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재활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을 이용한 말더듬치료 장치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The Development of Stuttering Therapy Device and Clinical Application Cases Using Breathing Control Prolonged Speech Method)

  • 이근민;권상남;정효재
    • 재활복지
    • /
    • 제15권2호
    • /
    • pp.147-17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을 활용한 말더듬 치료 장치를 개발하여 임상적용을 통해 개발된 말더듬 치료 장치가 실제로 말더듬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말더듬 연장기법을 분석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한 말더듬 치료 장치를 설계하였다. 둘째, 연장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시각적 피드백, 발성 상태 유지, 충분한 흡기, 한글화, 일상생활 전이 및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말더듬 치료 장치를 개발하였다. 셋째, 임상적용을 통해 개발된 말더듬 치료 장치가 실제로 말더듬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개발된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을 활용한 말더듬 치료 장치를 피험자 A, B, C, D를 통해 3개월 동안 적용하여 말더듬 평가 프로그램 SI-B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피험자 A는 사전평가 3.20 SW/M에서 사후평가는 0.5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고, 피험자 B는 사전평가 1.90 SW/M에서 사후평가는 0.7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고, 피험자 C는 사전평가 3.37 SW/M에서 사후평가는 0.34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고, 피험자 D는 사전평가 0.51 SW/M에서 사후평가는 0 SW/M으로 말더듬 빈도수가 줄었다. 이상과 같이 호흡 조절식 연장기법 말더듬 치료 장치를 이용한 말더듬 치료프로그램이 말더듬인의 말더듬 빈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호흡재활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Pulmona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 최강현;박영주;조원경;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736-745
    • /
    • 1996
  • 배경: 호흡재활치료는 만성 폐질환 환자들의 폐기능을 호전시키지는 못하나 운동허용능(exercise tolerance)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허용능이 증가하는 것이 유산소운동 능력 (aerobic exercise capacity)이 중가하기 때문인지는 논란이 있으며, 아직 국내에서 는 호흡재활치료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방법: 14명의 만성 폐질환 환자(만성폐쇄성폐질환 11명, 유육종증 1명, 기관지확장증 1명, 특발성 폐섬유화증 1명, 평균 연령 $57{\pm}4$세, 남자 12명, 여자 2명)를 대상으로 6 주간의 호흡재활치료를 시행하여 치료 전후의 폐기능과 운동허용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의 호흡재활치료 전 평균 노력성 폐활량(FVC), 1초간 노력성호기량($FEV_1$) 및 노력성 호기중간 기류량($FEF_{25-75%}$)은 각각 예측치의 $71.5{\pm}6.4%$, $40.6{\pm}3.4%$$19.3{\pm}3.8%$ 였으며, 총 폐용량(TLC), 기능적잔기용량(FRC) 및 잔기량(RV)은 각각 $130.3{\pm}9.3%$, $157.3{\pm}13.2%$$211.1{\pm}23.9%$이었고, 확산능(diffusing capacity) 및 최대 환기량(MVV)은 각각 $59.1{\pm}1.1%$$48.6{\pm}6.2%$이었다. 이들 각 폐기능의 지표들은 호흡재활치료 전후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2) 자전거운동력측정계 (bicycle ergometer)를 이용한 운동부하 검사상 최대 운동량(maximum work rate)은 치료전 $57.7{\pm}4.9$ watts 에서 치료후 $64.8{\pm}6.0$ watts로(P=0.036), 최대산소섭취량($VO_2$ max)은 $0.81{\pm}0.07$ L/mm에서 $0.96{\mu}0.08$ L/mm로 (P=0.004), 무산소역치 (anaerobic threshold)는 $0.60{\pm}0.06$ L/mm 에서 $0.76{\mu}0.06$ L/min로(P=0.009) 호흡재활치료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가스교환은 호흡재활치료 전후에 변화가 없었다. 3) 지구력시험 (endurance test)상 운동일(work)이 상지는 $4.5{\pm}0.7$ joule 에서 $14.8{\pm}2.4$ joule로 (P<0.001), 하지는 $25.4{\pm}5.7$ joule에서 $42.6{\pm}7.7$로 (P<0.001) 모두 재활치료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분 보행거리는 $392{\pm}35$ 미터 에서 $459{\pm}33$ 미터로(P<0.001) 치료 후 연장되었고, 최대 흡기압도 $68.5{\pm}5.4$ $CmH_2O$에서 $80.4{\pm}6.4$ $CmH_2O$로 증가하였다(P<0.001). 결론: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 6주간의 호흡재활치료는 폐기능 및 가스교환을 호전시키지는 못하였지만 운동허용능(exercise tolerance)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만성폐질환자를 위한 가정 호흡재활 단기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Short-term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 오의금;김순희;박희옥;방소연;이춘화;김소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70-579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effects of a short-term pulmonary program on lung function, exercise tolerance,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ung patients. Method: Randomized controlled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outcome measures wer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 predicted), 6 min walking distance (6MWD), Borg score after 6MWD,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naire (CRDQ).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4-week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composed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upper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relaxation, and telephone visit. Patients in control group were only given education about self-management strategies. Thirty four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respiratory impairment were recruited, and 28 patients (19 in experiments, 15 in control) completed the study. Result: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ung function, exercise toleranc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found only in the experiment group. Conclusion: This study yielded evidence for the potential and beneficial effects of home-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chronic lung disease. The program could be adequately utilized for improvemen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ung patients.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위한 호흡재활 중재가 운동 능력 및 내구성, 일반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and General Health Status)

