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학적 암예방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Analysis of BMD Changes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re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전.후 골밀도 변화 분석)

  • Kim, Su-Jin;Son, Soon-Yong;Choi, Kwan-Woo;Lee, Joo-Ah;Min, Jung-Whan;Kim, Hyun-Soo;Ma, Sang-Chull;Lee, Jong-Seok;Yoo, Beong-Gyu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4
    • /
    • pp.279-28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comparing BMD(bone mineral density) value of pre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 and post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 due to bone loss with radiation/chemical therap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54 breast cancer patients with BMD after having surgery and treatment from March 2007 to September 2013. Except for 84 patients with menopause or hysterectomy and we have analysed 171 patients. The BMD value(lumbar spine and femur) of before and after treatment from PACS by dure-energy X-ray absorptiometry was analyzed. First, we found variation of entire BMD and BMD according to treatment type, and analyzed detailed correlation by using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presence of feeding, age of menarche, breast cancer therapy types as variabl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for Windows Program(version 18.0). BMD was decreased 7.1% in lumbar spine, 3.1% in femur respectively(p<.01). Also there is relatively high decrement($0.067g/cm^2$) in group who had just chemotherapy in femur(p<.05). There is decrement depend on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presence of feeding, age of menarche, breast cancer therapy typ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show that BMD was decreased after treatment in pre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 patient who had relatively high decrement need to be included high-risk group. As a result, aggressive prevention policy would be necessary.

The Anticarcinogenic Effect of Garlic Juice against DMBA Induced Carcinoma on the Hamster Buccal Pouch (마늘이 햄스터 협낭에서 DMBA발암성에 미치는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병리 조직학적 관찰을 중심으로-)

  • 김은실;전희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2 no.4
    • /
    • pp.398-404
    • /
    • 1993
  • In order to examine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garlic juice on the hamster buccal pouch carcinogenesis induced by 9, 10-dimethyl-1, 2-benzanthracene (DMBA) totally 135 hamster.0.5% DMBA in mineral oil were painted onto the hamster buccal pouch three times a week on 50th, 70th and 90th day, while normal saline, 1% and 3% garlic juice were forced to oral tube feeding. Tumor cell induction could be seen on 50th experimental day, presumed to early carcinogenic inductive stage. And the tumor cells proliferated rapidly thereafter, so 70th and 90th experimental day were chosen for the comparison of anticarcinogenic effect of garlic juice. The every specimens were fixed in 10% buffered formalin for routine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and also fixed in Carnoy's solution for the BrdU immunohistochemital detection of S-stage tumor cell distribution during the carcinogenesis. There showed more or less increased anticarcinogenic effect of garlic juice against DMBA induced hamster buccal pouch carcinoma, increased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showing invasive tumor growth after all histopathologically, BrdU immunoreactivity on normal pouch mucosa epithelium, representing the mitotic status, more decreased in the garlic juice feeding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Meanwhile the neoplastic epithelium of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much increased BrdU immunostaining irregularly.

  • PDF

Dioxins and Health: Human Exposure Level and Epidemiologic Evidences of Health Effects (다이옥신과 건강: 인체 노출 수준 및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적 연구)

  • Jang, Jae-Yeon;Kwon, Ho-Ja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36 no.4
    • /
    • pp.303-313
    • /
    • 2003
  • General information is summarized, tha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ientific assessment of the human health and exposure issue concerning dioxin and dioxin-like compound. Scientific literatures were reviewed to assess the background exposures to the dioxin-like compounds for normal residents. Epidemiologic studies were also reviewed to assess malignant and nonmalignant sweets of dioxins. In 1997,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classified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s a human carcinogen, primarily based on occupational cohort studies.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ade the same decision in it's Draft Dioxin Reassessment. Epidemiologic evidences point to a generalized excess of all cancers, without any pronounced excess at specific sites. Reported non-cancer effects included a range of conditions affecting most systems. Among them, chloracne, elevation in gamma glutamyl transferase(GGT), and alterations in reproductive hormones are related to TCDO, Other adverse outcomes, such as lipid concentrations, diabetes, circulatory and heart diseases, immunologic disorders, neurobehavioral effects, and developmental outcomes require further study before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s to TCDD can be more definitively assessed.

