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비율

검색결과 2,487건 처리시간 0.067초

미건조 우드칩과 숯 혼합에 따른 가스화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Gasification from Mixed Fuels of Charcoal and Undried Woodchip)

  • 왕용;강구;이태호;최선화;홍성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5호
    • /
    • pp.81-88
    • /
    • 2015
  • 바이오매스는 유망한 신재생 에너지이다. 바이오매스는 액체 및 기체 연료로 전 환 할 수 있고, 다양한 공정을 통해 열 및 전력을 생산시키는데 사용된다.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정은 바이오매스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소 및 메탄으로 이루어진 합성 가스로 전환시키는 기술이다.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합성 가스 생산 및 활용은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에너지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대체에너지이다. 현재, 바이오매스 가스화의 주요 원료는 목질계 우드 칩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드칩의 경우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화 공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건조처리를 필요로 한다. 우드칩의 건조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고, 다량의 우드칩 건조에는 시간과 기상 및 공간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미건조 우드칩의 가스화 공정을 위하여 미건조 우드칩에 숯을 각각 10, 30, 50 %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결과 생산된 합성가스의 CO 농도 는 숯의 비율에 따라 14.9 ~ 25.6 %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반대로 $CO_2$$CH_4$ 농도는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합성가스 생산을 위한 미건조 우드칩과 숯의 최적혼합비율은 약 30 %로 판단되며, 발열량은 $1285.7kcal/Nm^3$, Gas yield는 $2.3Nm^3/kg$ 로 나타났다. 이에 적절한 숯의 혼합사용은 미건조 우드칩의 직접적인 가스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바이오매스 건조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글루텐 인조육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물성에 관한 연구 -3보 : 각 요인이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물, 호두와 식용유 및 식용유와 물의 상호 영향)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Gluten Meat Part III: Effects of ammount of ingredients on properties of AGM(Water, Interactions of walnut and oil, Oil and water))

  • 박춘란;장주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21
    • /
    • 1989
  • 밀 단백 분말을 주재료로 한 인조육을 제조할때 첨가재료의 첨가량이 품질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죽하는 물의 양이 증가할 수록 L값과 b값이 증가하여 글루텐 인조육의 색이 밝고 노란색이 짙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단력, 경도, 저작성은 감소하였으며 보수성은 증가하였는데, 첨가하는 물의 양을 100%로 하였을때 L값, 경도 및 저작성이 가장 쇠고기의 측정치에 가까왔다. 2. 호두와 옥수수기름의 혼합비율은 텍스쳐보다 색에 더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고, 특히 호두가 인조육의 색을 쇠고기와 비슷하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요인이었으며, 가장 적당한 비율은 호두 30%와 옥수수기름 10%이었다. 3. 옥수기름과 물의 상호 효과에서 식용유 첨가량보다 물의 첨가량이 더욱 영향을 주었으며, 옥수수기름 10%, 물 100%의 혼합비율로 조제한 글루텐 인조육이 가장 쇠고기의 측정치에 가까왔다.

  • PDF

알루미늄 캔 스크랩의 용탕처리 시 알루미늄 합금 회수에 미치는 플럭스의 영향 (Effect of Flux on Recovery of Aluminum During Molten Metal Treatment of Aluminum Can Scrap)

  • 한철웅;안병두;김대근;이만승;김용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1호
    • /
    • pp.70-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도로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캔 스크랩의 재활용 효율을 플럭스 종류와 혼합 비율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알루미늄 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알루미늄 캔 스크랩의 표면 코팅층 약 500 ℃에서 30 분간 열처리를 통해 제거가 가능하였다. 용해 공정 온도는 알루미늄 합금 용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하였고, 플럭스 종류와 혼합 비율에 따른 용탕처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750 ℃에서 3 wt.%의 플럭스(Salt flux와 MgCl2 혼합비율 70:30)의 조건에서 알루미늄을 최적으로 회수 할 수 있었다. 회수된 Al합금은 인장강도 249 MPa과 연신율 14 %로써 Al5083 소재와 거의 동일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저소성 세립분 함량이 카올리나이트-모래 혼합토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Plastic Fine Content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Kaolinite-Sand Mixture)

