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확산거리

Search Result 5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코로나19시대 면역력이 '최대무기' - 팔방미인 오리고기에 주목하라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207
    • /
    • pp.10-15
    • /
    • 2020
  • 지난 8월 15일 광화문집회로 촉발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무서운 기세로 전국을 뒤덮었다. 서울과 경기일부의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격상하면서 사실상 3단계에 돌입했다. 전국을 뒤덮은 코로나19 재확산의 공포로 북적이던 거리는 텅 비었고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일상을 찾아가고 있던 시민들은 다시 집으로 숨었다. 코로나19 상황속에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언택트'와 '면역력'. 누구나, 어디서든, 피해갈 수 없는 코로나19시대에는 스스로가 가진 면역력이 최강의 무기가 되기 때문이다. 이제 면역력을 강화하는 식품이 주목받는 시대가 됐다. 그리고 면역력과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오리고기가 떠오르고 있다. 코로나시대, 우리가 주목해야 할 오리고기의 면역력과 건강 기능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Enhanced Diffusion i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Using Pulsating Flow (연료전지 내에서의 왕복유동을 이용한 확산증대 효과에 대한 연구)

  • Hwang, Yong-Sheen;Choi, Jong-Won;Lee, Dae-Young;Kim, Min-Soo;Lee, Dea-Heung;Kim, Seo-Young;Cho, Sung-Ho;Cha, Suk-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2
    • /
    • pp.185-189
    • /
    • 2010
  • This study considered the feasibility of controlling the air concentration by oscillating flow in fuel cell channels. The fuel cell stack performance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air concentration. If the air concentration is lower than 2.5 times the stoichiometric of the inlet air, the fuel cell stack performance seriously deteriorates because of air starvation. In this respect, optimizing the air concentration is crucially important to maximizing the fuel cell stack performance. In this work, the effects of oscillating actuation were studied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two non-dimensional key parameters related to the frequency and oscillating amplitude. This paper presents how those parameters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tack.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Mixing Length at the Confluence using Discharge Ratio (하천 합류부 유량비를 활용한 혼합거리 분석 방법 개발)

  • Son, Geunsoo;Lee, Kyungsu;Kim, Dongsu;Lyu, Siwa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8-228
    • /
    • 2021
  • 하천의 합류부는 서로 다른 지형학적 특성과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하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구간으로 하천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간 중 하나이다. 이러한 합류부 구간의 혼합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류에 유입에 따른 본류의 혼합이 발생하는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에 많은 연구들은 실측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송-확산방정식을 활용한 수치 모의를 통해서 다양한 조건에 대한 혼합거리를 분석하였고, 최근에는 첨단 센싱 장비들을 활용하여 간헐적으로 측정된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측정시기에 대한 혼합거리에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무적으로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혼합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제 혼합이 발생하는 혼합거리에 대해 시계열적인 변화를 통해 연중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유황에 따른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에 따른 혼합거리와의 관계식을 개발하여 유량비에 따른 혼합거리를 분석하여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황강과 낙동강의 합류부로 본류와 지류 관측소에서 측정된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10분 단위로 측정된 유량비를 산정하였고, 측정시기별로 수행된 합류부 혼합거리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관계식을 통한 조견표의 만들어 측정시기의 유량비에 따른 혼합거리에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수행된 결과를 바탕으로 유황에 따른 혼합거리를 분석하였고, 최대 혼합이 발생하는 거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연중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Liquid Nitrogen Pool Spreading with Continuous Spill (연속적으로 누출되는 액체질소 풀의 확산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Jaewhan;Kim, Myungbae;Choi, Byungil;Kim, Taeho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3
    • /
    • pp.174-180
    • /
    • 2014
  • Experimental study of liquid nitrogen pool spread is carried out when it is continuously released. The liquid nitrogen spreads over a cement mortar plate with continuous release. Evaporation rate per unit area of the liquid nitrogen is measured using a digital balance, and a spreading distance of the liquid pool is measured by thermocouples. It is discovered that the evaporation rate per unit area of liquid nitrogen tends to decrease as the liquid pool spreads.

Pollutant Dispersion Mechanism near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es from Youngsan River Seadike (영산강 하구언 방류에 의한 목포항 주변해역의 오염확산양상)

  • An, Soon-Sub;Kang, Ju-Whan;Park, Se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25-212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하구언 배수갑문의 개방으로 대량의 담수가 방류될 경우 목포항 인근해역의 해수유동 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부유물질/염분 농도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방류조건과 확산성분별로 12가지의 계산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MIKE21의 해수유동(HD)모듈과 오염 확산(AD)모듈을 이용하여 하구언 방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해수유동 모의결과, 배수갑문과의 거리에 따라 방류조건별로 수위와 유속이 최대 144.5cm, 175.6cm/sec까지 상승하였다. 특히 청계만 수역에서는 방류시기에 낙조시 유속이 최대 68.8cm/sec까지 감소해 방류에 따른 수위상승으로 낙조시 해수유출이 지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유물질 확산모의 결과, 목포 기준검조소를 기준으로 목포항 내부수역은 원활한 해수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오염원 유입시 외해로 쉽게 확산되거나 희석되지 못하고 계속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내 오염이 심각하게 우려되며, 특히 연속적인 담수 방류와 방류량의 크기가 내부수역의 부유물질 농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방류량이 작고 연속 방류가 행해지지 않는 비우기시의 오염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방류조건별 염분농도 역시 방류량이 크고, 연속적인 담수 방류가 행해질 경우 농도가도 크게 감소하며 확산면적도 증가하였다.