Analysi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Sulindac Sulfide in Human Colorectal Cells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 sulindac sulfide 처리에 의해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군의 분석)

  • Shin, Seung-Hwa;Kim, Jong-Si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7 s.87
    • /
    • pp.996-1001
    • /
    • 2007
  • To investigate whether sulindac, sulindac sulfone, and sulindac sulfide could affect cancer cell viabilities, human colorectal HCTl16 cells were treated with 10 ${\mu}M$ of each NSAID. Among treated NSAms, sulindac sulfide dramatical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ies detected by MTS and the cytotoxic effect showed dose-dependent manner.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cell death in response to sulindac sulfide treatment, we performed oligo DNA microarray analysis. We found that 23 genes were up-regulated more than 2 folds, whereas 33 genes were down-regulated more than 2 folds by treatment of 10 ${\mu}M$ sulindac sulfide. Among the up-regulated genes, we selected 3 genes (NAG-1, DDIT3, PCK2) and performed RT-PCR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to cofirm microarray data. The results of RT-PCR and real-time PCR were highly accorded with those of microarray experiment. As NAG-1 is well-known gene as tumor suppressor, we detected changes of NAG-1 expression by 10 ${\mu}M$ of sulindac, sulindac sulfone, and sulindac sulfide. The results of RT-PCR and quantitacve real-time PCR indicated that sulindac sulfide was the strongest inducer of NAG-1 among treated NSAIDS. This result implies that induction of NAG-1 by sulindac sulfide plays important role in cell death of colorectal cancer. Overall, we speculate that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cancer chemoprevention by sulindac sulfide in human colorectal cancer.

