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Emergency Medical Care Transportation Policy

응급의료 이송정책에 관한 실증적 연구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research made a survey to 119 EMT laying stress on general contents connected with job in a frame of mutually organic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processes, composing Emergency Medical Care Transportation Policy in Korea, as a step before hospital, of happening emergency patients, 119 first-aid service of the spot, transportation of patients, 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network etc.. As a result of analysis to that, it is found that there must be systematic devices which makes EMT not to be caught on medical dispute, a modernization of emergency equipments, professional first-aid agents, a proper personnel arrangement. Consequently, it suggests policy plan focusing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 to improve an Emergency Medical Care Transportation system into a realistic one.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응급의료 이송정책을 구성하고 있는 병원 전 단계인 응급환자 발생에서 현장의 응급처치 단계, 환자의 이송단계, 통신망 구축단계 등의 상호 유기적인 협조체계의 기틀 속에서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직무와 관련된 일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발생된 문제점으로는 구급대원들이 의료분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하고, 그리고 응급 구호장비의 현대화, 구급전문 요원의 확보, 적절한 인력배치가 이루어져야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응급의료 이송체계를 현실적 환경에 적합한 모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구조와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nso.go.kr/cgi-bin/sws-999.cgi(접속일자 : 2003.5.22)
  2. http://www.hospitallaw.or.kr/dispute-cause.html( 접속일자 : 2003.5.22)
  3. 한국보건 의료관리 연구원, '응급의료 체계 운영평가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pp.203-208(1996)
  4. SPSS for Windows Release 10.0, Copyright $\compose{\LARGE O}{\normalsize c}$ SPSS Inc. 2000
  5.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학현사, pp.355-398(1996)
  6. 행정자치부, '소방행정 자료 및 통계', 서울, 삼진기획(2002)
  7. 류지성, '사회과학 방법론', 서울, 대왕사, pp.46-49(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