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동 경험

검색결과 2,522건 처리시간 0.034초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roject Learning that Integrates Formal Education with Informal Learning)

  • 조미헌;허희옥;강의성;류숙희;김용대;서정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91-304
    • /
    • 2013
  • 본 연구는 미래의 교육 환경과 방법의 변화를 고려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식 교육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형식 학습 경험의 통합과 각종 스마트 기기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활동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수정한 후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프로젝트 과정, 과정별 교수 학습 활동 및 관련 지원 자료들을 개발하고 이를 패키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젝트학습 활동과 지원 자료는 서울시 소재 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시범적용을 하였다. 시범적용 결과는 관찰, 면담, 학습 과정 및 결과물 평가를 통하여 분석되었고, '프로젝트 활동 전반', '학습 자료와 도구' 그리고 '비형식 학습 경험'과 같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통합적 경험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을 도입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아파트 단지 내 작은도서관 자원봉사 경험이 지역공동체 의식형성에 미치는 영향: D 광역시 아파트 작은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Volunteering Experience in a Small Library Within an Apartment Complex on the Sense of Community: A Case of Apartment Small Libraries in D Metropolitan City)

  • 이아영;이성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3-7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단지 내 작은도서관에서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지역공동체 의식 형성에 기여하게 되는 과정을 질적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D 광역시 DS 구에 있는 5개 아파트 도서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33명의 봉사자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의 시작은 본인이 도서관의주 이용자가 되어서 도서관을 통해 긍정적 경험을 하고 동시에 도서관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그들은 지역주민들과 더욱 활발히 소통하게 되고 도서관이라는 공간을 함께하는 공간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러한 인식을 통해 자원봉사활동경험은 지역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시절 청소년활동이 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Happiness)

  • 이시연;강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4-466
    • /
    • 2018
  • 본 연구는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이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전문대학교 청소년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고등학교 시기(17-19 세)에 참여한 청소년활동 실태와 자아존중감, 행복감 및 리더십생활기술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차에 걸쳐 총 260부를 배포하였고, 23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시절 청소년활동경험이 증가할수록 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이 증가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은 고교시절 청소년활동 경험과 대학생 리더십생활기술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 경험을 통해 성인기에 필요한 역량 개발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인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통장이 경험한 자살예방활동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Narrative Analysis for Suicide Prevention Activities Experienced by Chiefs of tong/ri)

  • 김정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99-307
    • /
    • 2020
  • 본 연구는 자살예방활동에 참여 중인 이·통장의 경험과 변화 과정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지역사회 내에서 2년 이상 자살예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명의 이·통장으로 하였으며, 각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이·통장의 자살예방활동 참여 시작, 경험, 변화와 성장 순으로 구성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이·통장 활동을 하면서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가벼운 시작'을 하였으며, 자살예방이라는 어려운 문제에서 나름 각자의 방법을 터득하여 활동을 유지하는 '부담감에서 벗어나기'를 거치게 되었다. 그리고 '이·통장으로서의 책임감'은 자살예방활동을 지속하게 하는 원동력이었으며, 그 활동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나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3-157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수학적 탐구 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기존의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문제 제기, 수학적 추측과 반박, 새로운 수학적 표현 생성 등의 수학적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학적 탐구의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적 게임 변형 활동이 예비교사에게 수학적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포츠 체험 활동이 중학생의 "힘과 운동"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orts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bout Force and Motion)

  • 오경진;임성민;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1-38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과 전통적 수업간에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흥미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특히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의 경우, 수업 전 스포츠 활동의 경험 정도에 따른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흥미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남녀공학의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82명(실험집단 40명, 통제집단 4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힘과 운동 단원 수업에서 실험집단은 총 4차시 분량의 예측, 활동, 토론으로 구성된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차시의 전통적 수업을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을 조사한 결과, 객관식의 경우 정답을 표시한 학생의 비율이 통제집단은 17.2% 증가하였으며, 실험집단은 20.0% 증가하였다. 주관식의 경우 올바른 개념을 가지고 설명한 학생의 비율이 통제집단의 경우 10.4% 증가한 반면, 실험집단은 26.7% 증가하였다. 과학에 대한 흥미에서는 주제 차원에서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5). 활동 차원의 세부 범주인 경험적 학습활동과 의사소통적 학습활동에서는 실험집단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5).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 전후, 수업 전 스포츠 활동의 경험 정도에 따른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흥미 변화를 조사한 결과, 스포츠 활동의 경험이 많은 학생들이 경험이 적거나 없는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변화롤 보였다.

