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희귀.난치성질환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 사회의 사랑과 관심속에서 희귀난치성질환, 희망을 그린다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제37권4호통권428호
    • /
    • pp.28-29
    • /
    • 2004
  • 지난해 9월 정부에서는 진료비 지원대상에 포함되는 희귀난치성질환에 페브리병 등 3개 질환을 추가해 모두 11개 질환으로 늘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100여 종이 넘는 희귀난치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희망을 주기에는 아직 역부족이 아닐까.

  • PDF

에이즈, 희귀난치성 질환에 포함 -에이즈환자의 진료비 부담 줄어든다-

  • 김복환
    • 레드리본
    • /
    • 통권58호
    • /
    • pp.20-21
    • /
    • 2004
  • 정부는 고액의 치료비가 소요되는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해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로 지정하여 치료비의 $20\%$만 본인이 부담하는 특례를 주고 있다. 지난해까지 12개 질환에 대해서만 산정특례로 인정되던 것이 올해 1월부터는 에이즈를 포함하여 62개 질환으로 대폭 확대되어 많은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게 되었다.

  • PDF

재가 희귀.난치성질환 돌봄 제공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

  • 최경자;백희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64-37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burden and the qualify of life in caregivers who are taking care of home-based rare and incurable diseas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caregivers of rare and incurable disease patients registered at five health centers in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nd visit in person during the period from the 25th of March to the 12th of May 200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mean burden of caregivers was 3.42, and the mean qualify of life of caregivers was 2.71. Burden and Q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aregivers' characteristics such as sender, age, relation to the patient, academic qualification, religion, occup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 Caregivers' burden was in an inverse correlation with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are and incurable disease caregivers' burden and their quality of life were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caregivers' quality of life by reducing their burden, we need to reestablish comprehensive policies for rare and incurable disease management includ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aregivers.

  • PDF

성인병 신문 제297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297호
    • /
    • pp.1-18
    • /
    • 2005
  • 국민보건은 우리에게 맡겨라/한국에‘세계줄기세포허브’개설/치매.중풍 노인들 간병 수발 문제 해결/조류독감 겁낼 필요없다/보건복지부 조직 전면 개편/임상노인의학회장에 유동준 회장 취임/희귀.난치성 질환 보험급여 대폭 확대/국립암센터, ‘세계최고’비전 제시/경기도립의료원, 서민병원으로 탈바꿈/감압치료 디스크탈출증에"탁월"/희망과 건강이 함께 하는 도시/현실성 있는 보건사업 전략 효율적 수행/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금연’도 의학적 접근 필요하다/

  • PDF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아 환자 보호자에서의 질환 인식 및 정서변화 (The Percep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Rare and Intractable Diseases in Caregivers and Pediatric Patients with Mitochondrial diseases)

