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대응

Search Result 1,07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ire-Fighting Officer for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재난현장 대응체계 역량강화를 위한 소방공무원 의식조사 연구)

  • Woo, Jaebong;Shin, Hojoon;Baek, Mi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276-281
    • /
    • 2013
  • This thesis grasped problem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repeated during the disaste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ocial environment and suggested current status of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developmental measure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wareness of fire-fighting officer. On disaster site, close cooperation system of disaster safety measure headquarter and urgent rescue controlling association must be formed and range and time of the action must be accurately improved so as not to cause duplication of rights for orders. Also,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must be established so as to strengthen disaster site reaction capability and manpower and equipment for it must be increased. Finally, detailed measures for improving initial reaction capability during the disaster, such as tactic development, reaction plan establishment, etc, are requested.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Energy Industry (에너지 산업현장에서의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5-19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 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 필요하다.

  • PDF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Assignment of Safety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Site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의 개선방향 연구)

  • Lee,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9-22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 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and Disaster Site Response (사업연속성경영시스템(BCMS)이 재난관리 성과와 재난현장 대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ae-Sung Shin;Chong-Soo Che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2
    • /
    • pp.430-439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even sub-components of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BCM)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and disaster site response. Method: After establishing a hypothesis through prior research and conducting a survey of employees of telecommunication business organizations, a total of 327 pieces of data were gathered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Result: First, the leadership, planning, support, ope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leadership, planning, support, oper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disaster scene response. Conclusion: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was confirmed to have an overall significant impact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and disaster site response. In order to improve a company's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and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 scen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Educational Curriculum Improvement Direction fo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재난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

  • Chang, J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05-206
    • /
    • 2022
  • 이번 연구에서는 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민방위재난안전교육연구원의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개혁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현장지휘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난관리 교육훈련 과정에서 대응현장에 적용되는 표준조치절차(SOP)에 대한 이해와 획득이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현장지향적 재난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부문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부기관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의 현장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 PDF

Analysis of Inundation Pattern of Excavation Site Using Hydrodynamic Model (동수역학 모델을 이용한 굴착공사 현장 침수 양상 해석)

  • Yoo, Dong Hyun;Lee, Ka Young;Sim, Ye Jin;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0-300
    • /
    • 2020
  • 최근 전체 산업재해율은 계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업의 재해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내타내고 있다. 이러한 건설업 공종별 재해유형은 임시구조물과 관련된 가설공, 굴착공, 철근콘크리트공의 재해율이 타 공종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이는 공종 진행에 따라 변화되는 건설현장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인지하여 제어·관리할 수 있는 사고예측 기술 및 대응 기술의 부재로 안전사고가 높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건설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재해 상황에 대하여 공사별, 규모별, 공정별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굴착공사 중 침수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긴급대응 방안을 확보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공사 현장 재해 상황 중 침수는 태풍 또는 집중호우 시 공사구간이 침수되어 근로자 수몰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절토면이 붕괴되는 등 2차적인 피해로 이어진다. 이러한 침수의 원인은 공사 현장의 저지대 위치, 집중호우 시 최대 강우량에 대한 대비 소홀, 양수기 부족 및 고장, 인접 배수로 배수기능 불량 등의 복합적인 원인들로 인하여 발생한다. 또한 굴착공사 현장의 침수는 공사기간 동안 개별 공종에 따라 침수발생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공종별 발생 가능한 침수 양상에 대한 예방/대응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HDM-2D 수리 동역학 모델은 2차원 흐름해석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하천지형이나 공사현장과 같은 불연속면에서 유속 및 수심 등을 계산한다. 또한 마름/젖음 현상 등 복잡한 수리현상에 대한 정교한 모의 기능 및 침수해석 등 어떠한 계산영역이나 흐름조건에서도 정확하고 안정적인 모의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현장과 같은 불연속면에서 각 공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침수양상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고 각 공종별 침수양상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서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 증가와 이에 따른 수재해로 인한 건설현장 침수 발생 및 인명,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 PDF

조동조치 매뉴얼 - 해외건설현장 사고 상황 대비 초동조치 매뉴얼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91
    • /
    • pp.100-104
    • /
    • 2014
  • 국토교통부는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재난안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안전 혁신대책을 마련하고 분야별로 초기대응에 꼭 필요한 내용만 핵심적으로 담은 초동조치 매뉴얼을 발표했다. 이 중 하나로 해외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나 피습, 자연재해, 전염병 등 재난에 대해 해외 건설현장 및 건설사, 해외건설 관련 유관기관 및 정부에서 조치해야 하는 3단계 대처 사항 발표했다. 찾아보기 어려운 백과사전식 구성에서 탈피해, 각 담당자가 본인의 역할을 찾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보고체계와 행정절차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해외건설현장이 있는 회원사에게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동조치 매뉴얼 - 해외건설현장 사고상황 대비 초동조치 매뉴얼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98
    • /
    • pp.96-104
    • /
    • 2015
  • 국토교통부는 지난 해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재난안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안전 혁신대책을 마련하고 분야별로 초기대응에 꼭 필요한 내용만 핵심적으로 담은 초동조치 매뉴얼을 발표했다. 이 중 하나로 해외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나 피습, 자연재해, 전염병 등 재난에 대해 해외 건설현장 및 건설사, 해외건설 관련 유관기관 및 정부에서 조치해야 하는 3단계 대처 사항 발표했다. 찾아보기 어려운 백과사전식 구성에서 탈피해, 각 담당자가 본인의 역할을 찾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보고체계와 행정절차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해외건설현장이 있는 회원사에게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