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19 구급 대원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2초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 및 교육 현황 분석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ehospital Emergency Care and Education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 노상균;이재국;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17-2124
    • /
    • 2012
  • 이 연구는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와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급대원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119구급대원들의 전공분야는 응급구조학이 124명(41.5%)으로 가장 많았고, 소방관련학이 46명(15.4%), 간호학이 30명(10.0%), 보건관련학이 3명(1.0%), 기타가 96명(32.1%)이었다. 119구급대원들이 소지한 자격증으로는 1급 응급구조사가 114명(38.1%), 2급 응급구조사가 101명(33.8%), 소방 교육이수자가 42명(14.0%), 간호사가 28명(9.4%), 기타 14명(4.7%)순으로 나타났다. 시행한 응급처치 빈도로는 산소흡입(274건), 사지 고정(229건), 척추고정(229건), 외부출혈의 지혈(223건), 약물투여(7건), 정맥로 확보(4건)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전 응급처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잘 훈련된 전문 인력의 구급차 탑승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응급구조사의 지속적인 충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무중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Sleep among 119 Recue Workers)

  • 윤성우;오경애;윤현;박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926-2934
    • /
    • 2013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수면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이다. 119구급대원 2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면의 질은 7.73점으로 좋지 않았으며, 근무지역, 주관적 건강상태, 하루 카페인 음용 횟수, 응급처치 거부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카페인 음용 횟수, 응급처치 거부경험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좋지 못하였다.

응급의료 이송정책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Emergency Medical Care Transportation Policy)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2-5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응급의료 이송정책을 구성하고 있는 병원 전 단계인 응급환자 발생에서 현장의 응급처치 단계, 환자의 이송단계, 통신망 구축단계 등의 상호 유기적인 협조체계의 기틀 속에서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직무와 관련된 일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발생된 문제점으로는 구급대원들이 의료분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하고, 그리고 응급 구호장비의 현대화, 구급전문 요원의 확보, 적절한 인력배치가 이루어져야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응급의료 이송체계를 현실적 환경에 적합한 모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구조와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19구급대원의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 : 만족도 및 교육요구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ntinuing education of 119 paramedics: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continuing education)

  • 명영호;박소은;윤병길;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37-244
    • /
    • 2023
  • 이 연구는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보수교육 만족도 및 요구도를 탐색하고 보수교육의 목적에 맞게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보수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수교육 만족도는 연령, 자격, 임상 경력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수교육주제 요구도는 모든 직군에서 '전문외상 처치술'이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 추가로 희망하는 주제는 정신질환자 관리, 다양한 현장 사례 중심 교육으로. 응급환자 처치 업무에 도움이 되는 실무적인 주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보수교육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 각도로 보수교육 운영안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보수교육 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해서 교육 운영 방법을 개선하고 보수교육 주제를 실무에 맞는 주제로 선정하여 보수교육의 질적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119 구급대원과 응급실 간호사의 응급처치 지식 및 기술 숙련도 비교 (How to Improve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Levels of Knowledge and Techniques in Prehospital Care for 119 Relief Squad Members and Emergency Room Nurses)

  • 권혜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9-261
    • /
    • 1998
  • During the past decade or so in Korea, 119 relief squad members were supposed to respord first urgent or emergency cas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at levels of knowledge and techniques in prehospital care the 119 relief squad members showed. Data regarding the knowledge and technique levels were collected from both the 119 relief squad members (n=63) and the emergency room nurses(n=46).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119 relief squad when compared to emergency nurses, showed higher scores for knowledge and techniques in some areas of prehospital care but not in other areas, However, no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technique were found when the ANOVAs were calculated with two covariates : duration of their career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frequency of their exposure to lectures o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addition, many respondents in the 119 relief squad group rated themselves poorly in knowledge and techniques of prehospital care, The findings imply that qualitatively better curricula should be given to the 119 relief squad members before they are allow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in the context of improving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 PDF

119구급대원의 신체적 특성과 심정지 임신부 자세에 따른 가슴압박 질 비교 -30° 왼쪽 기울기 자세의 마네킨 모델-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119 EMTs and a Comparison of the Quality in Chest Compressions according to Posture in Pregnant Women Cardiac Arrest -A Mannequin Model lying with a 30° Incline to the Left-)

  • 박대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97-204
    • /
    • 2015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심정지 임신부에 시행하는 $30^{\circ}$ 왼쪽 기울기 자세에서 가슴압박 질과 신장 및 체중이 가슴압박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J도 M, N, S, Y시, G광역시에서 근무하는 119구급대원 62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5-16일간 실험 전 참여 동의를 받았다. Resusci Anne$^{(R)}$ 마네킨 2대를 사용하여 Laerdal PC SkillReporting System$^{(R)}$으로 가슴압박 시행 결과를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30^{\circ}$ 왼쪽 기울기 자세에서 바로 누운 자세보다 가슴압박 적절한 깊이 횟수(회), 가슴압박 깊이(mm)는 매우 저조하였고, 또한 170 cm 이하, 65 kg 이하에서 가슴압박 적절한 깊이 횟수(회), 가슴압박 깊이(mm)는 저조하였다. 따라서 신장 및 체중에 따른 가슴압박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실습 교육이 필요하겠다.

119구급대원의 COVID-19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Control among 119 Paramedics)

  • 박정희;이미향;윤병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5-7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COVID-19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여 신종감염병 대비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186명의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5일~11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감염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98명(52.7%)이었고 COVID-19감염관리 지식은 25점 만점에 18.21±1.98점이었으며 환경관리 영역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COVID-19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는 총 평균은 3.81±.28(4점 척도)점으로 나타났으며 전파경로 및 확산 예방과 직원 안전관리 영역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은 성별(t=-1.999, p=.04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 요구도는 경력(t=-1.999, p=.047), 교육수준(t=2.336, p=.02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COVID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전파경로 및 확산 예방, 직원안전, 환경관리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 Factors of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 조병준;김선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60-766
    • /
    • 2014
  • 본 연구는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분석하여, 심정지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10년 일개 도에서 119 구급대가 이송한 18세 이상 심정지 환자 4,092명으로 하였고, 구급일지와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 인명소생 추천서를 유스타인 형식 조사지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 병원도착 소요시간, 현장처치시간, 발생장소,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동승 구급대원의 자격, 자발순환 회복장소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심정지 환자에 대한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는 생존율을 유의하게 높였다. 조기 제세동,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 등 병원전 응급처치가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19 구급대 중 1급 응급구조사의 인원증가를 위한 정책을 제정하고,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 시행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해야겠다.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계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홍선우;엄동춘;전명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 Method: From August 26 to September 10, 2010, the data were obtained from 456 EMT working in Daejeon city or Choongnam provinc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1. Results: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stressful to 119 EMT.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of female EM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male EMT's. After gender and age were adjusted, there w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some risk factors including occupational class, hours of intensive musculoskeletal use, previous injury or work-related injury, physical burden, and job stress. Overall, a higher degree of job stress increased musculoskeletal symptoms. Conclusion: Job stress is a major caus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o prevent and manage musculoskeletal disease of 119 EM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anagement program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