  • 엄소용;이주영;현지아;이영목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2017
  • 목적: 소아기에 경험되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확진까지의 과정에서뿐 아니라 진단 및 진단 이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질병을 경험하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모두 신체적 및 정신적인 어려움을 동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아환자의 보호자의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확진이후 경험하게 되는 감정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질환 환자와 보호자, 그 가족들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방향에 도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미토콘드리아 질환 클리닉에 내원한 83명 소아 환자의 보호자들에 대해서,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인식 및 진단 이후 경험하게 되는 정서 관련 개발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환자들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질환 관련 임상 자료가 조사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총 83명의 환자들 보호자에 대한 설문 결과가 분석되었으며(남아 53명, 64%), 환자의 연령대는 6-12세가 27명(33%), 1-6세가 25명(30%) 순서였다. 미토콘드리아질환 관련 첫번째 증상 발병 연령은 0-0.5세가 전체의 43%(36명)를 차지하였고, 질병의 유병기간은 10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35명, 42%). 자녀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확진을 받기 이전에,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정도는 '전혀 알지 못한다'가 총 83명중 44명으로 제일 높았고,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 정도도 '전혀 알지 못한다'가 총 83명중 68명으로 높았다. 자녀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확진을 받는 과정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은 '별로알지 못한다,' '조금 안다'가 모두 높게 나타나, 확진을 받기 이전에 비해 질환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아 환자의 보호자가 지각하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가족들의 '인식' 정도는 대체적으로 평균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보호자가 지각하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가족 이외 주변 사람들의 '인식' 정도는 '전혀 알지 못한다'가 43명으로 가장 높게 선택되었다. 이와 더불어, 보호자의 인식 정도와 가족 이외 주변 사람들의 인식 정도는 대부분이 '별로 일치하지 않는다'로 보고되고 있어, 대부분의 인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보고되었다. 보호자의 자녀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확진 받았을 당시, 보호자가 가장 먼저 경험한 생각이나 감정으로 좌절/절망감, 막막함/무기력감, 당황스러움 등이 높게 보고되었다. 미토콘드리아 질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보호자의 감정으로 불안감, 치료 과정에 대한 의지,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이 가장 빈번하고 강하게 경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당황스러움과 막막함/무기력감이 보고되었다. 한편, 미토콘드리아 질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경험한 감정으로는 불안감이 가장 높게 보고되었으며, 치료 과정에 대한 의지, 당황스러움,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보고되었다. 결론: 희귀난치성 질환인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질환에 대한 경험 이전에 보호자 및 가족들의 인식이 충분하지 못하고, 특히 가족 이외의 주변 사람들의 인식은 질환에 대한 확진 이후에도 별로 변화되지 못하여, 환자와 가족이 경험하는 정서적인 소외감이나 어려움이 높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관련하여, 질환에 대한 확진 이후 환자와 보호자가 경험하게 되는 부정적인 감정들은, 질병 자체에서 비롯되는 어려움과 더불어 질병에 대한 치료적 개입 제공에 어려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계획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 PDF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희귀·난치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Burdens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Using Home Ventilators)

  • 황문숙;이미경;송종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1-20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actual caregiving conditions of family caregivers who are caring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using home ventilators at home, and to clarify any factors affecting their burdens and quality of lif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by the 159 subjects, and the questionnaires conta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caregiving activities, and caregiver's burdens and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linear regressions. Results: The mean of burden scores was 3.55 out of 5, and influencing variables included the relationships with patient (spouse), respite (moderate), health status, and diagnosis (non AL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0.0%. The mean of the quality of life was 2.58 point, and the influencing variables included burdens, health status, and respite (enough),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9.0%.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patients with using a home ventilator, it is required to develop strategies for reducing caregiving burdens as well as to introduce family respite welfare systems to family caregivers.

대한한약신문-제121호

  • 대한한약협회
    • 대한한약신문
    • /
    • 통권121호
    • /
    • pp.1-8
    • /
    • 2007
  • 국세청, 7월부터 현금거래 신고.확인제 시행/수입한약재 정밀검사품목 90품목 추가/제63차 한약수급조절위원회 회의/서울약령시 한의약문화축제 성황리 폐막/'녹용없는 녹용탕' 유명 프랜차이즈 한의원 '눈속임'/'한약재 포제품' 제법.규격 표준화 추진/세명대,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설치사업 확정/안궁우황환 사건 관련 한조약 VS 한의협 주장 엇갈려/국내 우수한약제품 해외시장 진출 본격화/"맥문동.시호.황금.백수오 개방 유예"/희귀난치성질환 정보 이용 접근 더 쉬워져/커피, 간암 예방 효과 있어 하루 2잔 이상, 간암 위험 43% 감소/고려 홍삼 중국 진출 '청신호'/아토피 피부염 한약치료 임상시험자 모집/한의약 R&D투자, 과기 전체의 0.13%/생약협 '함양 하고초 마을 약초기행' 실시/중국, 중의약 규범 국제표준화 추진/동의의료원, 양한방협진 강화/'양.한방 협진의 미래 지향적 접근' 세미나/비증 이야기/명칭이 비슷하여 감별하기 어려운 한약재/지부탐방-지부장에게 듣는다/우리 약초를 찾아서-황기