CHEMOPREVENTION OF COLON CANCER BY THE KOREAN FOOD STUFFS COMPONENTS

  • Kim, Dae-Joong;Shin, Dong-Hwan;Ahn, Byeong-Woo;Jang, Dong-Deuk;Hiroyuki Tsuda;Shoji Fukushim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xicology Conference
    • /
    • 2002.05b
    • /
    • pp.106.2-132
    • /
    • 2002
  • 형질전환 (유전자 결핍; Knockout) Min 마우스를 이용하여 대장암 발생에서 배추, 양배추 주성분인 indole-3-carbinol (I3C)의 대장암 예방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C57BL/6J-Apc$^{min/+}$(Min 마우스)계의 5내지 6주령의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 70마리와 C57BL/6J계의 동일 산자, 동일 주령의 수컷 wildtype 비형질전환 마우스 10kfl를 The Jackson Laboratory 사 (Bar harber, ME, USA)로부터 직접 구입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Min)마우스 70마리를 각 군 20내지 25마리씩 세군으로 나누었다. Group 1에는 20마리, Group 2에는 25마리, Group 3에는 25마리를 배치하고, I3C 투여 실험군 (Group 1과 2)에는 실험시작시에 AIN-76A 분말사료에 I3C가 각각 100 및 300ppm이 함유되도록 조제하여 공급하였다. 그리고 실험군(Group 3)에는 실험시작부터 종료시까지 AIN-76A 정제고형사료(Teklad사, WI, USA)를 자유로이 급이하였다. 각군간의 체중, 사료 및 음수소비량을 매 2주마다 측정하였고, 10주간 (16주령)의 실험종료시에는 최종체중과 간장, 신장, 비장 등의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상대장기 무게비를 산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C57BL/6J계의 동일 산자, 동일 주령의 수컷 wildtype 비형질전환 마우스 10마리는 같은 조건의 사육실에서 AIN-76A 정제고형사료를 33주간 자유로이 급이하였다. 실험동물은 부검전에 하룻밤 동안 절식하고 이산화탄소 흡입 마취하에서 흉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하고 각 장기(심장, 폐, 위)를 적출하여 생리심염수에 넣어 장기무게를 측정하고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소장과 대장의 검사를 위하여 위의 식도부위와 직장을 실로 결찰하여 적출하고 생리심염수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십이지장, 공장, 및 회장, 그리고 대장으로 나누어 여과지에 펼친 후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소장과 대장은 육안 및 자동 영상분석길ㄹ 이용한 분석이 끝난 후에 각 부위별로 4-6개의 절편을 작제하여 포르말린에 재고정하고, 통상적인 조직처리과정, 파리핀 포매 및 3-4$\mu$m 두께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H&E 염색을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약 1주일간의 포르말린 고정이 끝난 소장 및 대장을 부위별, 별 종양개수 및 분포를 자동영상분석기(Kontron Co. Ltd., Germany)로 분석하였다. 체의 변화, 장기무게, 사료소비량 및 마리당 종양의 개수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Duncan's t-test로 통계처리 하였고, 종양 발생빈도에 대하여는 Likelihood ration Chi-square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대장선종의 발생률은 84%(Group 3; 21/25례)로써 I3C 100ppm 및 300ppm을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는 각군 모두 60%(Group 1; 12/20 례, Group 2; 15/25 례)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선종의 마리당 발생개수에 있어서는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0.24(100%)에 비하여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0.85$\pm$0.23; 61%, P<0.01), 그리고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 1.32$\pm$0.29 ; 94%)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선종의 크기별 종양의 발생개수의 분포에 있어서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에 있어서는 선종의 크기가 3mm이하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부위별 소장선종의 발생수는 십이지장부위를 제외하고 각 군에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십이지장 종양의 발생개수에서만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 3.11$\pm$0.85)이 대조군 (Group 3: 1.48$\pm$0.35) 및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1.56$\pm$0.47)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0.05). 따라서 I3C은 소장에서는 암예방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나, 대장에 대한 암에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장 및 대장을 제외한 간장, 신장, 비장, 심장, 폐 그리고 위 등의 기타 장기에서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소장 및 대장의 종양은 선종(polyps)으로 관찰되었다. 지난 10여년간 형질전환 및 유전자 결핍 실험동물의 종류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이용되고 있다. 가족성 대장 선종성 용종증(FAP)의 대표적인 모델로 이용되고 있는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를 사용하여 배추나 양배추의 주요성분인 Indole-3-carbinol(I3C)의 대장암 예방효과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본 결과 AIN-76A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대장선종의 발생률 84%에 비하여 I3C 100 및 300ppm을 투여한 실험군에 있어서 각군 모두 60%로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장선종의 마리당 발생개수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1.40$\pm$1.041를 100%로 환산하였을 경우 I3C 저농도 및 고농도 투여 실험군에서는 각각 약 61%와 94%를 나타내여 감소하였다. 특히 대장선종의 크기별 분포에 있어서 선종의 크기가 3mm이하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저농도 I3C의 투여는 실험적 유전성 가족성 대장 선종성 용종증 모델에 있어서 어느정도 암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장 선종의 발생에는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험에 사용된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는 실험개시 시점이 7내지 8주령이 경과하여 이미 태생기부터 소장 및 대장의 선종 발생이 진행되어 온 것을 감안하고 특히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소염제(NSAIDS)와 같은 강력한 COX-2억제제가 아님을 고려하면, 상당한 선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제까지 배추나 양배추 성분의 복합성분들에 대한 실험적 대장암 모델에서의 촉진효과 등에 대한 보고들이 있어 온 점을 고려할 때 위암(Kim 등, 1994) 간암(Kim 등, 1994), 유방암(Grubbs, 등, 1995; Bradlow 등, 1995)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러한 종양조직내에서의 COX-2 및 iNOS mRNA와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분자병리학적으로 연구중에 있으며, 향후 십자화과식물 성분인 indole-3-carbinol이 마우스뿐 만 아니라 랫드의 화학발암물질에 의한 대장종양에 대한 억제효과 있는지 연구 필요가 있다. Min 마우스와 같은 형질 전환(유전자결핍;knockout) 실험동물을 이용한 새로운 중기 발암성 시험범의 확립을 통한 각종 환경 유해물질의 발암성 유무 및 COX-2 억제작용이 있는 식품인자의 암예방 후보물질을 체계적으로 검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Inhibition of Proliferation by Anti-microbial Peptide Isolated from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spp. i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SW 480 and Caco-2) (Pediococcus pentosaceus 및 Lactobacillus spp. 종의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 항균 peptide들(Safelac and Lactopad)이 인간 결장암 세포주(HT-29, SW 480 and Caco-2)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효과)

