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동 은하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Black Hole Masses, Scaling Relations, and Co-Evolution of Black Holes and Galaxies

  • Park, Daeseong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30.2-31
    • /
    • 2018
  • 지난 20여 년간 수많은 역학적 증거들로부터 거의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현재 우주에서 관측적으로 발견된 블랙홀-은하 척도관계들은 블랙홀과 그 모 은하가 공동으로 진화한다는 틀을 도입하며 은하의 형성과 진화 이론에 패러다임 쉬프트를 가져왔다. 그들 간의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총체적인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보다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우주적 시간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핵심적인 물리량인 블랙홀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관측적 제약과 한계로 인해 먼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질량은 오직 중심 블랙홀로 물질이 떨어지며 굉장히 밝은 빛을 내고 분광학적으로 넓은 선폭을 보이는 활동성 은하핵을 관측해야만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활동성 은하에서의 보다 정확한 블랙홀 질량 측정을 위한 연구들과, 은하 진화경로 상에서 주요한 시기를 나타내는 활동성 은하 샘플들을 활용한 블랙홀-은하 척도 관계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동반은하의 기조력에 영향을 받는 NGC5929

  • 강은아;형식;이성재;손동훈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61.1-61.1
    • /
    • 2011
  • NGC5929는 북동방향으로 0.5' 떨어진 NGC5930의 기조력 영향을 받는 활동성은하이다. 우리는 NGC5930이 NGC5929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NGC5929의 활동성을 어떻게 유발하는지 수치실험을 알아보고자 한다. NGC5929의 적경, 적위는 (15h 26m, $41^{\circ}$40')이고, 크기는 $1'.14{\times}$ 0'.89이다. 지구로부터 거리는 36.5Mpc(적색편이는 $0.00836{\pm}0.00007km/s$)이다. 관측 자료에서 보인 NGC5929는 원반 모양의 은하 오른쪽 위쪽의 가스는 접근성, 왼쪽 아래 부분은 멀어지는 운동학적 특성이 보인다. 호스트 은하 원반이 기울어져 장축 방향이 $PA=85^{\circ}$, 단축이 $PA=45^{\circ}$ 은하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는 하와이 CFHT 3.6m의 OASIS로 관측한 NGC5929의 중심부를 MR1, MR2로 관측한 영상을 참고하여, 이 영상에서 보이는 활동성 즉, 15*12 arcsec의 OASIS field 영역의 관측 자료에 나타난 $H{\beta}$영상이나, [O III]에 나타난 제트 형태와 방출방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CFHT OASIS의 분석으로 우리는 continuum, [O III], $H{\beta}$ 선을 통한 영상을 조사하였고, 특히 [O III]영상에서 에서 강한 활동은하의 성격이 보인다. 이 방출선의 특성이 별의 UV, 행성상 성운 주변, 블랙홀 주위, 충격파 중 어느 영향이 가장 강한지 조사하였고, [O III]이미지에서 보인 제트의 형성조건에 동반은하 NGC5930의 영향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조사하고, $H{\beta}$영상에 나타난 starburs지역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관측 자료에서 보인 활동성의 근원을 알기 위해 Gadget, Magalie를 사용하여 두 은하의 운동학적 및 은하의 구조에 대해 조사하려고 한다.

  • PDF

막대은하의 별탄생율과 활동성 은하핵 (Star Formation Rate and AGN in Barred Galaxies)

  • 방준;안홍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DSS DR6을 이용하여 별탄생율과 활동성 은하핵의 막대의 특성, 특히 막대의 세기에 대한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막대의 세기를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하여 막대의 길이와 축비를 이용하여 막대를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H{\alpha}$ 방출선 세기로부터 구한 별탄생율은 막대의 세기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활동성 은하핵은 막대와 또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전자의 상관관계는 막대에 의해 유발되는 가스 유입이 막대의 세기에 의존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되며, 활동성 은하핵이 막대의 특성과 특별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은 초중량 블랙홀로 들어가는 가스의 양이 막대와 초거대 블랙홀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활동성 은하핵은 주변의 밀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나 별탄생율은 주변의 밀도와 무관해 보인다. 이것은 별탄생은 은하에서의 가스 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국지적인 현상인데 반해 활동성 은하핵은 질량이나 광도와 같은 은하의 특성이 밀도-광도관계로 표현되는 은하의 환경 의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한다.

