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ctor's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Treatment Outcomes : focusing on mediating Patient Participation)

  • 이종학;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2
    • /
    • 2013
  • 본 연구는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병원을 진료한 3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증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은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를 만족시키고 치료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 중심적인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 둘째 환자만족과 치료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료과정에 환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의사의 진료과정에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지만 진료과정에 환자를 참여시켜야 환자만족과 치료성과를 더 높일 수 있다.

  • PDF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f Doctor on Pati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rust)

  • 이종학;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8-286
    • /
    • 2013
  • 본 연구는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촉진요인, 금지요인)이 환자 참여(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는 첫째,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둘째,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환자참여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확인이며, 이를 위하여 국내 종합병원의 환자 301명을 대상으로 SPSS 19.0을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촉진요인은 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금지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의 조절효과는 촉진요인과 감정적 참여간, 촉진요인과 정보적 참여간에서 발견되었으며, 신뢰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촉진요인은 감정적 참여와 정보적 참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과 성공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이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환자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Doctors'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Treatment Outcome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tient Participation)

  • 이종학;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49-260
    • /
    • 2013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경청요인, 배려요인, 금지요인)이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과 환자만족, 치료성과 간 환자참여(행동적 참여, 감정적 참여, 정보적 참여)의 매개효과 여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C지역의 종합병원에서 진료를 한 339명의 외래환자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청요인과 배려요인은 환자만족과 치료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나 금지요인은 그렇지 않았다. 둘째, 경청요인과 배려요인은 감정적 요인과 정보적 요인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금지요인은 환자참여의 3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의사의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과 환자만족, 치료성과 간의 관계에서 환자참여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환자만족과 치료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 변화: 의사와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중심으로 (Changes in patient-centered medical services: focused on improvements on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 김용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71-110
    • /
    • 2013
  • 최근 의료계에서 환자가 의료서비스의 소극적인 객체가 아니라 주체로서 인식되면서 환자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지금까지 의사가 주도했던 의료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주권의식과 의료정보의 활성화로 점차 환자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IT의 발달로 의료정보가 대중화되면서 환자들이 환우회, 소비자운동 등을 통해 의료소비자로서 위상을 강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의사와 환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정보의 역할, 환자 커뮤니티의 소비자운동 등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의료시스템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 연결망을 형성하고 실패하는 과정을 ANT(행위자-연결망이론)를 통해 분석한다. 환자중심의 의료서비스는 IT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을 창출하며 의료정보의 비대칭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IT융합 헬스케어 시장의 확대는 의사와 환자의 전통적인 관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면서 의료서비스시장을 재편하고 있다. 환자가 주도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모델의 확산 등 환자중심 의료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 PDF

보건의료 조직의 협업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연구 - 환자교육을 중심으로 (Study on a Clinic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ystem in Healthcare Organizations -Focused on Patient Education)

  • 박화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9-90
    • /
    • 2013
  • 의료조직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오류와 지연은 의료고객의 서비스 질 하락과 의료분쟁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 협업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의사, 환자/보호자, 간호사, 실험실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뤄질 때 고효율 저비용 서비스는 물론 궁극적으로 병원의 경영성과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동기에서 중소 및 대형병원에서 이 시스템 도입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기반의 협업적 의료커뮤니케이션(Clinical Collaborative Communication)시스템의 구현방법과 모델링을 통한 구현 연구 및 시스템 평가를 위해 S병원을 대상으로 계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n Intervention Model to Help Clients to Seek Their Own Hope Experiences: The Narrative Communication Model of Hope Seeking Intervention

  • Kim, Dal Sook;Kim, Hesook Suzie;Thorne, Sally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17
  • 이 논문은 개인적으로 경험되는 독특한 희망경험을 찾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저자들이 개발한 "희망 찾기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하여 서술한다. 모델은 희망과 희망경험의 본질에 대한 문헌 및 저자들의 연구결과들과 주관적인 의미들과 경험들로서 희망 개념, 개인 특수한 희망경험에 접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야기하기 과정 및 내러티브 구성의 개념, 그리고 개인중심커뮤니케이션의 통합에 근거 개발되었다. 모델을 적용한 한 연구의 희망 찾기 경험은 모델을 한층 명확하게 하였다. 개인중심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이야기하기와 내러티브 구성을 통합하는 모델은 세 요소들-이야기하기 요소, 내러티브 중재 요소, 커뮤니케이션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화자로서의 대상자가 희망경험의 근본인 개인 특수 주제적 플롯을 가진 희망 내러티브를 생산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촉진자로서의 중재자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개인-특수 희망경험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하나의 중재로서 과정화된다. 대상자에서 이 모델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개인 희망경험 찾기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 모델의 성공은 중재자의 모델에 대한 이해와 개인중심-커뮤니케이션 전략 적용능력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의료기관에서의 환자 중심 교육 시스템 연구 (Study on Clinical Patient-oriented Education System for Medical Organizations)