  • PDF

실패경험이 기술혁신 활동과 기술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약 산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ilure Experiences on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ies: A Longitudinal Study of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 이재근;허문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3호
    • /
    • pp.69-9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실패경험이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개발, 지식탐색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거나, 감소요건에 대한 고찰위주로 연구하였으나, 실패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국내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10년간의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실패가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혁신활동이 급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실패경험은 탐험적 혁신활동을 촉진시키며, 이는 재무적 여유자본의 크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실패경험은 지식탐색 측면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탐험적 혁신활동과 지식탐색범위의 상호작용은 급진적 혁신성과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패를 부정적 견해로 바라보던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학습과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여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

  • 김선숙;안재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339-363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경험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하여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발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과 더불어,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을 두 변인 간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 매개변인을 통한 간접효과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1 패널 자료 중 자원봉사활동 참여경험이 있는 청소년 1,4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시간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살펴보았을 때는 두 변수 모두 공동체 의식과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원봉사활동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는 자원봉사활동정도나 활동경험 유무보다 자원봉사활동관련 만족도나 봉사활동 이후의 반성적 학습이 보다 중요한 자원봉사 관련 경험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청소년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키고, 이러한 개인적 특질의 변화가 다시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 함양에 미치는 직접 효과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을 통한 간접적 효과를 함께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관리 운영방안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자원봉사활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지구과학 교사의 천체 관측 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arth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

  • 엄흥진;심현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2호
    • /
    • pp.195-211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5명의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천체 관측 활동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Seidman의 3단계 면담법을 수정하여 개발한 질문지를 제공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의 분석을 거쳐 천체 관측 활동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교사들은 교원양성과정에서 수강한 관측 천문학 실습 강의를 통해 천문학과 관측에 대한 체계적인 기초 지식을 형성하였고, 교사가 된 이후에는 주로 동료 교사들의 도움을 얻어 실질적으로 천체 관측 활동을 수행하는 요령을 익혔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천체 관측 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교사들은 학생의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진로에 대한 인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고, 따라서 천체 관측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천체 관측 활동은 교사 본인에게도 매우 큰 보람과 만족감을 주는 활동이고, 지구과학 교사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관측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적/외적인 장애 요인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천체 관측 활동을 시도하거나 지속하기 위해서는 내적 장애 요인의 해결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의 연수를 통한 내용적 지원으로 자신감을 북돋아 주고, 교사 연구회와 같은 동료 집단에서 경험을 공유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공간/대인맥락과 정서경험에서의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Emotional Experience of Korean Urban Elderly in Everyday Live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한경혜;손정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159-118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표집법을 이용하여 도시노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을 활동의 공간과 대인맥락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노인들의 순간 정서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노인의 일상생활의 구성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경험은 노인이 처한 사회구조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개인의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맥락 중 하나인 젠더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 76명, 여성 72명의 도시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의 외적, 내적 경험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이 평소에 어디서, 누구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매 순간마다 어떠한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각 개인이 반복적으로 작성한 응답수를 분석의 단위로 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증, t 검증, 그리고 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일상생활의 활동 공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은 집이고, 일상의 시간을 가장 많이 공유하는 사람은 배우자였다. (2)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 정서경험 수준이 높았다. (3) 활동의 공간 및 대인맥락과 정서경험 수준 간 관련성이 젠더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주요 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정서경험의 의미와 이와 관련되는 일상의 맥락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