  • Park, So-Hee;Kim, Yun-A;Chung, Myung-Jun;Kang, Byung-Yong;Ha, Nam-Jo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2 no.1 s.56
    • /
    • pp.65-71
    • /
    • 2007
  •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과 같은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면역 증강효과를 나타내는 등 인체내에서 건강에 이로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Pediococcus pentosaseus와 몇몇 Lactobacillus 종으로부터 분리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ptide들인 safelac과 lactopad는 몇몇 암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T-29, SW 480 및 Caco-2와 같은 3종류의 인간의 결장암 세포주에 safelac과 lactopad를 투여하여 이들이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XTT assay는 safelaf과 lactopad가 HT-29, SW 480 및 Caco-2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들 peptide들을 72시간동안 처리했을 때 나타나는 항암효과는 $3.1{\sim}100mg/mL$의 농도범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분석한 농도 범위에서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주는 cytokine인 tumor-necrosis factor(TNF-${\alpha}$)의 생성에 미치는 이들 peptide들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대식세포의 모델로써 이용되었다. RAW 264.7 세포주에서 TNF-${\alpha}$의 생성은 이들 peptide들에 의해 48시간 배양시 용량에 의존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발견은 safelac과 lactopad와 같은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 항균 peptide들이 결장암 세포에 대한 화학적 예방제로서의 잠재성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주목된다.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s of Various Sprouts Cultiv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광 유무에 따른 다양한 새싹 채소의 생육 및 생리활성 화합물의 함량)

  • Lee, Jin-Hui;Oh, Myung-Mi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0 no.3
    • /
    • pp.218-229
    • /
    • 2021
  • Recently, as consumers' interest and importance in health care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y prefer natural and organic foods that do not use chemical pesticides. Since sprout vegetables effectively promote health and prevent diseases such as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consumption of sprout vegetables, a highly functional and safe food, has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on the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s of seven different sprout vegetables. After sowing the seeds of various sprout vegetables (kale, Chinese kale, broccoli, red cabbage, alfalfa, red radish, and radish), the sprouts were cultivated under light conditions (20℃, RGB 6:1:3, 130 μmol·m-2·s-1, 12 hours photoperiod) and dark condition for 7 days. Sprouts samples were taken at 1-day intervals from 4 to 7 days after treatment. The fresh weight, dry weight, plant heigh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measured. Brassica species (kale, Chinese kale, broccoli, red cabbage) and Medicago species (alfalfa) had significantly higher fresh weight values under dark conditions, while the content of bioactive compounds was increased considerably under light conditions. In contrast, the fresh weight of Raphanus genus (red radish, radish)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the light condition, but the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higher under the dark state.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growth and secondary metabolites in various sprout vegetables.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light and dark conditions on different sprout vegetables' growth and nutritional valu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rvest time in producing high-quality sprout vegetables.

