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황토 결합재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천연 결합재를 사용한 황토경화체의 물성에 대한 연구 (Physical Properties of the Hardened Loess Using Natural Binding Materials)

  • 김진석;오영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44-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황토에 시멘트나 유기계 접착제를 첨가하지 않은 천연재료 황토결합재를 사용하여 황토경화체를 제작하고, 배합조건에 따른 강도성상을 평가하였다. 황토와 석회의 결합재에 천연재료를 첨가할 경우 사용한 천연재료는 모두 물리적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천연재료 중에서 석회는 황토경화체의 물성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황토경화체의 물리적 특성은 적용한 배합비 중에서 W/B 45%, 단위수량 $285kg/m^3$, 석회첨가율 60%일 때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다.

알칼리활성 천연황토 결합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lkali Activated Natural Hwangtoh Binder)

  • 김백중;김준환;이종구;강경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89-390
    • /
    • 2010
  • 본 연구는 콘크리트 결합재로 사용되는 시멘트의 대체재 개발을 위해 천연황토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과 액상 규산나트륨($Na_2SiO_3$)을 혼합한 후 $60^{\circ}C$에서 알칼리 활성화하여 경화시켜 강도 발현 양상을 분석한 천연황토 콘트리트 결합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 PDF

천연섬유질을 심재로 사용한 친환경 복합단열재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Environment-friendly Insulating Composite Materials Using Natural Cellulose as a Core Material)

  • 황의환;조성준;김진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20-127
    • /
    • 2011
  • 친환경 복합단열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섬유질(목재칩 및 톱밥)을 심재로, 활성황토를 결합재로 사용하였다. 물/결합재비 및 천연섬유질/결합재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공시체를 제작하였으며, 공시체의 제 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압축 및 휨강도, 흡수성, 내열수성, 열전도도, 세공분포측정 및 SEM에 의한 미세조직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흡수율은 천연섬유질/결합재비가 증가될수록 증가되었으나 폴리머/결합재비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소되었다. 압축 및 휨강도는 물/결합재비 및 천연섬유질/결합재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천연섬유질/결합재비 및 폴리머/결합재비가 증가됨에 따라 열전도도는 감소되었다. SEM조사에서 활성황토 결합재는 수화결정체가 잘 형성되어 치밀한 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고, 활성황토를 결합재로 사용한 시편의 총세공량은 생황토를 결합재로 사용한 시편의 총세공량에 비하여 적게 나타났다.

혼화제·재가 무시멘트 황토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erplasticizers and Admixtures on the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Cementless Mortar Using Hwangtoh Binder)

  • 양근혁;황혜주;김선영;송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93-80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황토결합재를 이용한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유동성과 압축강도에 대한 혼화제 재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실험은 혼화제 재의 종류와 치환율에 따라 4그룹으로 분류되어 진행되었다. 시리즈 I은 고성능 감수제의 치환율에 따라, 시리즈 II는 물/황토결합재 비 50%, 60% 및 70%에서 고로슬래그와 팽창시멘트 치환율에 따라, 시리즈 III은 고로슬래그 비표면적과 치환율에 따라, 그리고 시리즈 IV에서는 콘크리트의 경시변화를 위해 개발된 분말형 혼화제인 PSP제의 치환율을 변화시켰다.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무시멘트 황토모르타르의 플로우와 압축 강도 향상을 위한 각 혼화재의 적정 치환율이 제시되었다.

무기계 혼화재료를 혼입한 모르타르 시편의 광촉매 처리를 고려한 NOx 저감 성능 (NOx Reduction Performance in Cement Mortar with TiO2 Treatment and Mineral Admixture)

  • 윤용식;김혁중;박장현;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06-51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무기계 혼화재료인 제올라이트 및 활성 황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 흡수율, NOx 저감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올라이트 및 활성 황토는 결합재로서 시멘트의 대체재로 사용되었으며 치환율은 각 20, 30%로 설정하였다. 각 배합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평가한 결과, Plain 배합에서 가장 높은 강도가 평가되었다. 제올라이트 및 활성 황토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활성 황토와 제올라이트 혼입 배합간의 강도 차이는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흡수율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배합의 물-결합재 비를 낮추고 활성 황토 및 제올라이트의 치환률을 25%로 설정한 배합을 설계하였다. 제올라이트 혼입 배합에서 가장 높은 흡수율이 평가되었으며, 나머지 두 배합 간에 흡수율의 차이는 매우 적었다. 광촉매 코팅의 유무를 고려한 NOx 저감 성능을 평가한 결과, 동일 배합이라 하더라도 광촉매를 코팅함에 따라 뚜렷한 NOx 농도 저감이 나타났다. 또한 제올라이트 및 활성 황토는 다공성 성질을 갖기 때문에 Plain 배합 보다 높은 NOx 감소 성능을 나타내었다. 활성 황토 배합의 경우 흡수율은 제올라이트 배합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제올라이트 혼입 배합보다 뛰어난 NOx 저감 성능이 나타났다.

