lumbar fusion. Methods : From 2005 to 2010, 115 patients who underwent L5 floating lumber fusion were investigat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6.1 months. The incidence of radiological and clinical ASD of the cephalad and the L5-S1 segments was compared using survival analysis. Risk factors affecting ASD were analyzed using a log rank test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Radiological ASD of the L5-S1 seg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urvival rate than that of the cephalad segment (p=0.001). However, clinical ASD of the L5-S1 segment was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s than that of the cephalad segment (p=0.038). Risk factor analysis showed that disc degeneration of the cephalad segment and preoperative spinal stenosis of the L5-S1 segment were risk factors. Conclusion : In L5 floating fusion, radiological ASD was more common in the cephalad segment and clinical ASD was more common in the L5-S1 segment. At the L5-S1 segment, the degree of spinal stenosis appears to be the most influential risk factor in ASD incidences, unlike the cephalad segment.

Accelerated L5-S1 Segment Degeneration after Spinal Fusion on and above L4-5 : Minimum 4-Year Follow-Up Results

  • Park, Jeong-Yoon;Chin, Dong-Kyu;Cho, Yong-E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2호
    • /
    • pp.81-84
    • /
    • 2009
  • Objective : Many biomechanical and clinical studies on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ASD) have addressed cranial segment. No study has been conducted on caudal segment degeneration after upper segment multiple lumbar fusions. This is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L5-S1 segment after spinal fusion at and above L4-5, which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rate of caudal ASD at L5-S1 after spinal fusion on and above L4-5 and to determine that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d it. Methods : The authors included 67 patients with L4-5, L3-5, or L2-5 posterior fusions. Among these patients, 28 underwent L4-5 fusion, 23 L3-5, and 16 L2-5 fusions. Pr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were analyzed to assess degenerative changes at L5-S1. Also, clinical results after fusion surgery were analyzed. Results : Among the 67 patients, 3 had pseudoarthrosis, and 35 had no evidence of ASD, cranially and caudally. Thirteen patients (19.4%) showed caudal ASD, 23 (34.3%) cranial ASD, and 4 (6.0%) both cranial and caudal ASD. Correlation analysis for caudal ASD at L5-S1 showed that pre-existing L5-S1 degeneration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In addition, numbers of fusion segments and age were also found to be correlated. Clinical outcome was not correlated with caudal ASD at L5-S1. Conclusion : If caudal and cranial ASD are considered, the overall occurrence rate of ASD increases to 50%. The incidence rate of caudal ASD at L5-S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ranial ASD.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caudal AS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e-existing disc degeneration.

해수와 해산물로부터 Listeria 속의 분리와 세균학적 조사 (Bacteriological Study of Listeria sp. Isolated from Seawater and Sea Food)

  • 강치희;이만효;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0-399
    • /
    • 2003
  •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해수와 해산물에서 Listeria 속을 분리하여 증균배양방법에 따른 균의 분리율, 선택배지에 따른 균의 분리율, 검체에 따른 균종 별 분리율, 생화학 시험과 분리된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혈청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100건의 검체에서 증균배양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1일 증균배양에서 L. monocytogenes가 4% (4건), L. innocua가 35%(35건), L. ivanovii가 4%(4건), L. welshimeri가 1%(1건)였고, 7일간 증균배양에서는 L. monocytogenes가 1%(7건), L. innocua가 38%(38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로 동정되어 1일 증균배양 보다 7일간의 증균배양이 Listeria속의 분리에 휠씬 효과적이었다. 이와 함께 Oxford 선택배지나 LPM 선택 배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증균배양과 비교하여 검출율이 조금 낮았다. 검체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새우와 가재에서 80%(16/20)로 분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바지락에서 50% (10/20), 해수에서 25%(5/20), 홍합에서 20%(4/20)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L. irnnocua가 38%(38건), L. monocytogenes가 7%(7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순으로 분리되었다. 각 검체에서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새우에서 L. innocua가 65%(13건), L. monocytogenes가 15%(3건), 가재에서 L. innocua가 70%(14건), L. monocytogenes가 10%(2건), 바지락에서 L. innocua가 45%(9건), L. monocytogenes가 5%(1건), 홍합에서 L. innocua가 10%(2건), L. monocytogenes가 5%(1건), L. welshimeri가 5%(1건), 해수에서 L. ivanovii가 25%(5건)분리되었다. L. monocytogenes로 분리 동정된 7주에 대한 혈청형 분류는 type I이 2주, type IV가 5주로 나타났다.

Synthesis of Nucleophilic Adducts of Thiols (Ⅳ). Addition of Glutathione to $\beta$-Nitrostyrene Derivatives

  • Kim, Tae-Rin;Choi, Sung-Yong;Choi, Won-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4권2호
    • /
    • pp.92-95
    • /
    • 1983
  • The addition products of glutathione to ${\beta}$ -nitrostyre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beta}$ -Nitrostyrene (1a), p-methyl-${\beta}$-nitrostyrene (1b), 3,4,5-trimethoxy-${\beta}$-nitrostyrene (1c), o-, m- and p-chloro-${\beta}$-nitrostyrene (1e, 1f, 1g) and o-, m- and p-methoxy-${\beta}$-nitrostyrene (1h, 1i, 1j) undergo addition reactions with glutathione to form S-(2-nitro-1-phenylethyl)-L-glutathione (5a), S-[2-nitro-1-(p-methyl)phenylethyl]-L-glutatione (5b), S-[2-nitro-1-(3', 4', 5'-trimethoxy)phenylethyl]-L-glutathione (5c), S-[2-nitro-1-(o-chloro)phenylethyl]-L-glutathione (5e), S-[2-nitro-1-(m-choro)phenylethyl]-L-glutathione (5f), S-[2-nitro-1-(p-chloro)phenylethyl]-L-glutathione (5g), S-[2-nitro-x-(o-methoxy)-phenylethyl]-L-glutathion e(5h), S-[2-nitro-x-(m-methoxy)phenylethyl]-L-glutathion e (5i), and S-[2-nitro-1-(p-methoxy)phenylethy])-L-glutathione (5j), respectively. The structure of adducts were identified by UV and IR-spectra, molecular weight measurement, and element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