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인 주거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5초

러시아 거주 고려인의 주거에 관한 연구 -연해주 (Yunhaju: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wellings of Korean Diaspora in Yunhaju of Russia)

  • 이영심;조재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1-62
    • /
    • 2004
  • Koreans had started moving to Yunhaju in Russia for escaping from the tyrannical rule and famine in 1860's in Korea. It had been veiled and nearly known about Korean's life there because of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Russia until the Perestroyka. This study examined the dwellings of Korean Diaspora in Yunhaju through visiting their houses and having an interview.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ing: 1) Russian traditional houses which Koreans built was followed by Russian style basically and Koreans used the space slightly different way. Korean Diaspora have been adopted Russian life style with keeping their own traditional way of living. 2) Some Korean Diaspora still have been kept traditional heating system 'Ondol' in their houses until now in Yunhaju. Moreover over, it is known that people of Central Asia prefer to set 'Ondol' recently as a very specific and expensive heating system. 3) Korean's food style in Yunhaju is the one mixed with Russian, Korean, and Central Asian foods. This study could be a first step to supply for a basic information for studying of Korean Diaspora in Russia and it is needed to take more deep research in other areas in Russia.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無自性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Non-Characteristic Spac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wn in Public Space of Sharehouse)

  • 윤득근;김개천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515-525
    • /
    • 2015
  • 급속한 1인가구의 증가함에 따른 1인 소비, 1인 경제의 개념이 강조되는 현재 한국은 1인 가구 비율이 25.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와 비례하여 수도권의 주택문제와 더불어 이기주의, 개인이 느끼는 외로움, 범죄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안의 움직임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 문화, 그리고 공간의 공유와 나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셰어하우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각 매체에서도 셰어하우스와 같이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 많이 보급되고 익숙하게 받아들여지는 셰어하우스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뿐 만 아니라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등 경제적 이점을 넘은 공유가 주는 이점을 대변하는 삶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셰어하우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 이를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셰어하우스의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비수도권 지역에 독립 거주 중인 미혼 청년 가구의 월세 부담 및 거주성 비교 분석 (Incongruence Between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Young Renters Living Independently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 이현정;남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2
    • /
    • 2024
  • 본 연구는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19-34세) 월세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 2곳으로 나뉘어 거주실태와 주거소비수준을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주거 독립 청년은 대체로 20대 중반의 대졸 이상 고학력 임금근로자로 1인 가구였고, 특・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 가구 중 고학력자가 많은 반면 비특・광역시에서 임금근로 자가 많았다. 청년 가구는 원룸형의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2년 미만 거주해 오는 무부채 가구로 주거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다. 극소수만 이용 중인 주거복지서비스는 주로 공공임대주택과 주거복지 상담 및 정보 이용 서비스에 편향되었다. 또한 지역 주택시장의 차이로 비특・광역시보다 특・광역시 가구가 2배 더 많은 보증금과 약간 더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였다. 주거비 지표 중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에서 두 지역 모두 기준선(25%) 이상의 과부담 가구가 다수였고, RIR 30% 이상인 주거빈곤층도 상당수였다. 주거비 지표의 영향 변인으로 소득 증가와 주거 복지서비스 이용이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를 감소시켰고, 추가로 비특・광역시에서 주택만족도를 증가시켰다. 한편 거주환경의 세부 요소들은 생활환경과 편의시설 요인으로 대별되었고, 생활환경 요인 중 치안 및 방범 상태, 주변 도로의 보행 안전, 대기오염 정도, 이웃과의 관계 4가지 요소만 지역 간 차이를 보여 특・광역시보다 비특・광역시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아울러 거주환경 지표로 주택 및 전체 주거환경 만족도는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에 만족할수록 상승하였으며, 공통 설명 변인으로 주택 만족도에서 주택규모와 노후주택 거주, 전체 주거환경에서 주택만족도가 추가되었다. 이처럼 주거 독립한 비수도권 청년에게 주거사다리의 첫 진입 단계인 월세 거주는 주거비 부담을 현저히 키우므로 이를 경감시키는 지원과 함께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을 개선하는 거주성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인 가구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홈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Smart-home for Healthcare Single households)

  • 조에스더;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78
    • /
    • 2017
  •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의 필요성과 1인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1인가구 사용자의 니즈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주거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한 편리하고 효율적인 1인가구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홈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에이징 인 플레이스 실현을 위한 일본의 고령자 지원체계 연구 -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pport System of the Elderly in Japan for the Realization of Aging in Place)

  • 윤혜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99-107
    • /
    • 2014
  •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community-based support system with AIP perspective for the elderly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apan's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system that respond to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AIP) and its cases. In Japan, they have offered Community-Based Service since 2005, and the advanced system which include integrated support categories and consolidated community/local resources will started in 2015 by The revis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2012. The result of policy analysis and case studies are as follows: 1) The suggestion for ideal support system model promoted a relationship of multiple agents include private sectors even resident and senior and specified responsibility sharing, 2) the system proposed Not only health and medical care support, living care and residence are also addressed as a comprehensive support. and 3) the amount of available community resource is different by each local government, but the effort to get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residents and to connect with a potential community resource is also essential aspect to set effective community-based support system.