  • 오현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43-752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bine the effect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PRP)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COPD patients based on the primary research results examined the effects of PRP, Method: Seventeen studies were selected by the sampling criteria established to include the studies that reported enough statistics necessary to conduct meta-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most effective indicators for exercise capacity/tolerance were exercise time (such as cycling time or treadmill walking time) and ground walking distance within given time (6 minutes or 12 minutes), whereas effects on such indicators as VE and VO$_2$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P induced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s' general health status, frequently measured by physical, psycho-emotional, and holistic indicators, the enhancement on psycho-emotional dimension resulted from PRP was more prominent than those of the other dimensions. From the results, it was noted that the place where PRP was given and the contents of PRP exercised their influence on the outcome variables. Which body part was trained was also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atients' perception of dyspnea during exercise as well as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Conclusion: PRP including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exercise capacity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COPD patients.

만성 폐색성 폐질환자를 위한 호흡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COPD Patients)

  • 김애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7-267
    • /
    • 2001
  • It is known that 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mproves dyspnea and exercise tol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owever, it is also known that although it does not improve pulmonary fun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4 week pulmonary rehabilitation on pulmonary function, gas exchange, and exercise tole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s included breathing exercises, such as pursed-lip breathing and diaphragmatic breathing, upper-limb exercises, and inspiratory muscle training. These activities were performed for 4 weeks in twenty on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re and post-rehabilitation 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capacities were compared after the 4 week period. Results are as follows: 1) Before the rehabilitation, the predicted value of FVC and FEV1 of the patients were 70.3$\pm$16.7% and 41.1$\pm$11.9% respectively. These pulmonary functions did not change after pulmonary rehabilitation. 2) Aloility of walking a 6 minute distance (325.29$\pm$122.24 vs 363.03$\pm$120.01 p=.01) and dyspnea (p=.00)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rehabilitation. Thus showing that pulmonary rehabilitation for 4 weeks can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and dyspnea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PDF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가로막 호흡재교육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들숨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Reeducation Exercise using EMG Biofeedback on Inspiratory Func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이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195-19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가로막 호흡 재교육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들숨 기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연구 결과 EBDBEG에서 최대들숨압(PIP)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바이오피트백을 적용한 시각적 되먹임을 통해 가로막호흡운동 시 보다 정확하게 가로막의 수축과 이완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호흡 보조근을 억제를 유도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되며 좀 더 장시간의 적용은 호흡기능 및 전방머리자세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가슴 가동성 제한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가슴 가동성 운동이 가슴가동성, 호흡패턴 및 호흡량에 미치는 효과: 사례 시리즈 (Effects of Thorax Mobility Exercise on the Thorax Mobility, Breathing Pattern and Respiratory Capacity in Subject With Restricted Thorax Mobility: A Case Series)

  • 하성민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2호
    • /
    • pp.99-107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가슴 가동성 제한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가슴 가동성 운동이 가슴 가동성, 호흡 패턴 및 호흡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3명의 가슴 가동성 제한을 가진 남/녀 대상자를 대상으로 가슴 가동성 운동(갈비뼈 가동성 운동)을 시행하여 가슴 가동성, 호흡 패턴 및 호흡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가슴 가동성 운동 전/후에 연구 참여 대상자의 가슴 가동성(들숨-날숨 간 가슴 확장 길이 측정), 호흡 패턴 형태(가슴 움직임 수직 이동거리 측정) 및 호흡량(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을 측정하였다. 가슴 가동성, 호흡 패턴 및 호흡 용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짝-검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5였다. 결과 : 가슴 가동성과 호흡 패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호흡 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갈비뼈 가동화 기법을 이용한 가슴 가동성 운동은 가슴 가동성 개선과 가슴 올림이 유발되는 비정상적인 호흡 패턴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음성검사 및 음성재활장치의 개발

  • 이상준;성명훈;김광현;권택균;최종민;김욱은;김희찬;박광석;김동영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212-214
    • /
    • 2003
  • 후두는 호흡, 발성, 기도의 보호기능을 한다. 이 중 발성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교실에서 개발한 발성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Videostrobokymorgraphy(VSK), 다채널 음성분석장치, 그리고 발성재활장치인 Hands free 전기후두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