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형상(刑象)

검색결과 17,589건 처리시간 0.038초

형상기억합금 스트립 작동기를 이용한 구조물의 형상 변형 해석 (Deformation Analysis of the Structures with SMA Strip Actuator)

  • 노진호;한재홍;이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형상기억합금 작동기의 열-기계적 특성과 구조물의 응용을 살펴보았다. Lagoudas 모델을 기본으로 3-D 형상기억합금의 구성방정식을 FORTRAN으로 해석 알고리즘을 만들어 user material(UMAT) subroutine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형상기억합금 해석 UMAT subroutine을 상용 프로그램 ABAQUS와 연계 해석하여 형상기억합금 작동기와 주 구조물간의 상호 특성을 수치적으로 살펴보았다.

PC용 냉각팬의 형상 및 블레이드의 수 변화에 따른 냉각성능 (Cooling Performance of PC cooling Fan For Various Cooling Fan Blade numbers and Design Shapes)

  • 박원걸;이동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85-689
    • /
    • 2012
  • 본 연구는 PC용 냉각팬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하여 냉각팬의 형상 변경 및 블레이드의 수 변화를 통해서 PC 부품 발열체의 온도변화를 수치해석적으로 수행하였다. 기존의 냉각팬 형상을 기준으로 블레이드의 수를 변화시키고 실제 형상을 변경한 냉각팬을 동일한 설계 입력조건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냉각성능을 파악하였다. 두 Case를 비교한 결과 기존 형상은 블레이드의 수가 증가 할수록 냉각효과가 커졌고, 형상을 변경한 냉각팬의 경우 Blade 6에서 가장 큰 냉각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Blade 6과 8을 비교해 봤을 때 두 블레이드 사이에서 온도차이는 미소한차이로 냉각효과를 비교하기 어려웠다. 두 Case에서 제작과정과 비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Case 2의 Blade 6 경우가 더 우수한 것으로 보아 형상을 변경한 블레이드에서 최적설계를 얻을 수가 있었다.

  • PDF

다품종부품 개발을 위한 형상관리 체계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for Multi-Component Development)

  • 김성찬;오해순;이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499-502
    • /
    • 2011
  • 중형급 회전익 항공기는 약 5,000여종의 주요기능 부품이 사용된다. 이들 주요 기능부품은 항공기에 장착되기 위해 최적화설계로 목표중량을 달성하고, 요구성능을 상회하여야 한다. 따라서 항공기 기능부품은 개발비를 제외하고도, 동종의 자동차 부품에 비해 약 100배 이상의 양산 단가 구조과 막대한 개발비가 소요된다. 이와 같은 구성품 개발에 있어 개발비를 절감하는 기술관리 수단중 하나가 형상관리이며, 형상관리 체계의 수립은 사업의 성패에 중요요인으로 작용하고, 군사규격에 의거 항공분야 개발사업의 형상관리체계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민군겸용 구성품 국산화 개발에 적합한 형상관리 체계를 제안하고, 제안된 형상관리 체제를 구축 운용하여, 성공적인 민군겸용 구성품 형상관리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TEP을 이용한 특징형상 정보의 호환

  • 김한기;김광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1-736
    • /
    • 1994
  • STEP(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Data)은 제품데이타의 표현 및 교환에 관한 국제표준으로서, 특정 시스템에 관계없이 제품생산에 관계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중립표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TEP은 화일교환을 위한 중립표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 제품데이타베이스를 수현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따라서, 향후 STEP은 좁은 의미 로서는 시스템간의 데이타 교환의 표준으로,넓은 의미로서는 컴퓨터통합 생사시스템(CIMS) 의 구현시 정보모델의 근간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STEP을 이용하여 CAD의 형상정보와 특징형상정보를 변환하는 변환기를 개발하였다. 변환기의 개발은 크게 3단계로 나뉘어 지는데, 1) STEP에서 제정한 데이타 정의어인 EXPRESS를 이용하여 각 CAD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멧을 따라 형상정보및 특징형상정보의 스키마를 모델링하는 단계 2) 실제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스키마에 맴핑(mapping0하는 단계, 3) 피니컬 화일로 변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글에서는 STEP을 이용한 특징형상정보의 호환을 위한 변환기의 구조를 제안하고, EXPRESS를 이용한 스키마 모델링 및 특징형상 정보의 변환사례를 소개한다.

  • PDF

원형 실린더 표면의 딤플 형상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dimple shapes over a circular cylinder)

  • 이혁;김익현;사정환;박수형;변영환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3회(2014년)
    • /
    • pp.585-590
    • /
    • 2014
  • Chowdbury. H.는 인체를 다수의 원형 실린더로 단순화하여 스키점프와 사이클 운동복의 항력계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처럼 원형 실린더에 스피드 스케이팅 운동복을 씌운 모습과 골프공에서 사용하는 딤플의 2차원 형상이 서로 유사한 모양임을 착안하여, 2차원 원형 실린더 표면의 딤플이 유동 현상에 어떤 효과를 일으키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형상을 토대로 3가지 딤플 형상 변수에 대한 매개변수 설정을 통해 항력계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3가지 딤플 형상 중 가장 낮은 항력계수를 갖는 딤플 형상에 대해서 요철 높이에 따른 항력계수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딤플 형상이 각진 모양보다 둥근 모양일수록 항력계수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요철 높이를 제외한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최적의 요철 높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유한요소 기법을 적용한 시간적분법에서 형상함수에 따른 오차추정치 유도 (The Derivation of Error Estimates with Various Shape Functions for Time Integration Using Finite Element Approach)