Effect of Plant Extract [FGF271] on Estrogen Replacement (식물유래 추출물(FGF271)의 여성호르몬 대체 효과)

  • 김재수;박준홍;조한성;박점석;홍억기
    • KSBB Journal
    • /
    • v.17 no.4
    • /
    • pp.409-415
    • /
    • 2002
  • A certain group of phytochemicals such as isoflavone have been proven to act as a phytoestrogen. After thorough the study of different bibliographic herbs excluding soybeans, dates, pomegranates, and other publicized plants, three different edible herbs by Korean Food Regulation were extracted for the animal study on the effect of estrogen replacement. The herbal extract(FGF271) has been orally administered into 51 weeks old partial ovariectomized rats for 5 weeks with the different dosages of 100 and 1,000 mg/kg,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1) serum estrogen level was increased in both 100 and 1,000 mg/kg group, 2) the distension of uterus was made dose dependent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1,000 mg/kg group (p.0.05) from control in the gross findings, 3) the weight of uterus was increased in 1,000 mg/kg group, and 4) the action on reproductive tissues was clear in the microscopic findings in terms of hyperplasia of endometrial epithelial cell, cystic change of submucosa, dilatation of uteru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00 kg/mg), and follicular cystic changes in ovary. As a result, FGF271 seemed to act as a phytoestrogen by inducing the change in ovary and uterus and by increasing the serum estrogen concentration.

Effect of the Mechanochemical Pretreatment on Antioxidant Material Extraction from Pu'er Tea Leaf (Camellia sinensis var. assalnlca) (보이차잎 항산화 물질추출에 메카노케미스트리 전처리 효과분석)

  • Park, Keum-Joo;Song, Won-Seob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13-13
    • /
    • 2011
  • 보이차의 주요산지는 중국 운남성이며 특히 란창강 유역이 그 중심지이다. 천연 사포닌과 미네랄류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지방의 용해, 다이어트 효과, 소화 촉진, 정장 작용, 숙취 해소, 위가 더부룩할 증상 개선, 혈당치 상승 억제, 혈액 순환 촉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면역력 강화 효과와 노화예방, 암 예방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이차의 기능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 용매에 의하여 추출한다. 용매에 의하여 추출하기 전에 메카노케미스트리 분쇄기술을 적용하여 전처리하면 재료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부분적으로 화학적 성분을 변화시켜 기능성 물질의 추출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분쇄기술을 적용하여 보이차를 전처리한 다음 메탄올과 에탄올 용매에 의하여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메카노케미스트리 전처리가 항산화 물질의 추출효율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보이차는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 전에 유성밀에 의하여 분쇄되었으며 분쇄 후의 형상을 SEM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아질산성질소 소거능은 pH 1.2에서 메탄올 용매추출을 했을 때 전처리하지 않는 경우 63.0-83.0%로부터 메카노케미스트리 분쇄기술을 적용한 전처리를 한 경우에 74.0-92.0%로 증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DPPH(1,1-diphenyl-2-pycrylhydrazyl)를 이용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용매추출의 경우에 13.12-49.29%로부터 메카노케미스트리 전처리 후에 15.12-64.29%로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50% 소거능을 나타내는 $IC_{50}$은 전처리하지 않는 경우 164 ug/mL로부터 전처리한 경우에 151ug/mL로 감소하였다.

  • PDF

Large scale enzymatic production of chitooligosaccharide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키토산올리고당의 효소적 대량생산 및 생리활성)

  • Kim, Se-Kwon;Shin, Kyung-Hoon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53 no.1
    • /
    • pp.2-32
    • /
    • 2020
  • In recent years, significant importance has been given to chitooligosaccharides (COS) due to its potent notable biological applications. COS can be derived from chitosan which is commonly produced by partially hydrolyzed products from crustacean shells. In order to produce COS,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including chemical and enzymatic methods which are the two most common choices. In this regard, several new methods were intended to be promoted which use the enzymatic hydrolysis with a lower cost and desired properties. Hence, the dual reactor system has gained more attention than other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Enzymatic hydrolysis derived COS possesses important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oxidant, anti-hypersentive, anti-dementia (Altzheimer's disease), anti-diabeties, anti-allergy, anti-inflammatory, etc.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properties of COS can be potential materials for nutraceutical, pharmaceutical, and cosmeceutical product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