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현상

검색결과 1,389건 처리시간 0.028초

성층기 저수지 수체 인공순환 모사 (Fluid Flow CFD Simulation in Lake during Summer Stratification)

  • 이요상;반양진;손병용;김영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952-956
    • /
    • 2010
  • 저수지에 설치된 물순환장치는 저수지 수문상황과 자연조건의 변화에 따라 유동특성이 상이하므로 연구자가 고려하는 다양한 조건에서 현장 측정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런 문제를 대체하는 방안으로 전산유체유동(CFD) 모형을 적용한 모사를 실시함으로서 다양한 조건에 따른 효과를 평가할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유동을 통한 대류식 물순환장치의 유동영향범위와 수질변화 등을 평가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모사를 실시하여 최적운영방안을 도출하고 실제운영에 활용토록 하고자 한다. 수체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실제 저수지를 형상화한 Domain을 3가지로 구성하였다. 첫번째는 반경 20m, 깊이 40m Domain에 물순환장치를 중앙에 설치한 것이며(D20), 두 번째는 반경 40m, 깊이 40m에 두 개의 물순환장치를 양쪽에 설치하였고(D40), 세 번째는 반경 100m, 깊이 40m로 설정(D100)하였고 양쪽에 두 개의 물순환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하였다. CFD에 의한 개별 대류식 순환장치의 유동모사결과 D20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온성층이 하강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판단할때 40m 간격으로 대류식 순환장치를 설치하여 운영하면 탈성층이 나타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되었다. D40에 대하여 CFD에 의한 유동모사를 실시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온성층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판단할때 40m 간격으로 한줄로 대류식 순환장치를 설치하여 운영하면 성층을 깨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Dye테스트시 심층에서 상승한 수체는 수온성층 표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계속 퍼져 나가면서 옆장치에서 상승된 수체와 혼합이 활발히 이루어 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장치간 거리가 100m인 대류식 물순환장치에 의한 유동모사시 수온성층의 변화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Dye테스트시 심층에서 상승한 수체는 수온성층 위에서 수평방향으로 퍼져 나가면서 옆에서 가동되는 장치에서 상승된 수체와 혼합 현상을 나타내기는 하나 D40보다 혼합시간이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UR과 CGF를 재활용한 혼합배지에서 분국화 'Pink Pixie Time'의 생육 (Growth and Development of Pot Chrysanthemum 'Pink Pixie Time' in Various Mixtures of Shattered PUR and CGF)

  • 정병룡;신우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9-34
    • /
    • 2002
  • 파쇄된 산업용 polyurethane(PUR) 입자와 cellular glass foam(CGF)을 다른 배지재료와 혼합하여 분국화 재배용 배지로 재활용 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PUR, CGF, 피트모스, 코이어, 그리고 펄라이트를 여러 가지 부피비로 혼합하여 태운 직경 loom화분에 분국화 'Pink Pixie Time' 재배하였다. PUR은 약8mm로, 그리고 CGF는 약 4mm크기로 파쇄된 것을 사용하였다. 재배전 배지의 pH와 EC를 조사하고, 삽수 정식후 34일과 97일에 생육조사를 하였다. pH는 5.0에서 6.3사이로 안정적이었지만 코이어가 혼합된 처리에서 다소 높았고 EC도 코이어가 혼합된 처리에서 높았다. 펄라이트와 CGF단용에서 다른 배지에 비해 용기용수량이 낮았지만 피스모스와 코이어 혼합배지에서는 그 값이 보완되어 다른 배지와 유사한 용기 용수량을 나타내었다. 정식후 34일에 조사된 초장은 CGF가 혼합된 처리에서 컸고, 엽수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PUR이 혼합된 처리는 다른 처리에 비교해 생육이 다소 저조하였고, 잎끝이 마르는 장해현상도 보였다. 정식후 97일에 조사한 분국화의 생육도 34일에 조사한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피트모스와 CGF의 혼합처리와 코이어와 CGF의 혼합 처리에서의 분국화의 생육은 펄라이트를 피트모스나 코이어와 혼합한 처리에서의 분국화의 생육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거나 오히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을 혼합한 처리에서의 분국화의 생육은 다른 처리에서의 생육보다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PUR의 혼합비율에 비례하여 잎끝이 마르는 장해현상이 심해졌다. 엽록소 농도와 뿌리의 생체중은 모든 처리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피동충수용 혼합형 안전주입탱크의 압력평형에 관한 이론적 해석 및 시험적 연구 (Study on the Pressure Balance of the Hybrid Safety Injection Tank)

