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핵심 교과목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 강의계획서 분석 및 개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and Developing the Syllabu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re Course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3-1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의 능력있는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주요 전공과목의 교과내용을 개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39개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핵심 전공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조사 분석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주요 교과목의 교과내용인 강의계획서 개발대상과목은 2011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핵심 교과목으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6개 과목이다. 강의계획서는 강의개요(목표 및 목적), 교수법, 평가방법, 주요 교재, 15주 또는 16주의 강의일정 및 내용(강의계획서)을 포함한다.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ommunication Courses to Enhance Undergraduates' Core Competence)

  • 김효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9-16
    • /
    • 2016
  •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문화 간 융합이 이루어지는 정보사회화 흐름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각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경쟁력 있는 인재양성에 있어 꼭 필요한 핵심역량의 하나로 간주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의 개설과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개발에 관한 과정과 구체적인 콘텐츠를 제시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관한 콘텐츠에는 강의개요, 강의목표, 강의방법, 성적 평가방법, 주차별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효과적으로 배양하여 대학생활을 하는데 있어 핵심역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및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구성원의 핵심역량으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의 장을 마련해 줄 것이다.

북미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 사례 분석 I - 교과 영역별 개설현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Subject Modules)

  • 최상기;안인자;노영희;김주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5-167
    • /
    • 2011
  • 본 연구는 선진국 대학에서 교육하고 있는 교과목 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미 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목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북미 대학 홈페이지의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전통적인 문헌정보학대학과 정보학대학의 교과목비교, 북미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 운영 현황, 영역별 개설 교과목의 종류와 수, 주요교과목들의 분석이다.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Competency-Based Social Welfare Education)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59-369
    • /
    • 2020
  • 본 연구는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하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조사가 수행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중심교육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핵심역량과 각 학문별 전공역량을 포함한다. 역량중심 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회복지전공역량을 무엇이고, 전공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되어 있으며, 전공역량과 핵심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방법과 참여적 학습을 위한 환경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전공역량을 제시하지 않고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전공역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전공역량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는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공역량과 교과목의 목표를 매칭하여 제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의 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목표는 대학별로 설정한 전공역량과 매칭되고 있었다. 셋째, 교과목지침서에 교과목 목표달성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토론 등을 활용한 참여적 학습환경 제공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교수방법이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달성에 효과적인지는 교수방법의 구체성과 개념화 부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의 전공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교육목표 제시,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강의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통해 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교육성과의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Practicaln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ourses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을 평가하고 교과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현장사서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교과목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필수 또는 핵심과목, 그리고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필수과목으로 사서실습,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분류목록), 정보조사 제공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등 6개 과목, 핵심과목으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 등 6개 과목, 나머지 과목은 학교의 상황 및 교수진의 구성에 따라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육방법으로 사서실습 및 현장답사를 통한 교육, 발표 및 토론위주 교육을 제안하며,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해 중요한 것은 교육주제의 최신성, 교육내용의 전문성, 교육자의 전문성 및 자질, 교육교재의 전문성, 담당과목과 담당교수의 전공상관도 제고 등이다.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Academic Librarian about ALA's Core Competencys of Librarianship)

  • 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50
    • /
    • 2009
  • 본 연구는 2009년 1월 27일 미국도서관협회 평의원회에서 공표한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도서관 현장의 사서 17명을 대상으로 사전 교육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의 핵심능력에 명시된 8개 영역과 40개 세부능력에 대하여 각각의 중요도와 전공심화정도, 필요 교과목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8개 영역별 중요도에서는 기록된 지식과 정보의 조직, 전문직 기초,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으로 중요했으며, 전공심화정도에서는 전문직 기초, 연구,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사서의 핵심능력 배양에 필요한 교과목은 도서관경영론, 정보서비스론, 문헌정보학개론, 도서관정보정책론, 도서관연구방법론, 도서관자동화론의 순이었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

언택트 시대에 비대면 수업이 의류학 분야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 기법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o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Clothing Major: Focused on Application Case of Flipped Learning)

  • 김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1-165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증가한 비대면 수업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대학 수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과 학습 만족도를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청주에 있는 S 대학교에서 진행되는 의류학 이론 전공 1개 교과목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해당 교과목에 설정된 주요 핵심역량인 문제해결 역량을 중심으로 3가지 세부 영역인 문제분석력, 자원·정보·기술활용 능력, 융·복합적 사고력 및 전반적인 학습 만족도에서 비대면 수업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플립러닝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후, 3가지 문제해결 역량 세부 영역에서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인 학습 만족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의류학 전공 분야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효과 측정은 주로 패션디자인과 의복 구성 교과목에서 수행되었지만,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서 플립러닝과 같은 교수·학습법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 진행은 학습자의 전공 지식 습득을 넘어 문제해결 역량과 같은 대학생 핵심역량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 제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류학 전공 교과목 중 이론 중심의 수업에 학습자 중심의 비대면 수업 방식의 적용 사례와 그 효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비대면 수업 설계 전략에 기초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형성평가 중심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설계 (A Formative Assessment Based Capstone Design Course for Improving Program Learning Outcomes)

  • 김웅섭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62-69
    • /
    • 2010
  • 공학인증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학습성과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품질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교육의 개선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킬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으며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은 그 특성상 가장 효율적인 향상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교과목 내용을 개선하여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형성평가를 도입하였다. 형성평가를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형성평가의 핵심 요소인 피드백 과정의 구조를 정의하였는데 최적의 효과를 내기 위하여 교사 주도형과 학생 교정형을 혼합한 형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형성평가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세부 단원을 정의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공학을 도입하였으며 여섯 단계의 세부 단계를 통하여 캡스톤 디자인 과목에서의 형성평가가 구현되었다. 각 세부단계에서의 평가 항목과 평가 기준들은 교과목 진행중에 학생들에게 공개되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평가기준에 맞는 결과를 내기위하여 학습을 하도록 교과목을 구성, 운영하였다. 실제 2학기동안 실험을 실시해본 결과 형성평가를 도입하지 않았을 때보다 주목할 만한 향상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컴퓨터 네트워크 교과목 수업과 CCNA 인증을 위한 교수학습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Instruction for Computer Network Courses and CCNA Certification)

  • 김노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29-240
    • /
    • 2013
  • 본 논문은 국내 대학 컴퓨터관련 학과의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지식 중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의 기본 교과목인 컴퓨터 네트워크의 내실 있는 수업을 위하여, 관련 인증의 검정요강, 국내 대학에서 강의중인 교재와 강의계획서의 내용들을 분석한 후 컴퓨터 네트워크 교과목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체계화하였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는 이론도 중요하지만 실습이 더욱 중요한 만큼 컴퓨터 네트워크 관련 국내외 인증의 실기시험용 시뮬레이터들도 분석하여 실습이 병행될 수 있도록 적용한 새로운 교수학습 개발에 관한 사례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교과목의 교수학습 사례연구는 강의와 실습의 두 가지 트랙을 기반으로 주차별로 핵심영역, 핵심요소, 교육목표, 강의 및 실습의 주제 및 도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교수자에게는 좋은 교수방안이 될 것이며 학생에게는 네트워크 분야의 입문자격증인 CCNA 인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기부여로 우수한 학습 결과의 성취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