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흉벽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초

좌측 흉벽에 발생한 동면선종 -1례보고- (Hibernoma of Lower Chest Wall, Left -One Case Report)

  • 전용선;전찬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67-470
    • /
    • 1997
  • 동면선종(hibernoma)은 갈색지방조직에서 발생한 양성종양이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의 갈색지방조직이 총선과 유사한 내분비기관으로 간주되어 동면선종으로 알려졌었고 이러한 갈색지방은 동면하지 않는 동물에서도 발견되며 사람에서도 태아와 신생아기에 주로 존재하다가 점 차 황색지방으로 대치되는데 그 기능은 확실하지 않다. 1914년 Gery에 의해 명명된 동면선종은 3∼19cm정도의 크기로 아직까지 악성전환은 보고되지 않았고 피막형성이 잘되어 전적출술로서 완치가 가능하지만 수술시 남겨진 조직에서 재발된 경우는 보고되어 있다. 종양의 호발부위는 견갑간부,목뒤쪽,종격동,후복벽 등이며 흉곽내 발생은 7례에 불과하다. 조직학적 소견은 과립상 호산구성 세포질을 가지면서 여러개의 공포를 가진 세포들이 혼재해 있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있다. 저자들은 좌측 후하부 흉벽과 복벽에 걸쳐 있는 동면선종을 경험하여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비교해부학적연구(比較解剖學的硏究) 3. 흉벽근(胸壁筋)에 관(關)하여 (Comparative Anatomy of the Korean Native Goat 3. Muscles of the Thoracic Wall)

  • 김용근;김창기;윤석봉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1-277
    • /
    • 1975
  • 한국재내산양(韓國在來山羊) 11두(頭)의 흉벽근(胸壁筋)을 절개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산양(山羊)의 흉벽(胸壁)에는 횡격막을 포함하여 11개의 筋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전배거근(前背鋸筋) M. serratusdorsalis cranialis, 후배거근(後背鋸筋) M. serratus dorsalis caudalis, 사각근(斜角筋) M. scalenus, 늑횡근(肋橫筋) M. transversus costarum, 늑골거근(肋骨擧筋) Mm. levatores costarum, 외늑간근(外肋間筋) Mm. intercostales externi, 내늑간근(內肋間筋) Mm. intercostales interni, 늑연골간근(肋軟骨間筋) Mm. intercartilaginei, 늑골후인근(肋骨後引筋) M. retractor costae, 흉횡근(胸橫筋) M. transversus thoracis, 횡격막(橫隔膜) Diaphragma. 2. 전배거근(前背鋸筋)의 발달이 아주 미약하여 단지 1예(例)에서만 볼 수 있었다. 3. 사각근(斜角筋)은 천부(淺部)(M. scalenus supracostalis)와 심부(深部)(M. scalenus primal costae)로 구분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배(背), 복(腹)으로 나누어졌고, 천부(淺部)는 제 1늑골 및 제 3~4늑골에서 기시(起始)하고 있었다. 4. 늑연골간근(肋軟骨間筋)은 제 7늑간에서는 양쪽 늑골이 서로 밀접하게 붙어있어 나타나지 않았으며, 제 1늑간 부터 제 6늑간 사이에서는 섬유방향이 거의 수평으로 향하고 있어 내늑간근(內肋間筋)의 연장으로 보이고 제 8늑간 부터 마지막 늑간사이에서는 거의 수직으로 향하고 있어 외늑간근(外肋間筋)의 연장으로 보인다.

