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허용성

검색결과 2,955건 처리시간 0.04초

인공지능 모델에 의한 지하수위 모의결과의 적절성 판단을 위한 허용가능한 예측오차 범위의 추정 (Estimation of the allowable range of prediction errors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groundwater level simulation results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신문주;문수형;문덕철;류호윤;강경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7호
    • /
    • pp.485-493
    • /
    • 2021
  • 지하수는 지표수와 함께 용수로 사용가능한 중요한 수자원이며 특히 섬 지역의 경우 전체 수자원 중 지하수의 이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안정적인 이용을 위해 지하수위 변동성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지하수위 변동성의 예측 및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하수위 예측결과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제시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허용가능한 지하수위 예측오차의 범위를 제시하기 위해 과거 20년 동안 전 세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한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측지하수위의 변동성이 커질수록 인공지능 모델에 의한 지하수위 예측오차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관측지하수위 최대변동폭과 예측오차 간의 상관성과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평가지수들을 고려하여 평가기준을 산정하였으며, 인공지능 모델에 의한 지하수위 예측결과의 적절한 평가기준은 도출된 선형회귀식에 의한 평균제곱근오차 또는 최대오차 이하이거나, NSE ≥ 0.849 또는 R2 ≥ 0.880 이다. 이 허용가능한 오차범위는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결과의 적절성 판단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수직구 굴착시 전자뇌관을 이용한 Deck-Charge 발파 시공사례 (Application of Electronic Deck Charge Blasting Method to a Vertical Shaft Excavation)

  • 김재홍;김희도;이준원;김갑수;손영복;김재훈
    • 화약ㆍ발파
    • /
    • 제31권1호
    • /
    • pp.64-75
    • /
    • 2013
  • 본 사례는 "수서~평택 고속전철 ${\bigcirc}$-${\bigcirc}$공구 건설공사"로서 공사구간 내에 아파트 등이 매우 근접하여 위치하며, 설계도서에 근거한 다단식 전기발파의 적용은 민원 등으로 인한 공사기간 지연과 더불어 공사관련 민원이 예상되어 공사비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안 굴착공법으로 당 현장의 진동허용기준(0.2cm/s, 아파트)를 준수하고 공사기간을 합리적으로 단축시켜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전자 데크발파 공법을 검토하였다. 시험시공 결과 원 설계인 전기 다단 발파에 비하여 현저히 시공성을 향상시켰으며, 발파 진동 또한 현장 내 진동허용기준(0.2cm/s)이하의 안정적인 수준으로 계측되었다. 특히 터널용 전자뇌관 eDevII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에 편의성을 더했으며, 전기적으로 안전해 수직구 발파작업 환경에서 전기적인 위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스포츠 멀티 인공환경 시스템을 위한 다중압력 일체형 챔버의 구조안전성 평가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Multi-Pressure Integrated Chamber for Sport-Multi-Artificial Environment System)

  • 이준호;강상모;채재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4-328
    • /
    • 2019
  • 스포츠를 위해 제공되고 사용되는 몇 가지 전용 챔버가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스포츠 멀티 환경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올인원 챔버는 개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다중 인공 환경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다중압력 (양 / 대기 / 음압) 일체형 챔버를 설계하였다. 키가 큰 사용자를 위해 공간을 넓힌 새로운 챔버 디자인을 제시 한 다음 최대 응력과 구조적 안전성검토를 통하여 챔버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목표로 하는 허용 압력 조건하에서 쉘과 출입구의 접합부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했으며, 챔버 재료의 허용응력을 기준으로 하여 구조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중 압력 일체형 챔버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 양압과 음압 조건에 대한 최대 응력이 챔버 재료의 허용응력 보다 훨씬 작은 값이 발생되었으며, 구조안전성 평가 결과 안전율 2 이상을 만족하여 챔버의 최종 시제품의 설계가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난유도자 수와 배연설비를 고려한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 평가 (Egress Safety of Nursing Hospital Considering Egress Guides and Smoke Exhaust System)

  • 최승호;할리오나;허인욱;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64-71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하여 배연설비 유무을 변수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요양병원의 피난허용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Pathfinder를 활용하여 재실자의 특성과 피난지연시간을 고려한 요양병원의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피난요구시간을 산정하였다. 피난허용시간과 피난요구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피난유도자수, 피난지연시간, 배연설비 유무에 따른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피난지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상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피난유도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피난요구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FPA에서 제시하는 용량을 갖춘 배연설비가 확보된 경우 피난허용시간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사상자의 수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재료의 인증, 동등성 및 수락시험 (Material Qualification, Equivalency, and Acceptance Test for Aerospace Composite Materials)