  • PDF

마자인 함유처방과 처방 투여 실험동물의 혈액에서 THC, CBD 성분 측정

  • 김동구;진종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121
    • /
    • 2022
  • 마자인(麻子仁)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대마(Cannabis sativa L.)의 종자로써, 治血虛津虧, 腸燥便秘하며, 中風汗出, 逐水, 利小便, 破積血, 復血脈, 乳婦産後餘疾, 長髮 등에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마자인 종자의 외피에는 환각성분인 Tetrahydrocannabinol (THC) 및 뇌전증과 다발성경화증 등 희귀,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Cannabidiol (CBD)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외피를 제거한 마자인은 햄프씨드(Hemp Seed)로써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마자인은 의약품으로써 사용이 되고 있다. 마자인은 윤조탕, 자윤환, 마자인환 등 다양한 한의학 처방에 사용되지만, 외피에 함유되어있는 THC 및 CBD의 함유량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마자인 함유처방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실험방법을 설계하였다. 우선 의약품으로 유통되는 마자인의 외피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마자인을 다양한 용매별 (물, 헥산 등)로 추출한 후 LC/MS를 이용해 성분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마자인 함유 처방 (마자인환, 자윤환, 윤조탕 등)을 복용하였을 경우 혈중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마자인 함유 /처방을 투여한 후 혈액을 채취한다. 마찬가지로 성분 유무를 측정하는 방법은 LC/MS를 이용해 확인한다.

  • PDF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 신경근육계 희귀난치성 질환자 가족 간호제공자의 기관내 흡인 수행과 폐렴 발생과의 관계 (Pneumonia Incidence Varies by Tracheal Suction Procedures among Caregivers of Patients with Home Mechanical Ventilators)

  • 황문숙;박진희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urve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Neuromuscular Rare and Incurable Disease (NRID) using invasive home mechanical ventilator (HMV), in order to compare the incident rate of pneumonia by tracheal suction procedures used. Method: Participants were 99 family caregivers of NRID patients using HMV. Participa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2 demographic items, 10 items about disease and HMV related characteristics, 11 items about tracheal suction procedures, and 2 items about the incidence of pneumonia.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and t-tests. Results: The items that predicted the incidence of pneumonia were "change of irrigation saline every suction" (p=.047), "use of aseptic catheter every suction" (p=.004), and "instillation of normal saline before suction" (p=.027). In addition, these items were 47.4%, 51.4%, and 38.8% respectively. Conclusion: Family members caring for NRID patients with invasive HMV should be educated about tracheal suction, especially the necessity of changing irrigation saline after every suction, using the aseptic catheter for every suction, and instillation of normal saline before suction. Medical personnel such as home care nurses should periodically check tracheal suction procedures, and re-educate family caregivers when necessary.

가정형 인공호흡기를 적용하고 있는 희귀, 난치성 질환자의 자가관리 교육 경험과 수행정도, 가정간호 요구도 (Self-care Education Experience, Self-care Performance, and Home Care Service Need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Who Use a Home Ventilator)

  • 황문숙;장수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lf-care education experience, self-care performance, and home care service need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who use a home ventilator. Methods: From2 ventilator rental companies and 5 hospitals, records of 162 subjects were collected to obtain data regarding self-care education experience (23 items) and home care service needs (25 items). Results: Of the subjects, 65.4% were male and 55.6% had a myotrophic lateral sclerosis. The items with the highest and lowest levels of self-care education experience were "using the ventilator"(94.0%) and "community-available resource information"(27.0%), respectively. Meanwhile, self-care was performed well in terms of "personal hygiene"(59.6%) but not performed well in "community-available resource information"(23.7%). "Health status assessment" had the highest need(88.2%) of home care services. Generally, the need of home care services was higher for the patients using invasive ventilators than that for those using non-invasive ventilators. Conclusion: Home care nurses need to not only provide physical care for the patients but also strengthen their roles of enhancing patient access to and utilization of various community resources to provide systematic and individualized training and c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