  • 판야봇 카오톤;이수형;최영태;윤찬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7호
    • /
    • pp.35-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카올리나이트 혼합비에 따른 카올리나이트-모래 혼합토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본물성실험과 다짐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카올리나이트와 모래입자 간의 상호 구조를 더욱 자세히 분석하기 위하여 현미경 사진을 이용한 관측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카올리나이트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의 증가에 따른 함수비의 증가 및 모래입자와의 강한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건조밀도는 감소하고 초기간극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경 사진 분석 결과, 세립분 함량의 증가에 따라 모래의 특성이 지배적인 비율, 중간 비율, 세립분의 특성이 지배적인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립분의 함량이 25-40% 정도인 경우에 입자간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팽창흑연/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특성 평가 (Study on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Expanded Graphite/Carbon fiber hybri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 오경석;허성일;윤진철;한경섭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팽창흑연/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2단계 성형 공법으로 제조하였으며, 탄소섬유의 첨가가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전도성 충진재들은 고분자 수지와 기계적으로 혼합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복합재료가 전기적 특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팽창흑연은 입자 간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복합재료 내 전도성 네트워킹의 형성에 매우 유리하지만, 팽창흑연과 고분자 수지만을 사용하여 상기 공정으로 복합재료를 제조할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탄소섬유를 복합재료에 첨가하였으며 전기적 기계적 물성을 바탕으로 탄소섬유의 혼합 비율을 최적화하였다. 굽힘 강도는 탄소섬유의 충친 비율이 증가할수록 섬유에 의한 강화 효과에 의하여 증가 하지만, 32wt.%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여분의 탄소섬유들이 공극을 발생시켜 응력집중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전기 전도도는 탄소섬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전도성 공백이 발생하고 팽창흑연의 전도성 네트워킹이 저해되기 때문에 계속 감소한다.

가무시안 혼합모델에서 점진적 강인적응을 통한 화자확인 성능개선 (Performance Enhancement for Speaker Verification Using Incremental Robust Adaptation in GMM)

  • 김은영;서창우;임영환;전성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8-27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화자확인을 위해서 가우시안혼합모델에 forgetting factor를 갖는 점진적 강인적응 방법을 제안하였다. 화자인식 시스템에서 적은 양의 데이터로 좋은 성능을 얻기 위하여 화자모델 적응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적응방법은 불규칙한 발성변화와 잡음 같은 이씨에 취약하고, 그것은 부정확한 화자모델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모델에 새로운 데이터가 적응되는 비율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가우시안혼합모델을 이용한 화자모델에서 이상치에 의한 왜곡과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적응 비율을 일정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점진적 강인적응 방법을 제안하였다. 점진적 강인적응은 화자인식에서 적은 양의 데이터로 등록하고 테스트된 새로운 데이터로 모델을 적응시키는 방법이다. 실험결과는 7개월에 걸쳐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제안된 방법이 이상치에 강인하고 새로운 데이터의 적응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을 보였다.

Gas Fuelled Ship용 재기화 시스템의 Eglycol Water 혼합비율에 따른 시스템 특성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asification system for gas fuelled ship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eglycol and water)

  • 이윤호;김유택;강호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7호
    • /
    • pp.799-805
    • /
    • 2014
  • 최근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각종 규정들이 강화되고, 연료유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LNG(Liquefied Natural Gas)를 선박의 추진연료로 사용하는 Gas Fuelled Ship의 등장은 필연적이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as Fuelled Ship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LNG를 DF(Dual-Fuel)엔진에 공급하기 전 기화 시켜주기 위해 Eglycol water(Ethylene glycol water)를 가열매체로 사용한 재기화 시스템을 구성하고, Eglycol과 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시스템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F엔진으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압력과 온도 그리고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 Eglycol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Eglycol water의 혼합비열이 낮아지게 되면서 물만을 사용했을 때와 대비하여 1.65배 많은 cycle 유량과 1.54배의 펌프 소요 동력이 요구됨을 확인하였고, vaporizer의 크기를 고정한 후 Eglycol의 혼합비에 따른 DF엔진으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온도 및 vaporizer 출구측 Eglycol water의 온도를 산정하였다.

벼흰빛잎마름병 저항성 근동질유전자계통 혼합재배에서 이병정도 (Disease Severity of Bacterial Blight in Mixed Plantings of Rice Near-Isogenic Lines)

  • 신문식;오명규;남정권;김기영;이재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39-141
    • /
    • 2003
  • 벼흰잎마름병 방제를 위해 multiline품종을 이용할 경우 가장 이상적인 이병성과 저항성 혼합조합을 찾고자 저항성유전자가 서로 다른 근동질유전자 계통을 이용한 7개 혼합집단의 흰 잎마름병 발병정도, 등숙비율 및 쌀수량에 대하여 그들 혼합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의 평균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7개 혼합집단 즉 ML01, ML02, ML03, MLl2, MLl3, ML23 및 ML0123중에서 ML01과 ML02는 그들 구성 요소의 평균과 발병정도, 등숙비율 및 쌀수량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나머지 혼합집단들은 그들 구성요소의 평균보다 발병정도는 낮았고 등숙비율과 쌀수량은 높았다. 2 Xa3를 가진 HRl1397계통이 혼합된 집단 즉 ML03, MLl3, ML23 및 ML0123이 발병정도도 낮고 쌀수량도 높아 HR11397이 우수한 계통으로 보여진다. 3. 병전파 지연, 병원균집단의 안정화 및 품종의 단인자 저항성 수명 연장을 위한 바람직한 혼합집단 모형은 ML03, MLl3, ML23 및 ML0123이 우수한 것으로 보여진다