  • 이호성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6
    • /
    • 2006
  •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우주항공 부품을 설계할 때 국내는 물론, 미국을 비롯한 우주항공선진국의 감항규정에서 민간과 군용 모두 통계적으로 산출된 값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여 시험 비용 및 시간이 큰 문제가 되어왔다. 최근 미국 NASA/FAA에서 시험 개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통계적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허용값 산출방법을 AGATE 프로그램을 통해서 개발하였다. 특히 이미 인증된 재료를 다른 사업에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동등성 시험(Material Equivalency Test)은 국내의 사업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복합재료의 특성을 공유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재료특성을 정확히 관리할 목적으로 재료 동등성 및 수락시험 절차를 설명하고, 예로서 국내에서 개발한 고온용 탄소복합재료의 설계허용값을 산출하였다.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모의결과 적절성 판단을 위한 허용가능 예측오차 범위 제안 (Proposal of allowable prediction error range for judging the adequacy of groundwater level simulation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 신문주;류호윤;강수연;이정한;강경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9-449
    • /
    • 2022
  • 제주도는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므로 지하수위의 예측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제주도의 지층은 화산활동에 의한 현무암이 겹겹이 쌓여있는 형태를 나타내며 육지의 지층구조와 매우 다른 복잡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주도 지하수위의 예측은 매우 난해하며, 최근에는 딥러닝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지하수위를 예측하는 연구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인공지능 모델들이 지하수위를 적절히 예측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예측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오차가 허용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의 과거 20년 동안 관련 연구결과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오차는 지하수위 변동성이 큰 지역일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지하수위의 변동형태가 크고 복잡할수록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성능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지하수위 최대변동폭과 평균제곱근오차 및 최대오차와의 관계를 선형회귀식으로 도출하여 허용가능한 예측오차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Nash-Sutcliffe 효율성지수와 결정계수를 분석하여 선형회귀식에 의한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한 지하수위 예측결과의 적절성 판단기준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공지능 예측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청소년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olescent Sexual Media Literacy and Sexual Permissiveness on Gender Sensitivity)

  • 권희정;신수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2-3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 sexual media literacy and sexual permissiveness on gender sensitivity and to provide evidences useful in developing a sex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promote gender sensitivity among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derived from 250 adolescents' responses to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Gender sensitivity according to gend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6.54, p=0.001). Gender sensi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media literacy (r=0.36, p<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permissiveness (r=.22, p<.001). Sexual media liter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permissiveness (r=-0.39, p<0.001).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on media literacy were gender (β=0.33, p<0.001) and sexual depiction scene (β=0.24, p<0.001). Conclusion: Gender and sexual media literacy influenced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Therefore, when developing a school-based sex education program, sexual media literacy should be included as a key concept; moreover, gender-specific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Furthermore, teaching methods should enhance media literacy related to sexual depiction scenes and promote safe and healthy sexual permissiveness.

여중생의 성태도, 성역할 정체성 및 성허용성 관계 (Relationship of Sexual Attitude, Sexual Identity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Junior High School Girls)

  • 김경희;김수강;전미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3-360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sexual identity, sexual permissiveness in girls in junior high school,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87 female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s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instruments were the Sexual Attitude Scale by Kim (1997), the Sexual Identity Scale by Jung (1990), and the Sexual Permissiveness Scale developed by Reiss (1964).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1.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and Tukey's multiple comparison.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r=.440, p-0.000). Sexual ident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r=.180, p=.036; r=.222, p=.014) with both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but maleness was the only positive correlation (r=.258, p=.014) with sexual permissiveness, no sexual specialization was the only characteristic that had a positive correlation (r=.188, p=.046) with sexual attitud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ssessment of these factors and treatment fitted to individual needs are important for correct sexual culture. There should be repeated research on various population groups. Moreove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arry out factor-related theoretical researches on several variables related to sex through multilateral literature reviews.

  • PDF

손상허용해석을 위한 균열성장모델 교정 (Calibration of crack growth model for damage tolerance analysis)

  • 주영식;김재훈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7-77
    • /
    • 2002
  • This paper introduces the calibration results of the fatigue crack growth models for damage tolerance analysis of the aircraft structures. Generalized Willenborg model and Wheeler model are calibrated with experimental data tested under the load spectrum of a trainer. The retardation factors such as, shut-off ratio in Generalized Willenborg model and shaping exponent in Wheeler model, are evaluated for aluminum alloys AL2024-T3511, AL7050-T7451 and AL7075-T73511. It is shown that the retardation effect of the crack growth rate depends on the yield strength of material and the maximum stress in the load spectrum. Generalized Willenborg model and Wheeler model give satisfactory prediction of crack growth life but the calibration of the experimental parameters with test is required.

그룹화를 통한 이동 에이전트 기란 모바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A Mobile Agent-based Mobile Database Management System by Grouping)

  • 신성욱;정동원;이정욱;김창화;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157-159
    • /
    • 2002
  • 무선 네트워터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이동 통신 기기의 발전은 기존의 유선 일변도의 사용방식을 무선 환경으로 급속히 확장, 이전시키고 있다. 무선 환경의 발전에 따라 모바일 데이터베이스 사용의 필요성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모바일 데이터베이스는 동기화를 위하여 하나의 동기화 서버가 다수의 모바일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중앙 집중형 방식으로, 모바일 데이터베이스들간의 동기화와 데이터 집중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만 고장허용에 대한 해결책은 전혀고려되어 있지 않다. 이러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모바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데이터베이스의 분류-배치를 통하여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며 고장허용 관리 기능을 통한 좀더 신뢰성 있는 서비스론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