  • 장인식;맹주원;김동호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4호
    • /
    • pp.187-196
    • /
    • 1998
  • 불연속 갤러킨 정식화에 기초를 둔 시간적분법에 대하여 시간을 변수로 한 유한요소적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단일 형상함수와 두 형상함수 정식화에 대해 각각 선형, 이차 형상함수를 적용하여 모두 네 종류의 시간적분법을 유도하였으며, 각 방법에 대하여 시간시텝의 증가에 따른 변위와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증폭행렬을 계산하였다. 유도된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하가 갑자기 변화는 진동 문제를 해석하고 변위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네 가지의 방법에 대하여 국부 오차 추정치를 개발하였으며, 오차 추정치의 정확도를 수치예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단일 형상함수 정식화에서 이차 형상함수를 이용한 오차 추정치가 실제 국부오차를 잘 나타내었으며 유도된 오차 추정치는 시간간격제어 기법에서 시간간격의 크기를 결정하는 척도로 이용 가능하다.

  • PDF

SOFM 신경망을 이용한 수화 형상 인식 (Sign Language Shape Recognition Using SOFM Neural Network)

  • 박경우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38-42
    • /
    • 2010
  • 인간은 정보전달을 위하여 언어 이외에 동작,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인 수단을 이용한다. 이러한 비언어적인 수단을 정확히 분석 할 수 있다면 인간과 컴퓨터간의 자연스럽고 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은 단일 카메라 환경에서 손 형상을 입력정보로 사용하여 손 영역만을 분할한 후 자기 조직화 특징 지도(SOFM: Self Organized Feature Map)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 형상을 인식함으로서 수화인식을 위한 보다 안정적이며 강인한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으로는 피부색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으로부터 손 영역만을 추출한 후 추출된 손 영역의 형상을 인식한다(전처리과정으로 모델이미지의 사이즈와 압축 및 컬러에 대한 정보를 정규화 시켰다). 또한 인식 효율을 높이기 위해 SOFM 신경망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손 형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손 형상 인식률에 대한 안전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인식된 손 형상의 의미를 텍스트로 보여줌으로서 사용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신속조형기술(RP: Rapid Prototyping) 분야소개

  • 지해성
    • 한국CDE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6-79
    • /
    • 1997
  • 최근 몇년간 CAD/CAM 분야에서 활동하시는 많은 분들이 'RP'라는 신기술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다분히 생경스러운 심정으로 지켜봐 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지하다시피 'RP 즉 Rapid Prototyping'은 '컴퓨터에 저장된 3차원 형상모델의 기하학적 자료로부터 그 물리적인 모형형상을 신속하게 조형해 내는 것'으로 주어진 설계 제품의 수학적 모델을 그 이전에 존재하였던 그 어떤 가공방식과도 비교할 수 없는 빠른 시간안에(통상 24시간 이내) 물리적인 모형으로 재현해 낸다는 것이 그 대표적인 장점이라고 하겠다. 우리말로는 '신속조형기술'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설계된 제품 형상의 기하학적인 복잡성이나 반복성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그 어떤 제품형상도 조형이 가능하다. 물론 초기에 이 기계장치의 발명목적은 'RP'라는 용어가 시사하듯이 컴퓨터나 수작업에 의해 설계된 제품형상을 신속하게 관능(시각 및 촉각) 감각을 통해서 관찰하고 그에 따른 형상설계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이 기술이 최근 그 발전의 행보를 빨리함에 따라 기존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복잡한 제품 형상의 신속한 모형제작은 물론 가까운 장래에는 이의 주물성형을 위한 주형의 제작이나 플라스틱 사출성형용 금형제작(신속 주형/금형 제작-RT: Rapid Tooling 이라고 호칭)까지도 신속하게 수행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KSLV-I 킥모터 시스템 형상 공차 (Configuration Tolerance for KSLV-I Kick Motor System)

  • 이한주;정동호;오승협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2호
    • /
    • pp.128-132
    • /
    • 2011
  • KSLV-I 상단 추진기관 시스템인 킥모터 시스템에 대한 형상 공차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임무 수행을 위한 초기 제어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위 서브시스템에 대한 형상 공차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킥모터 시스템의 형상 공차 기준과 지상시험용 및 비행시험용 모델에 대해 시스템 차원에서 수행된 형상 관리 결과에 대해 다룬다.

공동형상에 따른 경사충격파와 경계층 상호작용의 피동제어 성능 비교 연구

  • 김홍규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604-609
    • /
    • 2016
  • 슬롯판을 이용한 경사충격파와 경계층 간섭유동 제어에서, 슬롯판 아래에 있는 공동부의 형상을 바꾸어 가며 제어 성능을 비교하는 수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공동형상 직사각형 5개, 사다리꼴 3개를 선정하여 shock 뒤에서 경계층 안정성, 전압손실을 기준으로 제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모든 형상에 대해 제어하지 않은 상태보다 좋은 성능을 얻었다. 그 중 경계층 안정성 측면에서는 형상 L과 R, 전압손실 감소 측면에서는 형상 M과 A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종합적으로 슬롯의 끝 면과 공동의 길이방향 끝 면이 일치하는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음을 확인했다. 또한 슬롯과 공동 내부유동을 분석하면서 경계층 안정성과 전압손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separation 영역을 얼마 원활히 흡입하는지의 여부임을 알 수 있었고, 상류 슬롯에서 발생하는 shock에 대한 추후 해결 연구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