볏짚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Gross var. Coreana Gross ex Nakai)의 혼합Silage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lage from Rice Straw and Persicaria Thunbergii)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15-119
    • /
    • 1978
  • 볏짚의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증진(增進)하고 아울러 고마리의 사료가치(飼料價値)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을 각각(各各) 10 : 90($T_1$), 20 : 80($T_2$), 30 : 70($T_3$), 및 40 : 60($T_4$)로 처리(處理)하여 혼합(混合)Silage를 제조(製造)한 후(後) 이들 재료(材料)와 Silage의 조성분석(組成分析)하고 Silage의 품질(品質)을 판정(判定)하여 그 결과(結果)를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통일계(統一系)(노풍)볏짚의 조성분중(粗成分中) 조단질(粗蛋質)과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이 고형물비(固形物比)로 각각(各各) 8.18% 및 44.66%로 일반(一般)볏짚보다 사료가치(飼料價値)가 양호(良好)해 보였고 고마리도 고형물(固形物) 기준(基準)으로 조단백질(粗蛋白質)이 14.47%로 일반적(一般的)으로 화본과목(禾本科牧草)보다 높았고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은 51.13%로 대략 화본과(禾本科)나 두과목초(豆科牧草)보다 높아 보였다. 2.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T_2$가 72.12%, $T_3$가 66.43%로 비교적 수분함량(水分含量)이 적당(適當)했고 모든 처리구(處理區)가 타(他) Silage에 비(比)하여 조단백질량(粗蛋白質量)이 높아 보였다. 3. Silage의 pH는 $T_1$이 pH 3.8로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T_4$가 pH 4.5로 가장 높았으며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T_1$이 가장 적었고 $T_4$가 가장 많았으나 총산(總酸)에 대(對)한 유산비율(乳酸比率)은 $T_1$쪽이 높고 $T_4$가 떨어졌다. 4.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混合)으로 양질(良質)의 Silage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으며 볏짚과 고마리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은 20 : 80~30 : 70 범위가 적당(適當)했으며, 앞으로 혼합(混合) Silage의 이용가치(利用價値)가 기대(期待)된다.

  • PDF

4종류 토양개량재가 USGA 모래에 파종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유묘 활착률 및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ur Soil Amendments on Turfgrass Establishment and Density in Creeping Bentgrass Grown in Sand-based Root Zone)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48-157
    • /
    • 2018
  • 본 연구는 외국산 피트를 포함해서 국내외 토양개량재 4종류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초기 활착 및 잔디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잔디밭 조성 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전체 20개 처리구는 식재층 모래에 유기질 토양개량재인 SABP (Berger peat), SAEP (Eco-peat), SAGS (G1-Soil) 및 SAPP (Premier peat)를 10-50% (v/v) 사이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초기 활착 및 밀도 변화는 토양개량재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밀도는 경시적인 변화가 나타나서 파종 2주 후 생육 초기 최저 36.7% (SABP 30)에서 최고 89.7% (SAGS 20)까지 처리구간 차이가 53% 정도 나타났다. 하지만 파종 6주 전후로 성숙기 밀도 수준에 도달해서 SABP 및 SAEP 일부 혼합구를 제외한 대부분 처리구에서 잔디밀도는 90% 전후로 비슷하였다. 실험 종료 시 최종 활착율은 최저 60.7% (SAEP 10)에서 최고 96.7% (SAPP 50)까지 처리구간 차이가 36.0%나 크게 나타났다. 잔디 활착율 및 밀도에 대한 최적 혼합율은 개량재 종류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았다. SABP와 SAGS 개량재의 최적 혼합비율은 각각 10% 및 20%로 나타났지만, SAEP와 SAPP 개량재는 50%가 최적의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잔디밭 조성 전에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개별 토양개량재의 적정 혼합비율을 결정해서 실무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향후 주요 잔디 초종에서 외국산 및 국내산 토양개량재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종합적인 포장 적응성 실험을 통해 실무 응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