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클러스터 평가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Putting Seeds of Endogenous Development into the State-led Industrial Cluster : the Case of Gumi IT Cluster in Korea (국가주도형 산업집적지의 내생적 발전 가능성 - 구미 IT 클러스터를 사례로 -)

  • Lee, Chul-Woo;Choi, Yosub;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2
    • /
    • pp.397-410
    • /
    • 2016
  • Although industrial complexes have played as an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for the last 40 years, the majority of industrial complexes shows limitations to the continuous growth such as a lack of innovation capabilities and social capital, conceived as a key to transforming into clusters of innovation. To overcome those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embarked on the cluster policy from the mid 2000's, focusing on promoting the endogenous development capabilities of individual industrial complexes. Drawing upon the in-depth case study of the Gumi IT cluster, one of the representative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cluster policy has contributed to making the Gumi IT cluster enhance the capabilities of endogenous development through the facilitation of self-organizing learning communities within the cluster.

  • PDF

Industrial Cluster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Early 2000s: The Case of Daejeon (지방 차원의 산업 클러스터 정책: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Shin, D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1
    • /
    • pp.96-110
    • /
    • 2009
  • To tackle the problem of regional economic and social disparities in Korea, the government of Roh, Mu-Hyun(2003-2007), launched a series of radical policies and programs to decentralize administrative activities of the capital region and stimulate economic growth in less developed regions, based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industrial cluster concepts. This paper highlights the Roh government's approach to reducing regional disparities, and makes some comments on the innovation cluster strategy by investigating the realities appearing in a major city, Daejeon. It concludes that many ministries of the Roh government created various competing, undifferentiated programs that were assigned too much money and energy, and drained resources from other governmental activities. In fact, very few programs show positive signs of achieving the goals of innovation in less developed regions, balancing the growth gaps between well-off regions and the rest of Korea, and generating overall economic growth for the country.

  • PDF

The Impact of Value Chain Reorganization on Regional Economy: The Case of Daegu Cultural Contents Industry (클러스터의 가치사슬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을 사례로)

  • Park, Kyung-Sook;Lee, Chul-W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4
    • /
    • pp.601-62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value chain reorganization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cluster in Daegu city and its impact on the regional economy.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nge of value added structure, institutional milieu and networks among regional innovators and their effect on value chain reorganization of cluster. The result shows that the scope of the value chain generating value added have been extended and the networks among regional innovators have been increased. Such value chain reorgan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gional economy. In the context of public policy, however, the focus of industrial policies needs to generate cultural and institutional specificities in a given region and to strength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 PDF

The Innovation Ecosystem and Implications of the Netherlands. (네덜란드의 혁신클러스터정책과 시사점)

  • Kim, Young-woo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5 no.1
    • /
    • pp.107-127
    • /
    • 2022
  • Global challenges such as the corona pandemic, climate change and the war-on-tech ensure that the demand who the technologies of the future develops and monitors prominently for will be on the agenda. Development of, and applications in, agrifood, biotech, high-tech, medtech, quantum, AI and photonics are the basis of the future earning capacity of the Netherlands and contribute to solving societal challenges, close to home and worldwide. To be like the Netherlands and Europe a strategic position in the to obtain knowledge and innovation chain, and with it our autonomy in relation to from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surance, clear choices are needed. Brainport Eindhoven: Building on Philips' knowledge base, there is create an innovative ecosystem where more than 7,000 companies in the High-tech Systems & Materials (HTSM) collaborate on new technologies, future earning potential and international value chains. Nearly 20,000 private R&D employees work in 5 regional high-end campuses and for companies such as ASML, NXP, DAF, Prodrive Technologies, Lightyear and many others. Brainport Eindhoven has a internationally leading position in the field of system engineering, semicon, micro and nanoelectronics, AI, integrated photonics and additive manufacturing. What is being developed in Brainport leads to the growth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ar beyond the region thanks to chain coope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South-Holland: The South Holland ecosystem includes companies as KPN, Shell, DSM and Janssen Pharmaceutical, large and innovative SMEs and leading educational and knowledge institutions that have more than Invest €3.3 billion in R&D. Bearing Cores are formed by the top campuses of Leiden and Delft, good for more than 40,000 innovative jobs, the port-industrial complex (logistics & energy), the manufacturing industry cluster on maritime and aerospace and the horticultural cluster in the Westland. South Holland trains thematically key technologies such as biotech, quantum technology and AI. Twente: The green, technological top region of Twente has a long tradition of collaboration in triple helix bandage. Technological innovations from Twente offer worldwide solutions for the large social issues. Work is in progress to key technologies such as AI, photonics, robotics and nanotechnology. New technology is applied in sectors such as medtech, the manufacturing industry, agriculture and circular value chains, such as textiles and construction. Being for Twente start-ups and SMEs of great importance to the jobs of tomorrow. Connect these companies technology from Twente with knowledge regions and OEMs, at home and abroad. Wageningen in FoodValley: Wageningen Campus is a global agri-food magnet for startups and corporates by the national accelerator StartLife and student incubator StartHub. FoodvalleyNL also connects with an ambitious 2030 programme, the versatile ecosystem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 including through the WEF European food innovation hub. The campus offers guests and the 3,000 private R&D put in an interesting programming science, innovation and social dialogue around the challenges in agro production, food processing, biobased/circular, climate and biodiversity. The Netherlands succeeded in industrializing in logistics countries, but it is striving for sustainable growth by creating an innovative ecosystem through a regional industry-academic research model. In particular, the Brainport Cluster, centered on the high-tech industry, pursues regional innovation and is opening a new horizon for existing industry-academic models. Brainport is a state-of-the-art forward base that leads the innovation ecosystem of Dutch manufacturing. The history of ports in the Netherlands is transforming from a logistics-oriented port symbolized by Rotterdam into a "port of digital knowledge" centered on Brainport. On the basis of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industry-academic cluster model linking the central government's vision to create an innovative ecosystem and the specialized industry in the region serves as the biggest stepping stone. The Netherlands' innovation policy is expected to be more faithful to its role as Europe's "digital gateway" through regional development centered on the innovation cluster ecosystem and investment in job creation and new industries.