SDSS 자료를 이용한 z<0.01 필드은하의 자외광 특성

  • 이웅;이수창;김석;이영대;박민아;이원형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86.1-86.1
    • /
    • 2012
  •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 DR7 분광자료를 이용하여 z < 0.01에 존재하는 필드(field) 은하 505개를 선별하였다. SDSS의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필드은하들의 형태(morphology)를 타원은하/왜소타원은하, 렌즈은하/왜소렌즈은하, 나선은하, 그리고 불규칙은하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은하들에 대한 측광을 수행하였다. 한편, Galex Evolution Explorer (GALEX) 자외광 영상으로부터 선별된 은하들에 대한 자외광 측광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환경에 있는 은하들의 최근 별탄생 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처녀자리은하단 (Virgo cluster)에 있는 은하들과 비교하여 필드은하들의 자외광-가시광 색-등급 분포를 조사하였다. 처녀자리은하단 은하들에 비하여 필드은하들은 작은 자외광-가시광색지수를 가지는 만기형 은하들의 비율이 높았다. 특히, 조기형 필드은하들의 색지수 값이 처녀자리은하단 조기형 은하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이 특징은 질량이 작은 왜소은하에서 더욱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환경적 효과를 거의 받지 않는 필드은하들은 환경적 효과가 큰 은하단 은하들의 진화 연구에서 환경적 효과의 크기 및 기작을 규명하는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토의하고자 한다.

  • PDF

가까운 폭발적 항성생성은하의 분광 관측 (Spectroscopy of Local Starburst Galaxies)

  • 이철희;심현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9-221
    • /
    • 2017
  • 가까운 은하에서 폭발적 항성생성은하의 분광 관측을 수행하여 별생성률이 높은 은하에서 별생성이 일어나는 시간 규모에 따라 방출선의 방출 기작, 별생성률, 항성질량, 금속함량 등의 물리량 혹은 물리량 상호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관측 대상은 별생성 나이가 매우 어린 울프-레이에 은하 21개와 상대적으로 긴 시간 규모의 별생성이 진행 중인 자외선 초과복사 은하 13개로 보현산 천문대의 1.8 m 망원경과 4K CCD, 긴 슬릿 분광기를 이용해 광학영역에서의 스펙트럼을 얻었다. BPT 분석도표를 그려 관측된 은하들에서 기체를 이온화시키는 원인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별생성(약 50%)이 비항성적 요소인 활동은하핵(약 15%)에 비해 훨씬 높았다. 별생성과 활동은하핵이 모두 기여하는 경우도 전체의 35%였는데, 이러한 경우에 속하는 은하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자외선 초과복사 은하였다. 관측된 은하의 항성질량 범위는 대부분 $10^{9-11}M_{\odot}$이고 별생성률은 $0.01-100M_{\odot}yr^{-1}$로, SDSS에서 관측된 은하들로 구성된 별생성 주계열에 위치한다. 울프-레이에 은하와 자외선 초과복사 은하들의 항성질량, 별생성률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폭발적 항성생성은하는 질량-금속함량 관계를 보이며, 비슷한 항성질량을 가진 SDSS 은하와 비교했을 때 금속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이 은하들에서 별생성으로 인한 강한 피드백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이펏 은하 NGC 5728의 OASIS 분광 영상 (OASIS Spectral Images of the Seyfert galaxy NGC 5728)