  • PDF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Based on Primary Color Selection Considering Lightness (휘도를 고려한 기준색 선택 기반의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

  • 박태용;조양호;이명영;하영호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5
    • /
    • pp.77-85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using 64 primary colors to improve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Vector error diffusion method causes color impulse artifact in bright region because we only use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 in quantiz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this artifact, the proposed method divides input color into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according to chroma value. In the case of chromatic color, input color is classified into bright region, middle bright region, and dark region according to lightness value. N candidate primary color is organized using lightness difference between input vector and 60 chromatic primary color vector in the case of bright region. Then, primary color with minimum vector norm between input vector and N candidate primary color in addition to 4 achromatic primary colors is selected as output color.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showed visually pleasing halftone output.

Fractals in the Spreading of Drifters: Observation and Simulation (표류부표 분산의 프랙탈 성질: 관측 및 시뮬레이션)

  • KANG, YONG Q.;LEE, MOONJIN
    • 한국해양학회지
    • /
    • v.29 no.4
    • /
    • pp.392-401
    • /
    • 1994
  • We examined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oceanic eddy diffusion at 5 coastal regions of Korea by measuring the separation distances of multiple drifters releas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by the GPS and Decca transponder system. The observed variance of separation distance, for the time scales from minutes to hours, is proportional to t/SUP m/ with scaling exponent m between 1.2 and 2.0. The observed Lagrangian trajectories of drifters show fractal characteristics instead of random walk or Brown motion. As an effort toward a development of a realistic model of the oceanic eddy diffusion, we simulated the Lagrangian trajectories of drifters by fractional Brown motion (FBM) model. The observed variances of drifter separations can be generated by the FBM process provided the Hurst exponent is the same as the observed one. We further showed that the observed power law in the variance of drifter separations cannot be simulated with an ordinary Brown motion or random walk process.

  • PDF

Fir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Distance from a Fire Source (자동확산소화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성능평가연구)

  • Kwark, Ji-Hyun;Kim, Dong-Suk;Ku, Jae-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5
    • /
    • pp.38-43
    • /
    • 2013
  •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usually installed in a closed area like a boiler room, a laundry store or a restaurant's kitchen room is one of the fire protection equipments. This extinguisher automatically discharges dry powder, extinguishing fire. As this extinguisher has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applicable to the nominal protection area, objects outside the area cannot be properly extinguished. However only its number is being requested according to the floor area in the related laws, and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depends on the distance from a fire source.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the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from a fire source. It appeared that the maximum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was about 30 cm for both class A and B fire to be certainly extinguished.

Diffused Quantity Prediction Model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Gel Food in the Mass Transfer Process (겔 식품의 물질전달공정 중 확산량 예측모델 및 확산계수)

  • Lee, Won-Young;Choi, Yong-He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2
    • /
    • pp.217-223
    • /
    • 1991
  • A capillary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mass transfer process and diffusion coefficients in the gel food. Amaranth dye was selected as a diffusant material to visualize the degree of diffusion procedure easily. After contacting cylinder containing agar gel with amaramth dye solution for some hours, the gel was cut to five segments by 0.5 cm in length. The diffusant concentration from the segments were measured by the spectrophotometer at 523 nm. Prediction models for the diffused quantities in gel food were established by the regression program of SPSS package program. Generally, diffusion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by Fick's second law, however, it will be determined by using numerical analysis method more easily. Finally the diffusion coefficients in this research were calculated by arithmetic mean of the measured values. As raising gel agent concentration, the mean diffusion coefficient tended to decrease because the obstruction effect came to become significant.

  • PDF

The Study of the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in the Local Autonomous Entity using RS and GIS (RS와 GIS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 산불방재통합시스템에 관한 연구)

  • 변종봉;경천구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56-61
    • /
    • 2001
  • 현재 산림청에서는 NGIS와 연계한 국가차원의 산림지리정보시스템(FGIS)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며, 행정자치부에서는 정보화촉진기본법에 따라 국가적 행정종합정보화 차원에서 제안된 2단계 소방/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범국가적인 사업과 연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규모의 산림행정체계 규모의 산림행정체계에 적합하고, 국지적 기상조건 및 확산요인을 고려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일선 실무자의 행정생산성 향상차원에서 실제 활용될 수 있는 개별시스템으로 구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산림담당자가 산불의 사전예방 및 홍보활동을 위한 산불 다발지역을 분석하고, 광범위한 산림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산불감시카메라 의 위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산불 발생시 국지적 확산요인을 고려한 실시간 산불확산 형태 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평상시 소방시설물을 관리하고 산불발 생시 신속한 진압을 위한 각종정보(예 : 최단이동거리분석)를 제공하며, 산불감지 시점으로 부터 상황종료 시까지의 종합사고보고를 위하여 위성영상과의 비교분석 등 사후관리까지의 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