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헬스2.0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헬스 2.0 기반의 한의정보 프레임워크 모델 설계 (Design Korean Medicine Health Information Model with Health 2.0 Framework)

  • 예상준;양창섭;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07-814
    • /
    • 2013
  • 건강관리 및 만성질환관리에 강점을 보이는 한의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변화를 수용한 새로운 한의정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한의학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헬스2.0의 개념과 서비스의 특징을 분석하고 국내의 한의정보 서비스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증된 의료정보를 유통하여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의료정보의 가치를 높이며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통합하고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고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 있는 한의 헬스2.0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기대확신모형을 적용한 스포츠O2O서비스 App의 지속적 사용의도 연구 (An Intention of Consistent Use of Sport O2O Service App Based o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 주형철;김종희;권형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2호
    • /
    • pp.195-212
    • /
    • 2018
  • O2O란 'Online to Offline'의 약자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새로운 마케팅을 뜻한다. 최근 건강과 관련된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이 융합한 헬스케어인 스포츠O2O서비스가 미래의 생존전략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포츠O2O서비스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대확신모형을 기반으로 헬스리터러시와 혁신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헬스리터러시는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성은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확신은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확신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용성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만족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Acceptance Intention of Wearable Healthcare Devices: Focusing on the UTAUT2 and Innovativeness

  • Jin, 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29-143
    • /
    • 2020
  • 본 연구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사용자들의 수용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개인 혁신성에 따른 수용의도를 살펴보고 이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 Extended UTAUT) 이론에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른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PLS 3.0을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개인 혁신성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의 성과기대와 노력 기대, 촉진조건,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당 기기를 수용하고자 하는 태도에 성과기대, 노력기대,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를 수용하고자 하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헬스용 요분석기의 정색반응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rimary Color Reaction System of Urine Analyzer for U-health)

  • 이상식;박원엽;구지현;이충호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9-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유헬스용 요분석기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요분석 스트립의 색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정색반응 전자회로를 개발하였다. 정색반응 시스템은 컴퓨터, 정색반응 전자회로, 트레이장치, 센서조합체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하였다. 요분석 스트립의 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칼라센서가 사용되기 때문에, 표준 색상지를 이용하여 칼라센서의 측정값과 RGB값 사이의 선형방정식을 수립하였다. 빨간색(R)의 회귀방정식은 $Red=0.2414{\times}x$(센서 값) - 3.0042($R^2=0.9801$)로 나타났고, 녹색(G)의 회귀방정식은 $Green=0.2857{\times}x$(센서 값) - 6.4251($R^2=0.9868$)로 나타났고, 파란색(B)의 회귀방정식은 $Blue=0.2114{\times}x$(센서 값) - 6.2743($R^2=0.9837$)으로 나타났으므로 표준색상지와 칼라센서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정색반응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 성분 중 적혈구,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케톤, 단백질의 5가지 성분에 대하여 각기 다른 농도로 표준시약을 제조하여 정색반응을 측정하였다. 각 시약의 농도에 따른 칼라센서의 정색반응 결과가 통계적으로 타당한 결과를 보였고 유헬스용 요분석기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Health 시스템의 수용 태도에 대한 건강증진모형의 요인 영향: 남·녀 조절효과 중심 (Effect of HPM Factors on Adoption Attitude of u-Health System: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양영배;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13-22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HPM)을 활용하여 유헬스 시스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는데 있고, 또한 제시된 연구 모형에서 성별 변수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건강증진모형에 근거하여 제시된 연구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Smartpls 버전 2.0을 활용하여 부분최소자승법(PLS) 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재적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모형에서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 태도에 대해 29% 정도의 설명력을 보여주었고, 경로에서 자기 효능감과 인지된 이점이 그 태도에서 유의한 통계적 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성별 변수의 조절 효과와 관련하여,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태도 측면에서 자기 효능감을 높일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관심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모바일 헬스 기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 (Analysis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mobile 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college students)

  • 강민아;이수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429-442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건강행위 실천 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사용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D광역시 소재 2개의 간호대학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는 건강 앱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처방과 정확한 측정을 원하였고, 건강관리를 하는 사람들과 의견, 정보교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알맞은 운동법에 대한 콘텐츠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게임화 요소 선호도는 목표, 보상, 경쟁 순이었다. 웨어러블 기기의 적정 가격은 1~5만원이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은 '칼로리 소모량 확인' 기능을 선호하였다. 웨어러블 기기 및 앱 사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대사증후군 지식정도 점수가 높았으나, 집단에 따른 유의한 점수 차이는 없었다. 생활습관 관련 건강행위에 있어서는 웨어러블 기기 및 앱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 집단의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대상자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는 모바일 헬스 기반의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웨어러블 기기 사용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충분히 모집하여 사용자 유형별 수요와 특성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구체적인 후속연구와 사용자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고분자 미셀과 경피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파슬리 추출물의 피부흡수 효과 (Skin Permeability of Petroselinum Crispum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s and Epidermal Penetration Peptide)

