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적 인적자본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Regional Innovative Human Capital in China

  • Sangwook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7
    • /
    • pp.221-229
    • /
    • 2024
  • As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increases, interest in human capital is also increasing. This paper estimates and compares innovative human capital by region for 31 regions in China between 2002 and 2019. The innovative human capital in this paper consists of education-type human capital, thesis-type human capital, and patent-type human capital.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weight of patent-type human capital and paper-type human capital is higher than that of education-type human capital. This is because patents and thesis will have a relatively greater impact on a region's innovation capacity than simple education backgroun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China's regional innovative human capital shows regional disparities. Second, innovative human capital by region is changing dynamically. Third, regional concentration is accelerating, especially in Beijing, Shanghai, Guangdong, and Jiangsu.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innovative human capital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 Study on Characters of Human Capital Affecting Innovation Performance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의 특성들에 관한 연구)

  • Kim Dong-Young;Han K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361-37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자본의 증대를 위해선 인적자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선결요건이며 조직의 혁신성과는 인적자본으로부터 창출된다는 가정 하에, 조직의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의 핵심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의 요인으로는 개인의 역량과 태도, 만족도 및 유지도의 네 가지 요인을, 연구개발 조직에서의 혁신 성과는 특허와 논문, 상용화 및 우수기술개발 실적을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개인의 역량과 태도, 만족도 및 유지도는 특허 실적과 논문 실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허와 논문 실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 등 네 가지 요인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개인의 태도와 만족도는 상용화 실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역량과 유지도는 상용화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역량과 태도 및 만족도는 우수기술개발 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개인의 유지도가 우수기술개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구개발조직에서의 혁신 성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혁신 성과별로 개인의 역량과 태도, 만족도 및 유지도에 대한 체계적이며 차별화 된 관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s and Innovative Behaviors -Focused on the Hotel Firms- (인적자본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호텔기업을 중심으로-)

  • Ha, Yong-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6
    • /
    • pp.440-449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human capitals, organizational commitments, innovative behaviors of employees in a deluxe hotel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human capitals have a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s, and innovative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directly influence to innovative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have a mediating effect partially between human capitals and innovative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 direc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s on accumulating human capitals in organization an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of employees on competing environments in the hotel industry for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Alliances Influence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Human Capital (전략적 제휴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본(Human Capital)의 조절역할)

  • Lim, Eunche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3
    • /
    • pp.39-46
    • /
    • 2019
  • Research has shown that alliances with external partners are valuable to foster internal R & D efforts. However, it is not well known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strategic alliances to create innovative outcomes.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of strategic alliances and analyzes the role of human capital in the impact of strategic alliances on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absorptive capacity of human capital affects firm innov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strategic alliances. In the analysis using 2,205 Korean venture firm data, strategic allian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the moderating role of human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allianc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This implies that the ability to internalize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red from external partners into the firm is important.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managers who wan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c alliances b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of strategic alliances and human capital.

The Empirical Study on the Human Capital and Technology Progress Inequality (인적자본과 기술진보불균등성에 관한 실증분석)

  • Cho, Sang-Sup;Yang, Young-Seok;Cho, Byung-S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457-470
    • /
    • 2009
  • This paper applies a income mobility method to technology inequality using conditional human capital stock and shows their empirical results during the 1980 to 2000. There are several interesting empirical results coming out this analysis. Among the results, the paper turns out that world technology inequality mobility measurement is significantly higher for rapid formation of human capital stock countries than for slow formation of human capital stock countries.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that technology policy need to focus on improving the public education structure to recover the rate of return to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to speed up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ployment in Korea.

  • PDF

The Influence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in Firms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심리적 자본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Kwon, Joong-Saeng;Roh, Soo-K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3
    • /
    • pp.105-115
    • /
    • 2014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310 sheets of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the companies in 5 cities, including Seoul and Pohang and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 The results show followings: First, the human factor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innovative behavior and th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structural factor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psychological capital bu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innovative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a significant partial effect between human factor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nd full effect between structural factor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some guideline could be used in promoting learning organization and making implementing strategy.

Classification of OECD Countries Based on National AI Competitiveness: Employing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국가 AI 경쟁력에 따른 OECD 국가 유형 분류: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중심으로)

  • Shin, Seung-Yoo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31 no.2
    • /
    • pp.39-64
    • /
    • 2024
  • This study assesses the national AI competitiveness of 38 OECD countries with focus on AI human capital, AI infrastructure, and AI innovation capacity. Utilizing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method, these countrie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distinct types based on their national AI competitiveness levels, leading to the derivation of pertinent implications. The analysis identified a category termed "AI Leading Country" consisting of North American, Western European, and Nordic countries, along with several Asian nations including South Korea. Remarkably, the United States demonstrated dominant global national AI competitiveness, achieving the highest fuzzy scores across all three evaluative factors. South Korea was classified as an "AI Leading Country" primarily due to its superior AI infrastructure, but its performance in AI human capital and AI innovation capacity was found to be moderate relative to other analyzed nations; thu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sustained focus on the accumulation of AI human capital and bolstering of AI innovation capacit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ntellectual Capital in Fashion Companies (패션기업의 지적자본 개념구조)