  • 류성욱;유효봉;변선준;전우진;박현식;이성재
    • 에너지공학
    • /
    • 제25권1호
    • /
    • pp.185-191
    • /
    • 2016
  • 피동충수용 혼합형 안전주입탱크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안한 원자력 피동안전계통의 한 종류로, 안전주입탱크의 상부와 가압기를 연결하여 모든 운전압력 조건에서 냉각수 주입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동충수용 혼합형 안전주입탱크, 가압기와 원자력압력용기에 대한 압력 네트워크를 통해 피동충수용 혼합형 안전주입탱크와 가압기의 압력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으며, 개별효과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안전주입탱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열수력 현상(증기응축 및 열혼합 현상)들을 파악하였다.

GC/MS를 이용한 선박연료유에 대한 초음파조사 효과 분석 (Effect of Ultrasonic Irradiation on On-board Fuel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최정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0-897
    • /
    • 2021
  • 최근 선박용 연료유에 대한 황 함유량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저유황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저유황유를 공급하는 시기, 지역, 회사 별로 그 품질이 상이함에 따라 선내 연료유 저장탱크에서는 과도한 슬러지가 발생하는 등 혼합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음파의 캐비테이션 현상을 이용하여 저유황유의 품질 향상을 하고자 하였다. 선내 저장 탱크에서 이종의 연료유가 혼합되는 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두 가지 종류의 저유황유(황 함유량 0.5 % 이하 MGO, MDO)를 혼합하여 시료유로 사용하였다. 원료유와 50 wt.% 씩 혼합한 시료유를 12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으며, 40분 주기로 채취된 샘플은 GC/MS 분석을 수행하여 초음파 조사 시간에 따른 시료유의 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음파의 캐비테이션 효과로 인하여 화학결합이 깨지면서 MGO 내 존재하는 고분자량 화합물의 감소와 저분자량의 화합물 증가가 관찰되었다. MDO와 혼합유의 경우, 초음파 조사 후 저분자 화합물에 대한 상대 존재비의 부분적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시간과 상대 존재비 사이의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노치 위어에서 오염물질 저장대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torage Effect of Pollutant Transport at Notch Installed Weir)

  • 서일원;정성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53
    • /
    • 2020
  • 오염물질 유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안전한 수자원의 관리 및 공급을 위해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혼합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다양하지만, 수리구조물 등에 의해 발생한 저흐름 영역에 의해 오염물질이 정체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하천에는 약 33,000여 개가 넘는 취수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보들은 대부분 광정보 형태의 농업용수 취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보에는 저유량 시기에 보 상하류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노치(notch) 형태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치로 인하여 보 상류쪽에 연직방향 뿐만 아닌 수평방향 흐름장의 변화 및 저흐름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치가 설치된 보 구조물 주변에서의 수평 방향 흐름 구조 및 오염물질의 혼합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저흐름 영역에 의하여 오염물질의 정체현상이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혼합 해석에 사용되는 Fickian 이송-확산 모형은 농도의 공간 분포를 잘 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non-fickian 모형인 하천 저장대 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천 저장대 모형에서의 주요 매개변수로는 저장대 영역(저흐름 영역)의 면적과 질량교환계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노치의 조건 변화에 따른 저장대 영역 및 질량교환계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노치의 조건 변화에 따른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을 위하여 보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개수로에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광범위의 수평방향 흐름구조 및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LSPIV(Large Scale Particle-Image-Velocimetry) 및 PCA(Planar-Concentration-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유속 및 오염물질의 농도자료를 취득하였다. 취득된 유속 자료 및 농도자료를 바탕으로 보 상류에 위치한 저흐름영역의 크기 및 저흐름 영역과 주 흐름 영역 사이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자료 분석결과, 노치의 간격이 커질수록 저흐름영역의 크기 또한 증가하였으며, 오염물질의 체류시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증기폭발의 개관

  • 김병주
    • 기계저널
    • /
    • 제28권3호
    • /
    • pp.270-280
    • /
    • 1988
  • 증기폭발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내용들이 개괄적으로 소개되었다. 지난 30여년간 대규모 및 소규모 증기폭발에 대해 수많은 이론 및 실험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 많은 과제들이 미해결의 상태로 남아 있다. 이들은 (1) 연료-냉각수 접촉양식의 영향 (2) 초기 혼합과정에 대한 에너지 전달 및 유동해석 (3) 연료파괴 과정에 대한 정량적 해석 (4) 폭발과정의 전파에 대한 제인자의 영향 (5) 팽창과정 중 슬러그(slug)의 영향 등이며 현상 자체의 난이성과 위 험성에 비추어 볼 때 해석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인 호기심과 더불어 산 업재해 방지 및 현상의 생산적 이용이라는 최종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집중적인 연구가 꾸준히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식품 및 생체 carotenoid의 co-oxidation

