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6S rDNA sequences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52초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근권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Rhizo-bacterium Inhibiting Diaporthe citri Causing Citrus Melanose)

  • 남명흔;신진호;최재필;홍석일;김영권;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2-335
    • /
    • 2009
  • 유기농 인증을 받아서 3년 이상이 경과한 농가의 토양을 수집하여 근권 세균을 450균주 분리하였고, 여러 가지 식물 병원균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세균 KB-401 균주를 선발하였다. KB-401 균주는 특히 감귤 검은점무늬병균(Diaporthe citri)의 균사 생장과 포자 발아를 억제하며, 발아하는 포자에 처리하였을 때 발아관의 선단이 팽윤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균주는 생리적인 특성과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한국 남해에서 출현한 돌돔 (Oplegnathus fasciatus)과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 사이의 자연교잡종 (Occurrence of Natural Hybrid between Oplegnathus fasciatus and Oplegnathus punctatus from the South Sea of Korea)

  • 권혁준;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05
    • /
    • 2010
  • 2008년 8월 경남 통영에서 강담돔과 돌돔의 자연교잡종 1개체가 발견되어 형태 및 유전적 특정을 강담돔 및 돌돔과 비교하였다. 형태적으로 본 총은 체측에 선명한 검은색 둥근 점을 많이 가지며 동시에 4개의 연한 가로줄을 가져 강담돔과 비슷하였다. 강담돔 및 돌돔의 계수 계측형질이 거의 일치하였으나, 체장에 대한 배지느러미길이 비에서 자연교잡종(26.7%)은 돌돔(17.2~23.6%)보다 강담돔(26.4%)에 더욱 가까웠다. 미토콘드리아 DNA 16S rRNA 510 bp를 이용한 분자분석에서 자연교잡종은 형태결과와는 달리 강담돔(d=0.020)보다 돌돔(d=0.000~0.010)에 더욱 가까웠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남 통영에서 발견된 자연교잡종은 암컷 돌돔과 수컷 강담돔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저영양성-질소고정세균의 분류학적 특성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Nitrogen-Fixing Oligotrophic Bacteria from Forest Soil)

  • 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4-119
    • /
    • 2001
  • 산림토양의 각 토양층으로부터 분리된 세균 중에는 통상 농도의 NB배지에서는 중식이 현저히 저해되고 희석한 DNB 배지에서만 중식이 가능한 세균이 다수 포 되어 있었으며, 이들 세균은 NB배지를 $10^{-1}$~$10^{-4}$배로 희석한 배지에서의 증식양상에 따라 4가지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영양세균의 기준에 따라 $10^{-4}$NB(1 mg C/liter)배지에서 양호하게 증식하는 Type II와 IV세균을 저영양세균으로 분류하였고, 60개의 Type IV(편성저영양세균; obligate oligotrophic bacteria)균주를 순수분리 하였다. 이들 저영양성 세균중 질소고정능을 갖는 11균주에 대하여 화학분류 및 계통분류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균주는 주요 균체지방산으로 $C_{18:1}$)을, 퀴논종은 Q-10을 함유하였으며, G+C함량은 61-64 mol%범위를 나타내었다. 16S rDNA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각 균주는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의 BANA domain (Bradyrhizobium, Agromonas, Nitrobacter 및 Afipia)에 속하였고 Bradyrhizobium japonicum 및 Bradyrhizobium elkanii와 98%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 PDF

Genomic DNA Extracted from Ancient Antarctic Glacier Ice for Molecular Analyses on the Indigenous Microbial Communities

  • Lee, Sang-Hoon;Bidle, Kay;Falkowski, Paul;Marchant, David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205-214
    • /
    • 2005
  • From ancient Antarctic glacier ice, we extracted total genomic DNA that was suitable for prokaryotic 16S rDNA gene cloning and sequencing, and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BAC) library and end-sequencing. The ice samples were from the Dry Valley region. Age dating by $^{40}Ar/^{39}Ar$ analysis on the volcanic ashes deposited in situ indicated the ice samples are minimum 100,000-300,000 yr (sample DLE) and 8 million years (sample EME) old. Further assay proved the ice survived freeze-thaw cycles or other re-working processes. EME, which was from a small lobe of the basal Taylor glacier, is the oldest known ice on Earth. Microorganisms, preserved frozen in glacier ice and isolated from the rest of the world over a geological time scale, can provide valuable data or insight for the diversity, distribution, survival strategy,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s to the extant relatives. From the 16S gene cloning study, we detected no PCR amplicons with Archaea-specific primers, however we found many phylotypes belonging to Bacteria divisions, such as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Proteobacteria $({\alpha},\;{\beta},\;and\;{\gamma})$, Firmicutes, and Cytophaga-Flavobacterium-Bacteroid$. BAC cloning and sequencing revealed protein codings highly identical to phenylacetic acid degradation protein paaA, chromosome segregation ATPases, or cold shock protein B of present day bacteria. Throughput sequencing of the BAC clones is underway. Viable and culturable cells were recovered from the DLE sample, and characterized by their 16S rDNA sequences.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survivorship and functional genes from the past should help unveil the evolution of life on Earth, or elsewhere, if any.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Cyanobacteria and Microcystis spp. Using Real-Time PCR