  • 안규민;박수인;김민기;허수현;신문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슬리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이용하여 파슬리 추출물에 대한 피부흡수 효능을 검토하는 것이다. 항산화 측정방법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121.68{\pm}2.49mg/g$이며 파슬리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는 $72.42{\pm}1.52mg/g$이었다. 농도 2,000 mg/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90.48{\pm}0.46%$이고 열수 추출물의 경우 $83.92{\pm}0.13%$로 나타났다. 농도 800 mg/L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91.08{\pm}0.14%$로 열수 추출물의 값($69.63{\pm}0.55%$)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SOD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고, 모든 농도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SOD 활성능이 파슬리 열수 추출물의 값보다 높았다. 16,000 mg/L의 농도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128.45{\pm}0.70%$의 가장 높은 SOD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능 실험 결과에서도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2,000 mg/L에서 가장 높은 $99.99{\pm}1.54%$의 elastase 저해능이 나타났다. 난용성 문제와 피부 흡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과 1% 세포투과 펩티드(6개 알르기닌, R6)를 함유한 40.01 nm의 입자크기를 갖는 PCL-PEG 고분자 미셀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24시간 동안 피부흡수 실험 결과에서, 총 축적된 beta-carotene의 투과량은 파슬리 추출물만 적용한 경우 $37.99{\mu}g/cm^2$을 나타내었지만,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께 적용한 경우의 파슬리 추출물의 투과량은 $68.38{\mu}g/cm^2$으로 1.8배의 경피투과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웹 2.0 기반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eb 2.0)

  • 정필성;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C호
    • /
    • pp.321-328
    • /
    • 2012
  •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소형 컴퓨팅 장치로서 기존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플랫폼의 특성에 따라서 호환성이 떨어지기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해당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에 맞게 다시 개발해야 하는 제약사항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표준 웹 개발 언어인 HLTML5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인 jQuery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서 호환성을 가지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모바일 플랫폼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에서도 호환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가래떡 노화 억제에 대한 당류 물질의 효과 (Effects of Carbohydrate Materials on Retarding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20-1325
    • /
    • 2007
  • 가래떡의 노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분당, 트레할로스, 프락토올리고당(95%), 이소말트, 헬스리고 및 갈락토을리고당(50%) 등 6종류 당류 물질을 쌀가루 기준으로 0, 1, 5 또는 10%의 농도로 첨가하여 쌀가루의 pasting 특성을 측정하였고, 가래떡을 제조하여 $5^{\circ}C$ 냉장 보관하면서 0, 2, 4, 6, 22, 24, 28및 30시간 경과 후 조직감의 특성 중 경도의 변화를 Avrami 방정식에 따라 노화 특성 분석을 하였다. 쌀가루의 pasting특성에서 전분 노화와 관계가 있는 break-down, consistency는 무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값이 낮았고 대부분 첨가물에서 노화억제 효과가 있었다. Avrami방정식에 따른 노화 특성 분석 결과는 실험에 사용한 첨가물 중 프락토올리고당(95%) 10%와 트레할로스 10% 첨가 수준에서 Avrami(n)지수 값이 1.977과 2.004로 낮았고, 헬스리고 1% 첨가 수준에서 3.297로 가장 높았다. 노화의 속도를 나타내는 시간상수(1/k)는 트레할로스 10% 첨가된 떡은 238.10으로 노화의 진행 속도가 가장 낮았고, 프락토을리고당(95%) 5%와 헬스리고 1%군은 무첨가군에 비해 그값이 낮아 노화속도가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첨가군에 비해 노화 진행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난 프락토을리고당(95%) 5%군과 헬스리고 1%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실험군은 노화속도를 늦추는데 효과적이었다.

당류 물질 첨가 가래떡의 텍스처 특성 (Texture Properties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with Addition of Carbohydrate Materials)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205-1210
    • /
    • 2007
  • 당류 물질 미분당, 트레할로스, 프락토올리고당(95%), 이소말트, 헬스리고 및 갈락토올리고당(50%)을 쌀가루 기준 0, 1, 5 또는 10% 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가래떡을 $5^{\circ}C$ 저장 0, 2, 6, 24 및 30시간 후 가래떡의 텍스처의 변화를 측정 분석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노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헬스리고 1% 첨가한 가래떡의 경우를 제외하고 부착성과 응집성은 다른 실험군들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경도는 대부분의 당류 물질에서 무첨가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으로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주었으나 프락토올리고당(95%) 5%의 경우 무첨가군과 큰 차이가 없었고 헬스리고 1% 첨가한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후 무첨가군에 비해 경도가 증가하였다. 당류 물질 첨가 가래떡의 $5^{\circ}C$ 저장 2시간과 24시간 후 관능적 묘사특징 분석에서는 부착성, 응집성, 쓴맛 및 떫은맛의 경우 실험군과 무첨가군을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도는 실험군이 무첨가군에 비해 낮은 경향, 단맛은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본 실험에 사용한 물질 중에서 프락토올리고당(95%) 5%와 헬스리고 1% 첨가를 제외한 다른 모든 당류 물질 실험군은 가래떡 제조 시 5% 또는 10% 수준으로 첨가하였을 때 노화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