  • 김혜경;최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1-96
    • /
    • 1992
  • 효소에 의한 carotenoid의 co-oxidationgus상은 lipoxygenasechrao하에서 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산화되어 이때 만들어진 free radical에 의해 carotenoid가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화같이 carotenoid의 co-oxidation에서 lipoxygenase는 free radical을 만들면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Lipoxygenase에 의한 carotenoid의 co-oxidation 현상을 처음 발견한 것은 대두가루를 밀가루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였다. 대두가루 속에 다량 함유된 lipoxygenase에 의해 밀가루의 carotenoid 색소가 표백되는 것을 보고 이 현상은 lipoxygenase에 의해 기질은 지방산이 산화되는 동안 caroenoid가 쉽게 co-oxidation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carotenoid는 지질이 존재하는 반응시스템에서 항산화제로서 혹은 secondary substrate로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Local Remeshing Algorithm for Quasi-Static Crack Propagation

  • Song, Young Joon;Koh, Byeong Cheon
    • 전산구조공학
    • /
    • 제7권3호
    • /
    • pp.167-176
    • /
    • 1994
  • 균열전파 현상은 항상 형상이 변화하는 대표적인 문제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준-정적 균열전파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들로네이 특성을 이용한 국지 요소재편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요소 재편성과 세분화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적용예로 M 적분법을 사용하여 주로 혼합 모우드로 균열이 전파되는 스폴링 현상을 해석하였다.

  • PDF

저분자와 고분자 물질로 제작한 혼합 발광층의 혼합 비율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안정성에 대한 연구

  • 고은임;전영표;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95.2-395.2
    • /
    • 2014
  • 백색유기발광소자는 낮은 구동전압, 낮은 소비전력, 높은 명암비, 넓은 시야각과 높은 박막 특성으로 친환경 에너지와 관련해 주목을 받고 있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주로 R-G-B 영역의 발광층을 적층하여 제작한다. 하지만 전압의 변화에 따라 재결합 영역이 변화되면서, 색 안정성이 불안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색 안정성을 나타내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저분자와 고분자 혼합 발광층 구조를 사용하였다.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혼합물을 스핀코팅하여 박막을 형성한 후, 열처리에 의한 상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한가지 고분자 물질을 제거하여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 위에 저분자 발광물질을 적층하여 홀주입을 향상하여 청색 발광층을 형성한다.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 물질과 혼합되는 고분자 물질의 혼합 비율과 혼합 층 두께에 따른 적색 고분자 다공성 박막의 변화를 원자힘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혼합된 두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의 차이에 의한 응집도의 차이로 인하여 혼합물 박막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미세구조의 경사도가 높아지고, 적색 다공성 고분자 발광층의 미세구조의 형태는 두 가지 고분자 혼합물의 혼합 비율의 변화에 따라 미세구조의 밀도가 높아진다. 본 연구 결과는 저분자와 고분자 혼합 발광층 구조를 사용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안정성과 효율 향상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신문고지와 볏짚의 혼합이 포장 트레이의 물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xing of Recycled Newspaper and Rice Straw on Physical Properties of Packaging Trays)

  • 안병국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23
    • /
    • 1996
  • 신문고지에 볏짚펄프를 혼합하였을 때 그 혼합비율이 포장 트레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포장 트레이의 밀도는 볏짚펄프의 혼합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파열강도는 볏짚펄프의 혼합비율이 40%에 달할 때까지는 약간 감소하다가 그 이상의 혼합비율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볏짚펄프 단독으로 제조할 경우 트레이의 파열강도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포장 트레이의 압축강도는 볏짚펄프의 혼합비율이 40-80%되는 구간에서 비교적 낮게 나타난 반면 20%와 100% 수준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볏짚펄프의 혼합이 이루어진 처음 20% 수준에서 투기 시간은 급격히 감소하여 80%에 이를 때까지 약간 감소하다가 100% 수준에서 투기 시간이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볏짚펄프의 혼합에 따라 트레이 표면의 L값은 약간 낮아지고 b값은 뚜렷하게 증가하여 황색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