  • Son, Jin Ah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 no.4
    • /
    • pp.27-43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struct of intellectual capital in a fashion company. To this end, the mixed research methods that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wer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was first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16 experts working in the fashion industry, and a questionnaire was then given to 121 fashion companies in order to fulfill the quantitative research portion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ntellectual capital in a fashion company was revealed. A fashion company's intellectual capital is composed of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Human capital has three components: a chief executive officer (CEO), members, and a human resource management capability. Structural capital has four components: organizational culture, information management capability, merchandising capability, and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Relational capital has three components: customer equity, marketing capability, and relationship management capability. Second,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ntellectual capital was confirmed via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All of the components of intellectual capital have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인적자본(人的資本)과 제조업(製造業) 무역구조변화(貿易構造變化): 헥셔올린 구축가설(驅逐假說)을 중심으로

  • Han, Jin-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0 no.1_2
    • /
    • pp.231-290
    • /
    • 1998
  • 본고에서는 한 국가가 요소부존도의 독특성을 상실함으로써 교역조건의 악화 및 후생손실을 겪을 수 있다는 '헥셔올린 구축가설'을 이론적 토대로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제조업의 구조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당면하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려 하였다. 그 결과 그간 중고등교육 노동력의 급속한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소를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부문(전기 전자, 기계 등 일본가 같은 선진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부문)의 비교우위 획득속도가 매우 더디었을 뿐 아니라, 이 부문의 상대가격이 중장기적으로 하락하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이 요소부존도의 독특성 상실에 기인하는 한 이는 헥셔올린 구축가설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숙련산업(섬유 의류 등)은 중국 및 동남아의 등장 이후 비교우위를 급속히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부문에서 수입물가대비 수출물가가 오히려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은 헥셔올린 구축가설이 의미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종합적으로 반숙련 및 숙련(화학 등)산업에서의 상대가격 및 교역조건(수출물가/수입물가) 하락현상이 두드러져 제조업 전체로는 80년대 후반 이후 교역조건 악화현상이 일어났다고 판단된다. 교역조건의 악화현상은 우리가 만든 물건을 값싸게 수출하고 값비싼 물건을 수입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후생의 손실을 의미한다. 동태적으로도 반숙련 및 숙련산업에서의 상대가격 및 교역조건 악화는 중등 및 고등교육인력의 상대임금을 하락시켜 인적자본의 축적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이 본고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요소부존도의 독특성 상실에 있다면 이에 대한 대책은 차별화 및 혁신능력을 보유한 양질의 인력양성과 같은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고가 물적자본이나 기술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한 한 구체적 정책적 함의의 도출에는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Progress on Growth, Employment and Distribution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에 대한 기술진보의 파급효과)

  • Im, Yang-Taek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220-267
    • /
    • 2005
  • 본 연구의 분석목표는 순요소증가형 CES 생산함수를 실증적으로 추정함으로써 한국 제조업부문의 기술변화의 유형을 규명하고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에 대한 기술진보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를 동시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기술경제 패러다임의 시각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한국 제조업부문의 기술변화의 유형은 Hicks형 비(非)중립적인 자본사용적(B(t)>0) 즉 노동절약적 기술진보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 잠재적 고용수준은 감소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Hicks형 중립적 기술진보를 나타내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gamma}$)은 감소하였던 반면에, 비(非)중립적 기술진보를 나타내는 요소간 대체탄력도(${\sigma}$)와 자본집약도(${\delta}$)는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노동(L)이 자본(K)으로 광범위하게 대체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본투입(K)이 노동투입(L)보다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증가 (K/K > L/L 즉 k/k > 0)되었다. 이 결과, 소득분배구조가 악화 (S/S< 0)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경제성장의 한계 봉착, 대량실업의 폭발, 계층간 갈등의 심화를 초래한 요인은,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를 동시적으로 추구하는 산업 ${\cdot}$ 기술경제정책을 일관성있게, 또한 과감히 추진하지 않았던 결과, 노동사용적 중소기업의 몰락, 노동의 생산효율성 증진을 위한 인적자본 투자의 미흡, 자본의 생산효율성 증진을 위한 자본절약적 기술진보의 저조, 총요소 생산성 증가의 부진, 만성적인 인플레이션에 의한 실질 임금수준의 하락 및 실물 자산가치의 상승 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의 조화는 바로 노동효율 증가형 기순혁신이며, 이를 위한 인적자본에의 투자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가 기술경제 패러다임(techno-economic paradigm)의 시각에서 제시하는 한국경제의 성장 ${\cdot}$ 고용 ${\cdot}$ 분배를 위한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은 동태적발전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 기초과학연구능력 확충 ${\rightarrow}$ 소화 ${\cdot}$ 흡수 ${\cdot}$ 개량 ${\rightarrow}$ 토착화 능력의 배양 ${\rightarrow}$ 자체기술개발, 선진기술 도입, 산업간 및 산업내 기술확산, 국제기술협력 ${\rightarrow}$ 기술혁신의 촉진 ${\rightarrow}$ 총요소생산성과 기업경쟁력(자원 및 역량, 프로세스 경쟁력,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제고 ${\rightarrow}$ 가격경쟁력(임금, 금리, 물류비용, 환율 등)과 비(非)가격경쟁력(디자인, 에프터서비스, 품질, 운송 등)의 제고 ${\rightarrow}$ 국가경쟁력의 제고 ${\rightarrow}$ 국제수지 흑자 ${\rightarrow}$ 성장 ${\rightarrow}$ 물가 및 고용 안정 ${\rightarrow}$ 분배 ${\rightarrow}$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