  • 형식;송동훈;;이우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9-578
    • /
    • 2006
  • CFHT 천문대 3.6 m 망원경에 부착된 OASIS 분광기를 사용하여 얻은 자료로부터 continuum, $H{\alpha},\;H{\beta}$, [O III], [N II] 등의 영상을 만들어 활동 은하핵 NGC 5728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NGC 5728의 중심부에 NLR 영역으로 판단되는 약 $15"{\times}12"$ 범위 영역에 3개의 밝은 부분(NW knot, SE knot, nucleus)이 존재하고 있고, 이는 핵(nucleus)을 중심으로 북서방향이나 서쪽으로 물질의 흐름이 일어나고 있음을 암시한다. 우리는 직경 10"인 ring과 이의중심에 있는 NW knot의 구조가 은하중심과 일치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구조의 생성 원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핵과 knot의 운동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보았고, 방출선 영상에서 보이는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활동 은하 중심부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NGC 5728 중심 ring 구조 형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 한혜림;형식;손동훈;이성재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56.2-56.2
    • /
    • 2011
  • NGC 5728은 Seyfert 2 은하로 활동성 은하핵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기존에 연구된 NGC5728에 관한 자료 중 중심핵 주변의 ring구조의 형성 원인과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CFHT 3.6-m의 OASIS로 은하의 중심부 $12{\times}10arcsec2$ 영역을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NGC 5728의 중심핵 주변의 구조는 [OIII]5007 영상에서는 두개의 중심핵이 나타나며, $H{\alpha}$ 영상에서는 NW방향에 ring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ring구조의 반경은 ~5.4arcsec, 기울기 ${\sim}50^{\circ}$으로 은하면과 거의 나란하게 위치해 있는 것으로 예상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이 알려졌다. 관측 자료는 ring의 NW방향은 다가오고 SE방향은 멀어지고 있음이 보여지며 이러한 ring의 형성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ring의 기울기와 은하면의 기울기의 구조적 위치를 추가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는 GADGET-2를 이용하였으며 IDL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관찰된 ring구조가 나타날 수 있도록 여러 조건하에서 연구를 수행중이다.

  • PDF

The 1st Extragalactic Workshop for Korean Young Astronomers "We Love Galaxies"

  • 이광호;김석;배현진;강이정;김민진;김은빈;이영대;이윤희;정철;김민배;방태양;손주비;이재현
    • 천문학회보
    • /
    • 제39권2호
    • /
    • pp.121.1-121.1
    • /
    • 2014
  • 2014년 7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전라북도 무주에서 제 1회 대학원생 외부은하 워크샵 "We Love Galaxies"를 개최하였습니다. 초청연사 박사 연구원 2명을 포함, 8개 대학 및 기관에서 총 27명이 참석한 이번 워크샵은 외부은하를 연구하는 대학원생들이 서로의 연구를 이해하고, 현대 외부은하 천문학의 문제들을 공유하며, 자유로운 토의를 통해 더 큰 우주를 그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총 9개의 세션 27개의 구두발표를 통해 은하의 다파장 특성, 형태 분류 및 내부 구조, 주변 환경과 은하 특성과의 관계, 은하 병합 및 진화, 활동성 은하핵 등의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었습니다. 본 포스터를 통해 "We Love Galaxies"의 결과 및 성과, 이후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 PDF

Seyfert 1 은하 NGC 4151, NGC 5548의 BLR 밀도 변화 (BLR Density Variations of the Seyfert 1 Galaxies NGC 4151 and NGC 5548)

  • 손동훈;형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95-501
    • /
    • 2004
  • AGN(Active Galactic Nuclei)의 핵과 BLR(Broad Line Region) 영역의 변광 연구를 위해, 밝은 Seyfert 1 은하들에 대한 밝기 변화 감시 캠페인들이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주로 지상 관측과 IUE 관측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가시광에서 감마선까지 모든 파장영역의 동시 관측도 시도되었다. 우리는 IUE를 이용한 주요 모니터링 대상이었던 NGC 4151과 NGC 5548에 대한 관측자료를 정리하여, 이들 중 SWP(Short Wavelength Prime), 저분산, 대구경 슬릿, 분광 관측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Si III] 1892와 C III] 1909의 플럭스비를 통해 BLR의 전자 밀도를 구하였고, C IV 1550 와 C III] 1909 비를 통해 BLR의 온도와 이온호 정도를 가늠하였다. NGC 4151과 NGC 5548의 밀도 변화 폭은 각각 4배, 8배 정도로 작은 변화만을 보여주었다. 이들의 변화를 조사하여 BLR의 물리적 조건과 블랙홀 주위 활동성과 기하학적 특성 파악을 시도하였다. BLR 크기와 C III] 선폭으로부터 구한 중심 블랙홀의 질량은 모두 107 $M_{\odot}$ 정도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