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 침식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ies on the Mechanism Variation of Bed Elevation for an estuary the Han. (한강하구지역에서의 하상변화 기작연구)

  • Byeon, Seong-Joon;Choi, Gye-Woon;Koo, Bon-Jin;Kim,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70-774
    • /
    • 2009
  • 한강하구 일대는 세계최대 규모의 갯벌이 조성되어 해양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육상기원의 퇴적물이 흐름이 완만한 하구 주변부에 퇴적되어 대규모의 갯벌을 생성하여 육상에서 유입되는 많은 유기물이 집중되고 탁도가 높아 대량의 플랑크톤과 같은 일차생산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신에 담수 유입이 많아 하구와의 거리에 따른 일정한 염분 구배를 가지고 있어 더욱 다양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에도 1980년대 후반부터 각종 매립사업과 한강종합개발사업($1982{\sim}1986$)이 실시되어 한강하구의 습지가 줄어들고, 해안침식, 토사유입, 퇴적, 적조현상, 갯벌 및 해수오염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1990년대에는 한강하구지역에서 퇴적으로 인한 홍수 예방과 건설골재 확보를 위한 준설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이로 인한 습지생물 서식처 파괴와 같은 환경영향이 우려되어 현재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무차별적인 개발계획으로 매년 홍수 때마다 피해를 입는 김포일대, 한강과 임진강 지역의 수위 및 흐름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대책 수립을 검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유사이송에 의한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류로부터 이송되어온 유사에 대하여 시간적 흐름특성을 통하여 조성된 한강하구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지형변화 분석을 위해 MIKE 21 프로그램의 이동상 해석모듈을 사용하여 지형변화에 따른 한강하구에서의 홍수기 하상변화와 유수 흐름 및 수위등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예성강과 한강의 유수흐름은 청주초를 통하여 외해로 유출되고 이 흐름은 대부분 강화도와 교동도 사이의 교동수로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하수로 합류부 및 임진강 합류부에서는 침식 및 퇴적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수리학적 특성변화에 따른 유사의 퇴적 및 세굴에 의한 한강하구 지역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영향에 대한 대책 수립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 PDF

Shoreline Changes Interpreted from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 Case Study in Jinha Beach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KOMPSAT-3 영상을 이용한 진하해수욕장 해안선 변화 탐지)

  • Hwang, Chang Su;Choi, Chul Uong;Choi, Ji S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0 no.5
    • /
    • pp.607-616
    • /
    • 2014
  •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shoreline changes in Jinha beach over the 50 years with aerial photographs and satellite images. The shoreline image feature was retrieved from the corrected images using wet and dry techniques and analyzed by DSAS from the statistical point of view. From 1967 to 1992, the mouth of Hoeya River was severely blocked and the northern shoreline off Jinha beach was eroded. The blockade of river mouth seemed to have been eased along with the completion of the dike, but soil continued to be deposited along the high sea away from the river month. Compared to the past, a layer of sediment has been formed off the northern coastline while the southern coastline has eroded. At least in the region subject to this research, the construction of a training dike is to blame. On top of that, a mere combination of dredges and artificial nourishment is not enough to take under control the changing shorelines properly. Thus,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ore fundamental solution by taking into account reasons behind sediment from the river area that could change the shorelines besides the costal environment.

Prediction of Shoreline and Depth Contour Change after Construction Project for North Breakwater at the Donghae Port by N-line Model (N-Line 모델을 이용한 동해항 3단계 북방파제 축조공사 후 해안선 및 등수심선 변화 예측)

  • Lee, Sahong;Kim, Dong Hee;Lee, Ju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32
    • /
    • 2016
  • 정부는 1999년 제정된 연안관리법에 따라 2000년부터 시행 중인 '연안정비계획' 등을 통하여 연안 침식 대응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그 중 동해항 3단계 북방파제 축조공사가 내년 3월 중으로 착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항 3단계 개발사업은 동해항을 환동해권 물류 중심 거점 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대규모 항만개발과 방파제 등이 축조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해항 3단계 개발사업의 추진에 따른 인근해변의 해안침식 저감대책 방안으로 해안선 및 수심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동해항 인근의 추암 해수욕장부터 삼척 해수욕장까지 대상지역 N-line 모델 적용 및 Case분석을 실시한다. 해안선 변화는 Polar coordinate에서 개발된 One-line 모델에 회절 효과를 반영하고 해빈 경사와 쇄파고에 따라 횡단 방향으로 발생하는 표사로 인한 추가적인 해안선 변화 효과를 반영하여 입사파고 변동에 따른 단기적인 해안선 변화의 변동 폭을 제공한다. 연평균 입사 파고에 따라 형성되는 연안방향 표사로부터 해안선이 변동하며 이 해안선을 기준으로 연평균 파고에 따른 전진 폭과 최고 파고에 따른 침식 폭을 제시한다. 동해항 개발 전 변화 예측 모델링과 동해항 개발 후 변화 예측 모델링을 통해 개발에 따른 장래 해안선의 변화 예측 모델링 결과 분석 및 검토를 실시, 동해항 인근 지역에 적합한 해안선 유지관리 방법 결정 및 제안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Shoreline Change Analysis of Haeundae Beach Using Airborne LiDAR Survey (항공 LiDAR 측량을 이용한 해운대 해안의 해안선 변화 분석)

  • Lee, Jae One;Kim, Yong Suk;We, Gwang J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4D
    • /
    • pp.561-567
    • /
    • 2008
  • In this study, shoreline change was analyzed by RTK-GPS and advanced airborne LiDAR survey. For extraction of coastline, first of all, tide correction was conducted at all RTK-GPS points through the comparing with the corresponding tidal height, and cross section providing coastline was produced using Autocad Civil3D program. Comparing with two results of RTK-GPS (first, 29 Aug 2007; second, 6 Oct 2007) surveys, coastline of the first result had been decreased about 21m compare with that of the second. And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length of coastline by the first RTK-GPS was 15m shorter than that by the airborne LiDAR survey (Dec. 2006). In addition, we recoquized that the erosion appeared in the top right-hand (dock area); the sediment in the bottom left-hand (Chosun beach area) of the Haeundae beach. As a result, therefore, it was learned that artificial sand filling for beach open and natural effects such as a typhoon, current drift, wind direction gave cause for area changes and coastline.