황토결합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수화열과 수축특성 (Hydration Heat and Shrinkage of Concrete Using Hwangtoh Binder)

  • 강성수;이성로;황혜주;조민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49-555
    • /
    • 2008
  • 본 연구는 비활성 황토결합재로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시멘트의 수화 반응 등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 발열과 수축 특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재료의 분석을 토대로 압축강도, 슬럼프, 공기량을 살펴보았다. 소형시편과 대형시편을 제작하였고, 보통콘크리트 (OPC)와 황토콘크리트 (HBC)의 수화열, 수축을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황토결합재는 압축강도가 $18{\sim}33\;MPa$로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발현하였고, 유동성도 확보되는 결과를 보였다. 소형시편에서는 HPC는 OPC에 비해 양생시 내부의 최고온도가 약 1/4 정도로 낮게 나타나고 수축 역시 HBC는 OPC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대형시편에서도 HBC는 OPC에 비해 내부온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수축 역시 60일 기점으로 OPC의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축률을 보였다. 따라서 비활성 황토 결합재는 일정강도와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이며 친환경적 재료이다. 수화열과 수축에 있어 내구성능을 확보하는데 긍정적으로 사료된다.

황토결합재를 이용한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과 건조수축 효과 (Effect of Hydration Heat and Drying Shrinkage of Mass Concrete Using Hwangtoh Binder)

  • 강성수;이성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649-652
    • /
    • 2008
  • 본 연구는 황토결합재로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시멘트의 수화 반응 등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발열과 건조수축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소형모형에서 HBC는 28일 압축강도가 18${\sim}$33MPa으로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발현할 수 있으면서, OPC에 비해 양생시 내부의 최고온도가 1/4 정도로 낮게 나타나고 건조수축 역시 HBC는 OPC에 비하여 50% 감소하였다. 대형시편에서도 HBC는 낮은 수화열로 인해 내부온도가 OPC에 비해 50% 낮게 나타났으며 건조수축 역시 60일 기점으로 OPC의 50% 정도의 수축률을 나타났다. 따라서 황토 결합재를 이용하여 매스 구조물을 제작하면 시멘트에 비하여 수화열과 건조수축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분자수용액을 첨가한 황토 결합재의 성능 평가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d Clay Binder with Polymer Aqueous Solution)

  • 김진성;김호진;최형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1-142
    • /
    • 2020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dding a polymer aqueous solution as a new additive of the red clay binder for use in the rammed earth construction method. The evaluation items were compressive strength and microstructur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erformance of the red clay binder was improved by efficiently bonding the silica particles by the polymerized polymer.

  • PDF

페로니켈슬래그를 혼입한 황토투수블럭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wangto Permeable Block Using Ferro Nickel Slag)

  • 김순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07-618
    • /
    • 2022
  • 본 연구는 황토와 무기질 결합재의 수화반응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용 황토투수블록을 개발한 연구로서 제조과정의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페로니켈슬래그 순환자원을 골재로 활용하고 황토투수블럭을 제작하여 물성분석을 하였다. 도심지 내 투수성 포장을 확대하고 공극이 막혀 투수기능 상실을 방지하여 우수유출저감용 빗물관리시설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시지역에서 열섬현상과 도심 집중강우에 따른 도로침수 포장체 파손 등이 대한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알칼리 활성 황토 결합재 제조를 위한 프로토타입의 마이크로파 가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rototype System for Microwave Heating in a Manufacture Process of Alkali Activted Hwangtoh Binder)

  • 김백중;로양;이종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2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totype system for microwave heating in a manufacture process of alkali activated Hwangtoh binder as replacement materials for the cement in concrete. In order to achieve this, four research phases are carried out as follows: 1) establishment of a system concept 2) deduction of a system element 3) design of the entire system 4) making of the prototype system for microwave hea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