Innovation Capacities of Jinju's Silk Industry Cluster and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Policy (진주 실크산업 집적지의 혁신 역량과 활성화 정책 평가)

  • Kim, Eun-Ju;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4
    • /
    • pp.388-399
    • /
    • 2012
  • Jinju City has been often called as the largest agglomeration of the silk industry in Korea. However Jinju's silk industry has experienced a continuous decline in employment and to production outputs after the late 1980s. This paper aims to explore innovation capacities of Jinju's silk industry and evaluate the government policy to promot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ilk industry in Jinju.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ws that the major sources of innovation tend to come from customer firms in the Capital area and the innovation supporting agency and universities in Jinju City. Second, local silk production firms tend to by and large evaluate that the industrial policy projects to promote the competitiveness of Jinju's silk industry have been successful, particularly in terms of a joint branding project and the marketing support program.

  • PDF

Evaluating Strategies for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전략과 과제)

  • Choo, S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1
    • /
    • pp.23-33
    • /
    • 2004
  • The Roh Moo-hyun Government of Korea with highest fierily establishes policy framework and measures to accomplish the goal of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With the vision "constructing a county in which every region provides high quality of life with its own specificity" and basic strategy "self-sustained localization", the policy framework is geared to economic aspects of development rather than cultual or social aspects. Subsequently, policy measures are also focused on such economic tools as regional innovation system, strategic industry, or industrial cluster. This paper suggests that future policy of balance development should set clear definition of balanced development, be based on a though evaluation of the Bast policy measures, and draw several fresh ideas which match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ese policy directions should be given higher power of practice with efficient organizational support.

  • PDF

지역산업진흥과 지역기술지도와의 연계

  • 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06a
    • /
    • pp.33-45
    • /
    • 2005
  • 현재 지역산업진흥계획이 수립되기까지 수도권 억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법령들이 수립${\sim}$제정되어 왔으나, 그 성과는 미흡하였고, 첨단산업과 지역의 발전을 함께 추구한 과학기술 집적지 조성정책도 연구기관과 산업체간의 기술개발에 대한 수급의 불일치, 지역별 특성화와 차별화 미흡, 사업간 연계성 부족 등으로 성과는 미약하였다. 중앙 부처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관련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전개해 왔으나,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정책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투자 효율성이 저조하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2002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투입요소 증대에서 지역 산업경쟁력 강화로의 전환,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계획입안 등에서 기존의 정책들과 차이를 보인다. 지역산업정책의 최종목표는 '지역균형발전'이며, 중간목표는 '지역산업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으로 '3개 권역별 전략산업 집중 육성'과 '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전략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정책수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전략 하에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들을 검토하고 평가의 목적에 맞게 유형화함으로써 동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의 강화이며, 그 기본전략으로는 지자체의 역할제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 RIS)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각 조직 간의 역할분담이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재원 및 특정분야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각각 소규모여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꾀할 수 없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일이 걸리고 있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괄 추진기구가 없어 효율적인 지역산업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예산 및 전담조직, 산업경제예산 및 전담 조직의 부족과 미 정착으로 독자적인 지역과학기술정책이나 지역산업정책은 물론이고 지역혁신정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나,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내 각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중개자 역할을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혁신체제의 중심기관으로 중개기관과 협력 프로그램에 의한 플랫폼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 PDF

Spatial Concentra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South-East Region of Korea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공간 집중과 입지 특성 : 동남권을 중심으로)