OpenCV기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enCV-based Digital Doorlock)

  • 박상용;강화영;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321-324
    • /
    • 2019
  • 최근 국내에는 실업률 상승, 혼인률 하락 등 청년층 생애주기 변화, 단독거주, 고령층의 증가에 따라 1인 가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1인 가구를 겨냥한 맞춤형 보안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구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5G 시대의 도래에 따라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반 기술로 주요 IT 기업들이 상용화 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은 열쇠가 필요하지 않으며 위급상황이나 안전상황에 클릭 한번으로 출동 요원의 출동을 곧바로 요청할 수 있어 고객에게 편의성과 보안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비밀번호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교체해주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같은 자리의 버튼만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해당 위치에 지문이 남아서 비밀번호가 노출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을 사용하게 된다면 안전한 도어락 사용으로 주거 보안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1인 가구를 노리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라즈베리 파이와 아두이노의 UART 통신, 머신러닝 CV를 이용하여 얼굴 인식으로 동일인임을 판단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구현했다.

  • PDF

다항 로짓모형을 이용한 청년 1인가구의 주거 점유형태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Housing Tenure of Single-Person Households of Young Generation Employ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 이무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69-481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가족공동체의 해체 및 고령화 사회 진전, 주거문화의 변화로 1인가구가 급증하고 있어, 주거선택에 있어 일반 가구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1인가구 급증에 따른 주택시장의 변화를 진단하고 올바른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성인 1인 단독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주거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은 한국복지패널 제 10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다항 로짓 모형을 통한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1인가구는 40대 이상보다 가구 및 주거특성이 더욱 열악하게 나타났다. 둘째, 20-30대 1인가구는 주택 점유형태를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가구의 특성은 40대 이상과 같은 특성에 대해서도 다른 방향의 결과를 보였다. 셋째, 20-30대 1인가구의 특성은 공공의 지원을 통해 개선의 여지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정부의 주거 지원이 보다 더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해 주었다.

1인 가구의 화재예방 대책 연구 (A Study of Fire Prevention Measur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김종국;한동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24-431
    • /
    • 2021
  •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만혼, 비혼, 별거, 사별, 귀농귀촌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 노동시장의 유연성 증대 등으로 인한 1인가구 증가라는 현상에 대해 1인가구의 화재예방 대책을 탐구하고 있다. 1인가구의 화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조적 차원에서 주거환경문제가 있다. 행태적 측면에서 반려동물 양육에 따른 화재발생 증가가 있다. 1인가구의 화재예방을 위해서는 구조적 차원에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예외 없는 안전규제가 필요하다. 행태적 차원에서는 관계기관 예방안전지도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반려동물로 인한 화재 예방을 위한 조치로서 전기레인지의 제조사들은 반려동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안전장치, 예를 들면 자동 전원 차단장치나 타이머를 활용한 전원 공급 등을 개발해야 한다.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키우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홍보영상으로 만들어 배포하거나 가상현실로 구현된 재난대비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보급하는 것도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농어촌 독거노인의 공동주거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 농어촌 독거노인을 위한 친환경 공동주거의 모형개발 연구(1) -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trends about co-housing of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 A study on the Model of Co-Housing for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in the rural and fishing village (I) -)

  • 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07-114
    • /
    • 2011
  • According to the aging society, the housing environments of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are faced with social various problems. On the dwelling welfare, development of model for the silver house is necessary at the reducing of social expense. Particularly, the silver housing conditions of rural and fishing villages are poor than urban reg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looked to an negative opinion about cohabitation of the aged, but the senior citizens who don't live alone and preliminary old man group showed a positive opinion to the regarding cohabitation. Second, Most of the aged was in poor health, On this account they expressed an opinion that they were opposite to the cohabitation opinion. Although considering health, simultaneous design of both private life and community life shall be reflected to the preferential design element in co-housing of the aged. Through these co-housing for the aged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the senior citizens who lives alone have prevented poor housing surroundings, loneliness, loss of role, uneasiness, gloomy, chronic disease.

1-2인 가구를 위한 소규모 주택의 계획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생 대상 서울시 아이디어공모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mall Housing for 1-2 Person Households - Focused on the Entries of the Idea Competition in order to Target College Students -)

  • 백지숙;이용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63-70
    • /
    • 2012
  • Nowadays, a 1-2 person household if increasing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low birth rate. Thus, in August 2011, Seoul held the 'College Student's Idea Competition', which dealt with small but strong housing that has a very reasonable structure in spite of its small scal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mall housing for a 1-2 person households. The study indicates the characteristic of this small housing in order to target competition entries from college students; 93- works have been processed. First, the properties of resident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the relations of the residents. To ensure various element techniques of the entries, the study analyzes data via a structured analysis. Along with structured element techniques according to each level, eight element techniques of the furniture level, housing unit level, main building, and district-level are derived. This study suggests various element techniques in response to the efficiency of area in households as well as housing unit levels. Plans of public spaces and community life housing are offered at the level of the main building and at the district-level. Through an analysis of competition, the critical point of small house planning in deliberation is not only about space and economic efficiency of physical unit, but the life of the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