  • PDF

흉벽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A Case of Neurilemmoma of the Chest Wall)

  • 고용호;김명임;한민수;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580-585
    • /
    • 1999
  • 흉벽에 발생한 신경초종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우연히 발견되는데, 중년의 나이에 흉부 X-선 검사에서 종괴가 일측성이며 둥글고 경계가 분명하고 석회화를 동반하지 않고 상하로 흠을 가지며 경피적세침흡인술시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 의심할 수 있다. 저자 등은 55세 여자환자에서 흉부 X-선 검사, 흉부전산화단층촬영상 폐실질내의 종양과 감별을 요했던 흉벽에서 발생한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Jeune 증후군 환아에게 시행한 외측 흉벽 확장술 (Lateral Thoracic Expansion Surgery for Jeune's Syndrome)

  • 김준범;문일홍;최병민;이기형;최인철;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73-877
    • /
    • 2005
  • Jeune 증후군은 체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다발성 연골 형성장애에 의한 흉벽, 골반, 사지 등의 골격계 발달 이상을 보이며 신장, 간, 췌장, 망막 등에도 병변을 동반할 수 있는 드문 질환이다.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흉곽 기형의 정도인데 특징적으로 경직된 종 모양의 제한적 흉곽을 보이며, 이로 인해 호흡부전과 폐렴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어린 나이에 증상이 발현될수록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흉곽 기형을 교정하기 위한 여러 수술 방법들이 소개되어 왔으나 1세 이전에 증상이 발현된 경우에 있어서는 수술 교정을 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생후 11개월 된 남자 환아가 출생 후부터 지속된 호흡부전과 폐렴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Jeune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측흉벽 확창술을 우측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호흡 부전이 해결 되지 않아 첫 수술 3개월째 좌측에 대해서도 같은 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좌측 티타늄 판 골절이 발생하여 티타늄 판 재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호흡 양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다가 첫 수술 6개월째 퇴원하였다. 환자는 퇴원 2개월 후 폐렴의 증상으로 재입원하였으며, 재입원 치료 5개월째에 결국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다. Jeune증후군에 대한 측흉벽 확창술을 시행하였기에 그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벽에 발생한 원발성 종양에 대한 고찰 (Clinical Review of Primary Chest Wall Tumors)

  • 백효채;강정한;최성실;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175-181
    • /
    • 2003
  • 원발성 흉벽종양은 흉부의 연조직이나 뼈 또는 연골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종양으로서 전체 원발성 종양의 약 l∼2%를 차지한다. 수술적 절제술은 만성 궤양이나 심한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조직학적 진단 및 수술방법에 따라서 장기생존이 가능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1976년 9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원발성 흉벽종양을 가진 125명(양성종양 86명, 악성종양 39명) 의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하여 수술결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결과: 양성종양은 수술적 치료로 재발 없이 완전 치료가 되었으며 악성종양은 대부분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환자에 따라 수술 후 보조요법을 병행하였다. 양성종양 중 신경초종이 가장 많았으며 악성종양은 악성섬유성조직구종이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악성종양의 경우 3년 생존율이 76.0%, 10년 생존율이 60.5%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으며 외래 추적 중 사망한 환자의 원인은 원격 전이에 의한 장기부전 이었으며 11명에서 재발하였다. 안전거리 절제면을 4 cm 이상과 미만으로 구분하였을 때 두 군간의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양성종양의 경우 수술적 치료로 재발 없이 완치가 가능하였으며 악성종양도 비교적 좋은 장기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안전거리 4 cm는 예후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재발 시에는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핵성 흉벽농양의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 (CT Findings and Types of Tuberculous Chest Wall Abscess)