  • Lee, Jong-Ho;Ryu, Tae-Yo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5
    • /
    • pp.521-535
    • /
    • 2008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south-east region of Korea. The geography of the Korea's shipbuilding industry illustrates an absolute spatial concentration into the south-east region, including Gyeongnam, Busan and Ulsan. In view of the type of agglomeration, it is argued that the south-east region's shipbuilding industry has been evolved as an Advanced Hub & Spoke cluster, which is characterized by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between a couple of gigantic customer firms and the majority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 firms. A survey on the locational factors of the firms presents that traditional locational factors, such as physical infrastructure, land, labour and industrial linkages, are more important than new economic geographical locational factors, such as knowledge, learning, innovation and networks. According to firm's evaluation of the Gyeongnam region's locational environments for the shipbuilding industry is, however, rather different to the result of firm's location decision factors. The shipbuilding firms in Gyeongnam see that the Gyeongnam region retains regional advantages in terms of agglomeration economies, geographical proximity to customers, the infrastructure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n the contrary, firms recognize that the Gyeongnam region suffers from the lack of R&D and production workforce and a weak basis of industry-university -government networks.

  • PDF

과학영재 선발과정의 분석 및 개선안 제안 -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선발과정 중심으로 -

  • Gang, Hyeon-A;Jo, Gyu-Seong;Kim, Ja-H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239-248
    • /
    • 2005
  • 이 논문은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아 판별과정을 분석해보고, 과학영재교육원의 학생 선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과학, 수학과 관련된 창의적 문제의 지필평가 성적이 선발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다. 지필평가 단계에서 지망분야에 관계없이 과학, 수학 및 창의력검사를 모두 치러야 하는 교육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점수 활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점검하였다. A 교육원의 경우 학생 선발은 다단계 평가를 원칙으로 하고 있었으며, 1단계 지필평가에서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라는 세 과목 시험의 합산점수로서 선발하고 있었다. 이 교육원의 ○○년도 중등과정 응시자 276명을 대상으로 합격자와 불합격자의 지필평가 점수를 분석하여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시행에 오류가 없었는지 점검하였다. 또 이들의 합산에 의한 선발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수학, 창의력검사의 상관도분석에서 과학은 수학 및 창의력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수학과 창의력검사는 독립적으로 분석되었다. 또 이들의 합산에 지원분야별 배점으로 계산한 선발은 본래의 취지, 즉 과학, 수학, 창의력에서 모두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의도대로 진행되었으나, 판별분석 결과 합격과 불합격자 판별에서 88.1%의 정확도를 보여 다소 오류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당년도에 출제된 문제의 난이도 및 시험 과목별 평균점수 차를 고려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파악되어져 원점수 대신 표준점수로 변환하여 오류를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 자체와 직접 관련되는 영역으로는 좌반구의 측두엽과 전두엽 부분이 관찰되었다. 특히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시 나타나는 형태점화 양상과 관련된 대뇌영역으로 발견된 브로카 영역에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

  • PDF

태양계의 물: 기원과 진화

  • Choe, Byeon-Gak;Choe, Hye-Rim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3-8
    • /
    • 2005
  • 지구는 현재 태양계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하는 유일한 천체이다. 하지만, 고체 또는 기체 상태의 물은 태양계의 다른 행성이나, 위성, 소행성, 혜성 등에도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다. 풍부한 액체 상태의 물은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의 변화, 해류의 이동, 퇴적 및 침식 작용, 화산활동과 같은 여러 지구과학적 현상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생명의 탄생과 진화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현재 지구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지구의 조성 및 크기 등과 관련된 지구 표면의 물리-화학적 조건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조건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지구보다 태양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고, 두터운 이산화탄소 대기를 갖고 있어 표면의 온도가 매우 높은 금성의 경우 H2O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지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희박한 대기를 갖고 있는 화성의 경우에는 현재 H2O가 고체 즉 얼음의 형태로 존재한다. 태양계를 탄생시킨 태양계 성운에서는 압력이 너무 낮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없으며, 고온에서는 기체 상태로 매우 낮은 저온에서는 얼음의 형태, 또는 함수 광물 내에 포함되어 존재할 수 있다. 지구와 같은 규모의 행성은 비교적 중력이 작아 태양계 성운의 기체를 거의 끌어들이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 지구에 존재하는 물은 대부분은 고체 상태로 지구에 집적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구가 탄생한 위치에서 초기 태양계의 온도는 얼음이 형성되기에는 너무 높았기 때문에 좀 더 먼 곳에서(현재의 목성 위치보다 바깥쪽)에서 생성된 얼음 즉, 혜성이 태양계 안쪽으로 들어와 지구에 물을 공급했거나 함수광물을 포함하고 있는 소행성(예를 들어 CI chondrites와 같은 조성의)이 물을 가져왔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서의 활성화는 어미 변환과 관련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산출시 관련되는 articulation, motor coordinate관련 영역으로 추정되고, 측두엽의 활성화는 형태소, 의미 관련 지식의 data base로 추정된다. 또한 우반구 전두엽 부분에서 관찰된 활성화는 억제관련 영역으로 짐작된다.러한 동물실험이 그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동성향 및 기억의 종류에 따른 약물효과의 차이는 기억과 관련된 질병인 알츠하이머 환자에 있어 개개인에게 맞는 적절한 특징적인 치료약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 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