  • 박화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75-486
    • /
    • 2013
  • 환자의 입원전후, 입원생활, 수술전후, 퇴원후 정보교육 및 식사 영양지도 등 의료 기관에서의 적재 적시적 환자교육 정보의 부재, 지연과 오류는 임상적 예후는 물론 의료의 질 저하와 의료분쟁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 의료선진국을 중심으로 의료의 질 관리, 상호소통 및 의료분쟁의 화두와 함께 맞춤형 환자교육 체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의료진, 원무행정 및 임상 실험실들을 중심으로 환자교육이 네트워크기반으로 활발하게 이뤄질 때 의료 질이 향상되고, 궁극적으로 병원의 경영이익창출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S병원 사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동기에서 본 논문에서는 CPES 개념의 연구를 바탕으로 웹기반 맞춤형 환자교육 시스템을 제안하고 S 병원을 대상으로 설계와 구현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S병원에서의 실증적 계량분석을 통해 ?춤형 환자 중심 교육 시스템의 도입 효율성과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유전상담 서비스 모델 분석 : 이론적 탐색 (Models of Genetic Counseling Services and Quality Assurance: A Theoretical Inquiry)

  • 전명희;구웬 앤더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24-535
    • /
    • 2011
  • 유전 위험 사정과 상담서비스가 임상실무에 널리 적용되어 감에 따라, 다양한 비용효율 면에서 다양한 상담서비스 모델을 사정하고, 대상자의 임상 요구와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떤 모델이 유용한 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14건의 현장 관찰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3가지 유전상담 모형을 분석하였다. 유전의학 전문가 모델, 유전상담사 모델, 임상연구전문가 모델을 중심으로 각 모델의 구조, 전문가의 역할 및 기능, 목표, 물리적 세팅, 교육도구 등을 분석하였다. 각 모형 안에서 환자에게 기대되는 결과 면에서 질적 서비스가 보장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 모형의 상담 전, 중, 후 환자 만족, 지식 변화, 상담 효과 및 커뮤니케이션 효과 등을 분석하였지만, 결론적으로 상담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의 구조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상의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기 어려울 것임을 논의하였다.

환자만족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환자 - 의사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Healthcare Utilization)

  • 윤혜정;유명순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56
    • /
    • 2019
  • Purpose: Importance of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to patient-centeredness has been emphasized, and it is known to have effect on various health outcomes including health resource utilization. However, the effect of patient satisfaction has been discussed mostly in terms of hospital marketing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atient satisfaction in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on healthcare utilization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adult population of South Korea. Method: Patient satisfaction with physician communication is assessed using 4 items in the 2011 Korea Health Panel Survey.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using 9,325 adults' healthcare utilization in 2012. Findings: Adjusting for the socio-demographic, economic factors, individual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care utilization in 2011, more satisfied individuals, more likely to utilize the outpatient service, especially in clinical setting.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s that in context of South Korea healthcare system such as insufficient medical consultation time and the absence of health delivery system, patient satisfaction as a subjective healthcare quality indicator would have effect on the individual's outpatient visit. This study contributes to stimulate patient satisfaction research and discussion in South Korea to further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potential and various health related outcomes. Further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치매 노인환자와 간호사의 대화 분석: 대화의 구조와 연속체 형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nversation betwee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nd Nurses: Focusing on Structure and Sequential Patterns)

  • 이명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6-17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unctional structure and patterns of dialogue sequence in conversations betwee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nd nurse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Methods: Conversa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hich were collected using video-camera to capture non-verbal as well as verbal behaviors.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February 2005. Results: Introduction, assessment, intervention, and closing phases were identified as functional structure. Essential parts of the conversation were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hases. In the assessment phase three sequential patterns of nurse-initiated dialogue and four sequential patterns of patient-initiated dialogue were identified. Also four sequential patterns were identified in nurse-initiated and three in patient-initiated dialogues in the intervention phase. In general, "ask question", "advise", and "directiv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utterance by nurses in nurse-initiated dialogue, indicating nurses' domination of the conversation. At the same time, "ask back", "refute", "escape", or "false promise" were used often by nurses to discourage patients from talking when patients were raising questions or demanding.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nurses to encourage patient-initiated dialogue to counterbalance nurse-dominated conversation which results from imbalance between nurses and patients in terms of knowledge and task in healthcare institutions for el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