  • Oh, Kyoung-Hee;Jeong, Dong-Hwan;Shin, Seung-Hee;Cho, Young-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248-255
    • /
    • 2012
  • In order to develop a protocol to quantify cyanobacteria and Microcystis simultaneously, the primers and probe were designed from the conserved regions of 16S rRNA gene sequences of cyanobacteria and Microcystis, respectively. Probe match analysis of the Ribosomal Database Project showed that the primers matched with over 97% of cyanobacterial 16S rRNA genes, indicating these can be used to amplify cyanobacteria specifically. The TaqMan probe, which is located between two primers, matched with 98.2% of sequences in genus GpXI, in which most Microcystis strains are included. The numbers of cyanobacterial genes were estimated with the emission of SYBR Green from the amplicons with two primers, whereas those of Microcystis spp. were measured from the fluorescence of CAL Fluor Gold 540 emitted by exonuclease activity of Taq DNA polymerase in ampl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enhances the accuracy and reduces the time to count cyanobacteria and potential toxigenic Microcystis spp. in aquatic environmental samples.

Occurrence of Bacterial Stem Rot of Ranunculus asiaticus Caused by Pseudomonas marginalis in Korea

  • Li, Weilan;Ten, Leonid N.;Kim, Seung-Han;Lee, Seung-Yeol;Jung, Hee-Young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138-144
    • /
    • 2018
  • In December 2016, stem rot symptoms were observed on Persian buttercup (Ranunculus asiaticus) plants in Chilgok, Gyeongbuk, Korea. In the early stage of the disease, several black spots appeared on the stem of infected plants. As the disease progressed, the infected stem cleaved and wilted. The causal agent was isolated from a lesion and incubated on Reasoner's 2A (R2A) agar at $25^{\circ}C$. Total genomic DNA was extracted for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16S rRNA gene analysis, the isolated strain was found to belong to the genus Pseudomonas. To identify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 at the species level,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yrase B (gyrB) and RNA polymerase D (rpoD) genes were obtained and compared with the sequences in the GenBank database. As the result, the causal agent of the stem rot disease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marginalis. To determine the pathogenicity of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 it was inoculated into the stem of healthy R. asiaticus plant, the inoculated plant showed a lesion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naturally infected pla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acterial stem rot on R. asiaticus caused by P. marginalis in Korea.

제주도 토양으로부터 자일란 분해 Streptomyces atrovirens subspecies WJ-2 동정 및 효소의 생화학적 특성 규명 (Ident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ew Xylan-degrading Streptomyces atrovirens Subspecies WJ-2 Isolated from Soil of Jeju Island in Korea)

  • 김다솜;배창환;여주홍;지원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12-521
    • /
    • 2016
  • 제주도에서 채집된 토양시료로부터 xylan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하여 WJ-2로 명명하였다. 균주 WJ-2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이를 토대로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Streptomyces 속의 균주들과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토대로하는 neighbor-joining 계통수를 제작하여 Streptomyces atrovirens와 가장 높은 계통발생적 연관성이 갖고 있는 것을 밝혔다. 또한 DNA-DNA hybridization 분석을 통하여 Streptomyces atrovirens의 신규한 아종임을 증명하였다. 균주 WJ-의 게놈내 GC 농도는 73.98 mol%이었으며, 주요 세포벽 지방산으로 anteiso-$C_{15:0}$ (36.19%)을 함유하고 있었다. 균주 WJ-2의 성장 및 xylanase 생산은 배지내에 질소원으로 soytone과 탄소원으로 xylan을 첨가하였을 때 급격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액체배양액으로부터 준비된 조효소의 xylanase 활성은 pH 7.0과 $55^{\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분석을 통하여 균주 WJ-2의 조효소는 xylan을 분해하여 최종분해산물로서 xylobiose와 xylotriose 생산하는 효소임을 확인하였다.

한국전통식품으로부터 분리 된 세균의 항균활성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문경미;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319-1323
    • /
    • 2015
  • 매년 어류 양식의 생산량은 증대되고 있으며, 생산량 증가를 위한 고밀도 사육은 수질 악화 및 어류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질병들이 잦아지게 된다.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어류 양식 어민들에게 있어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 요법인 항생제를 투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 대체 물질 및 안전 요법으로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를 분리하기 위해, 한국전통식품인 고추 장아찌와 갈치 젓갈에서 다양한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 된 균주들은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 및 동정하고, 상층액 및 균체로 나뉘어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고추 장아찌에서 분리된 4종과 갈치 젓갈에서 분리된 7종은 상층액 보다 균체에서 항균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JKM-2는 43 mm(S. iniae), 40 mm(S. parauberis), 35 mm(S. mutans), 26.5 mm(V. vuinificus)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본 균주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Bacillus subtilis 97.71%, Bacillus tequilensis 97.71%, Brevibacterium halotolerans 97.71%, Bacilus subtils 97.63%, Bacillus subtlis 97.63%, Bacillus mojavensis 97.54%, Bacillus vallismortis 97.46%, Bacillus nanillea 97.45%, Bacillu smethylotrophicus 97.37%, Bacillu ssiamensis 97.37%로 분석되었다. 추후 JKM-3의 신종 균주 확인과 균체 물질 규명 및 분석을 통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양식 산업에 적용시켜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이용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