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 콘크리트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7초

W/B 및 시멘트 종류에 따른 해양콘크리트의 내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Durability of Marin Concrete Corresponding to various W/B ratio and Cement Types)

  • 배준영;조성현;서정필;이준;김경민;박상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19-220
    • /
    • 2010
  • 본 연구는 W/B 종류 및 혼합시멘트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을 비교검토 후 최종적으로 고 내구성능을 확보한 장수명 해양 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PDF

해양 콘크리트구조물의 철근부식 모니터링을 위한 매크로셀 센서 시스템의 적용 (Application of Macrocell Sensor System for Monitoring of Steel Corrosion in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 이승태;문대중;김완종;문재흠;김학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241-247
    • /
    • 2010
  • 철근부식은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능을 저하시키는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해양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매크로셀 센서 기법 중 하나인 anode-ladder-system의 적용성을 평가한 것이다. 해양환경으로부터 유입되는 염화물의 침투, 확산에 의한 철근부식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위 및 전류를 측정하여 철근의 부식거동을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부식 모니터링 센서는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각각 3.7, 6.0 및 8.2 m 높이에 매설하였으며, 애노드 단자의 부식특성은 평균해수면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거동함을 확인하였다. 또, migration 실험을 통하여 콘크리트 강도와 확산거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 및 완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콘크리트 피복두께의 확보 및 초기 콘크리트의 품질 개선이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소이온 침투해석 -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중심으로- (Analysis of Chloride ion Penetration of Marine Concrete Structure - Part 1. Development of Analysis Program-)

  • 한상훈;박우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2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Proceedings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in Korea
    • /
    • pp.122-129
    • /
    • 2002
  • 근래에 건설공간의 부족과 교통의 편리함으로 인해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가장문제가 되는 것이 염해에 의한 철근의 부식이다 염해에 의해 철근이 부식하게 되면 구조물의 안전성이나 사용성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략)

  • PDF

고 충격강도의 경량 내열 내화 콘크리트 제조 (Preparation of lightweight fireproofing concrete with high impact strength)

  • 정석주;김주은;정서린;이병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81-186
    • /
    • 2024
  • 일반적 콘크리트의 낮은 강도와 취성파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 시멘트를 콘크리트 결합제의 주 소재로 하되, 여기에 경량화와 내화 단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골재로 폐유리를 가공한 다공성 유리 비드(porous glass beads)와 콘크리트의 강도 증진을 위한 기능성 유기 결합첨가제(폴리머)를 첨가하고, 추가 결합제를 사용하여 비중이 물보다 낮은 콘크리트형 경량 소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소재는 기존 콘크리트 등 세라믹이 가지는 낮은 작업성과 취성파괴의 문제점이 해결되었으며 내화성도 우수하였고 고온에서의 낮은 열전도도를 보이는 등 기계적 및 열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보였다. 또한, 기존 콘크리트와 같이 일정한 공간에 주입 성형할 수 있으며, 몰드에 넣어 벽돌과 같은 블록(브릭) 형태 또는 얇은 보드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페인트와 같이 발라서 사용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구조재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해양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보의 성능연구

  • 양인환;김경철;김영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1-263
    • /
    • 2013
  • 해양환경에서의 아연코팅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 및 균열 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보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파괴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해양환경에서의 콘크리트 부재의 피복두께를 기존 설계기준보다 작게 적용시켜도 부재에 발생하는 염해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아연코팅 철근의 적용은 일반철근 콘크리트 보다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 PDF

현장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염소이온 침투 해석 (Analysis of Chloride ion Penetration for In-place Concrete Structure)

  • 한상훈;박우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 /
    • pp.307-314
    • /
    • 2003
  •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가장 큰 영향은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가 염소 이온의 침투에 의한 철근부식이다. 염소이온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확산되어 철근이 부식하게 되면 철근의 부피팽창으로 콘크리트 덮개에 균열이 발생하고 철근의 단면적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은 사용연한을 채우지 못 하고 붕괴되거나 사용성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중략)

  • PDF

표면도장재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해양 노출시험 (Field Exposure Test of the Concrete Treated by Protective Surface Coatings in Marine Environment)

  • 정해문;유환구;안태송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1-76
    • /
    • 2002
  • 콘크리트는 거의 반영구적인 재료라고 인식되어져 왔으나, 최근들어 해양환경, 적설한랭지대, 도심과 같은 열악한 환경속에서 예상보다 빨리 조기열화 되는 현상이 널리 알려지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성능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내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실제로 여러 선진국에서 염해와 같은 열화환경의 피해를 받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예상공용년수 이전에 철거되거나. 개보수 비용이 초기 건설비용보다 더 많이 드는 예가 적지 않게 보고되면서, 적절한 내구성 유지대책 및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중략)

결합재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염화물 확산 및 단열온도 상승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Chloride Diffusivity and Adiabatic Temperature Rise of Marine Concrete Depending on Binder Type)

  • 배준영;조성현;신경준;김윤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411-418
    • /
    • 2013
  • 최근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및 수화열 저감을 위한 재료적 대책으로 혼합시멘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혼합시멘트는 염해 및 수화열 저감 성능이 우수한 결합재이지만 재령 28일까지의 압축강도 발현이 작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현행 해양 콘크리트 시방 규정은 높은 수준의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재령 28일에 엄격히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시멘트를 사용하면 물-결합재비는 작고 단위결합재량은 많은 해양 콘크리트 배합이 예상된다. 이와 같이 높은 압축강도 위주의 해양 콘크리트 배합은 염해 내구성 확보에 유리하지만 수화열 저감에는 불리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물-결합재비 및 결합재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고 예측하였다. 검토 및 예측 결과, 고로슬래그시멘트(BSC) 및 삼성분계 혼합시멘트(TBC) 배합은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 배합보다 재령 28일까지의 압축강도 발현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재령 56일에는 유사한 압축강도를 발현하였으며 염해 및 수화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행 해양 콘크리트의 최소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단열온도 상승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해수촉진열화시험에 의한 해양콘크리트의 내염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loride Attack Resistance of Marine Concrete by Accelerated Deterioration Test of Artificial Seawater)

  • 이준;서정필;조성현;배준영;박상준;김경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57-358
    • /
    • 2010
  • 본 연구는 인공해수촉진열화시험에 의한 해양콘크리트의 내염특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시멘트 종류 및 도막처리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시험 결과 강도 및 염소이온침투 특성 등을 고려할 경우 해양용 혼합시멘트가 콘크리트의 내염성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