  • 홍용국;최규옥;김성규;정경영;장준;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59-68
    • /
    • 1997
  • 배 경 : 결핵성 흉벽 농양은 결핵의 드문 합병증이다. 결핵성 흉벽 농양은 다양한 병인에 따라 CT 소견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차이를 밝히는 것이 결핵성 흉벽농양의 진단 뿐만 병인을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결핵성 농양으로 확진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명 환자의 29개 농양을 활동성 폐실질 혹은 흉막 병변의 유무와 이들 병변과 농양의 접촉 여부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l형은 폐실질 또는 흉막에 활동성 결핵성 병변이 없는 경우로, 2형은 활동성 폐결핵이나 흉막병변이 흉벽농양과 접하고 있는 경우로, 3형은 폐결핵이나 흉막병변이 있으나 농양과 접하고 있지 않는 경우로 각각 정의하였다. CT 유형에 따른 농양의 크기, 모양 및 위치 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l형에는 6명 환자의 6개의 농양이 속하였다. 이틀 농양은 늑골이나 늑연골의 파괴를 동반하며, 이것을 중심으로 크기가 크고 비교적 구형에 가까운 모양이었다. 2형은 10명 환자의 13개의 농양이 속하였다. 흉막 병변과 접하고 있는 7예와 종격동 림프절염과 접하고 있는 1예는 농양의 중심이 외근육층에 있고, 상하 길이가 긴 타원형의 모양이었다. 폐실질 병변과 접하고 있던 5예는 농양의 중심이 흉막외공간에 있고 크기가 작고 횡축이 긴 타원형이었다. 3형에는 6명 환자에서 10개의 농양이 속하였다. 이것들은 주로 흉막외공간에 생기며 크기가 작고 늑골의 장축을 따라 횡측의 길이가 긴 타원의 모양이고, 다발성의 빈도가 높았다. 결 론 : 결핵성 흉벽 농양은 농양의 모양과 동반된 폐실질 및 흉막 병변에 따라 몇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의 차이는 다양한 병인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며, 결핵성 흉벽 농양의 다양한 형태를 이해하는 것 이 진단 뿐만 아니라 병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CT는 결핵성 농양의 진단 뿐만 아니라 농양의 범위, 동반된 폐실질및 흉막병변을 보는데 유용하다.

  • PDF

선천성 심기형에 동반된 누두흉에서 동시에 시행안 심기형 교정 및 Nuss 수술 -1예 보고- (Nuss Operation with Simultaneous Intracardiac Repair -A case report-)

  • 허재학;장지민;김욱성;장우익;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36-538
    • /
    • 2004
  • 선천성 심기형과 흉벽기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이 두 질환을 동시에 수술하는 경우에 변형된 늑연골의 광범위한 절제에 따른 합병증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부분 방실중격 결손증과 오목가슴이 동반된 8세 환아에서 개심술 시에 Nuss 술식을 이용하여 오목가슴을 교정함으로써 광범위한 늑골절제에 따른 수술시간의 지연이나 출혈, 흉벽의 불안정성 등의 단점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흉벽에 발생한 종양 -흉벽 재건술 4례- (Reconstruction of Thoracic Wall Defect in Tumors of Chest Wall -Report of Four Cases-)

  • 이선희;김세화;이홍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8권1호
    • /
    • pp.29-36
    • /
    • 1975
  • We have experienced 49 cases of tumors of chest wall at St. Mary`s Hospital from Jan. 1963 to Dec.1974. In four cases of them, the reconstruction of chest wall defects performed. 1] Out of 49 cases of tumors of the chest wall, 27 cases were benign tumors, 14 cases metastatic malignant tumors, and 8 cases primary malignant tumors. 2] Twenty-six cases [50%] of tumors of the chest wall were on the bony cage. Among them benign tumors were 9 cases [35%], metastatic malignant tumors 14 cases [53%], and primary malignant tumors 3 cases [12%]. Of these, 24 cases were located on the ribs and 2 cases on the sternum.3] The malignant tumors of bony chest wall were excised in en bloc resection including involved ribs. The wide defects of bony chest wall were reconstructed by means of displacement of neighboring ribs and mobilized diaphragm, in the two osteogenic sarcomas of rib, and of prosthesis with silastic sheets in one rhabdomyosarcoma and one metastatic adenocarcinoma of lung.

  • PDF

전흉부에 발생한 거대 연골육종 (Huge chondrosarcoma on the anterior chest wall)

  • 박영우;장원호;고정관;이철세;박형주;탁민성;이영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60-963
    • /
    • 2001
  • 거대 연골육종은 흉벽의 원발성 악성종양 중 임상에서 드물게 보는 형태이다. 60세 여자 환자가 전흉부에 발생한 거대 종양과 심막 침범 및 심장의 장측 심막에 위성 종양 등의 진행된 연골육종을 보였다. 수술은 종괴를 포함하여 양측 3개의 늑골, 양측 쇄골, 흉골자루와 흉막, 심막을 광범위 총괄절제하고, 2mm Gore-tex 포편과 광배근 자유 피부 근육판을 이용하여 흉벽을 재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