Numerical Analysis of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Boundary Layer Streaming over Surf-Zone Using LES and Dynamic Smagorinsky Turbulence Model (LES와 Dynamic Smagorinsky 난류모형을 이용한 쇄파역에서의 경계층 Streaming 수치해석)

  • Cho, Yong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1
    • /
    • pp.69-84
    • /
    • 2020
  • Natural shoreline repeats its re-treatment and advance in response to the endlessly varying sea-conditions, and once severely eroded under stormy weather conditions, natural beaches are gradually recovered via a boundary layer streaming when swells are prevailing after storms c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boundary layer streaming over surf-zone often falls short despite its great engineering value, and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st sediments available along the shore are supplied over the surf-zone. In this rationale, numerical simulation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boundary layer streaming over the surf zone in this study. In doing so, comprehensive numerical models made of Spatially filtered Navier-Stokes Eq., LES (Large Eddy Simulation), Dynamic Smagorinsky turbulence closure were used, and the effects of turbulence closure such as Dynamic Smagorinsky in LES and k-ε on the numerically simulated flow field were also investigated. Numerical results show that due to the intrinsic limits of k-ε turbulence model, numerically simulated flow velocity near the bottom based on k-ε model and wall function are over-predicted than the one using Dynamic Smagorinsky in LES. It is also shown that flow velocities near the bottom are faster than the one above the bottom which are relatively free from the presence of the bottom, complying the typical boundary layer streaming by Longuet-Higgins (1957), the spatial scope where boundary layer streaming are occurring is extended well into the surf zone as incoming waves are getting longer. These tendencies are plausible considering that it is the bottom friction that triggers a boundary layer streaming, and longer waves start to feel the bottom much faster than shorter waves.

Plant Growth-promoting Ability by the Newly Isolated Bacterium Bacillus aerius MH1RS1 from Indigenous Plant in Sand Dune (해안 사구에서 서식하는 토착식물로부터 분리된 근권미생물 Bacillus aerius MH1RS1의 식물성장 촉진 능력 연구)

  • Lee, Eun Young;Hong, Sun 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10
    • /
    • pp.687-693
    • /
    • 2013
  • Coastal sand dunes have been seriously damaged caused by the development thoughtless for the environment and coastal erosion and destruction due to artificial structures like coast roads and breakwater. Hereupon, in this study we made a library of rhizobacteria that have the plant growth-promoting ability for plant rhizosphere of indigenous plants inhabiting in a coastal sand dune as well as the strong tolerance to salt, and evaluated the plant growth-promoting ability of these strains. Furthermore, we evaluated the effect of rhizobacteria on the growth rate of saline tolerant plants in sandy soil; selected out the most useful micro-organism for the restoration of a damaged sand dune. The effect of inoculation of strains selected from the first experiment on the growth of Peucedanum japonicum and Arundo donaxes planted in a coastal sand dune was evaluated. As a result, Bacillus aerius MH1RS1 had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ies: indole acetic acid (IAA) production, siderophores and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ACC deaminase) activity, and also had a salinity tolerance. Also, in case of Peucedanum japonicum, the length of stems and weights of roots were enhanced by the inoculation of B. aerius MH1RS1. Fresh weights of stems and weights of roo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n particular, increased by 25%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For an Arundo donax in experimental group, plant length increased by 18%, and weight of roots by 20% which is significant.

A Study on the Profiles Transition and Storage Movement on the Profiles at HAEUNDAE Beach (해운대(海雲臺)사빈(砂濱)의 단면(斷面)의 천이주행(遷移走行) 및 저류(貯溜) 표사량(漂砂量) 변화특성(變化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 Yang, Yun Mo;Ham, Gye 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 no.1
    • /
    • pp.1-12
    • /
    • 1983
  • The wave and hydrologic climate at a beach location are everchanging and coastal engineers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 deformation of the natural beach caused by wave action over short or long interval of time. The drift of sand on a beach particulary manifests itself when blocked construction of seawalls, jetties, breakerwaters and groins etc.${\cdots}$ For this reason,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littoral drift has been especially important to the coastal engineers. The resulting of the sand drift movement, such as the type of beach profile, width of beach, storage volume of the littoral sand over the profile are rapid everchange. We have studied the geological changes due to the littoral drift on a beach with field investigation and model tests in laboratory. But, it is impossible to make quantative correct analysis because of the factors are everchange and complicate. And then, most of study are incline to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paper, authors studied mainly on the transition of beach profile and sediment storage on the profile using statistical field data as qualitative analytical method. The used theoretical beach transition model by Sonu and Beek have developed to obtain the change of HAEUNDAE beach backed with seaw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ransition model are useful in the analysis of beach profile changement and the littoral drift movement on the beach. Qualitative analysises for HAEUNDAE beach are as follows. 1) Transition sequence of profile has 4 major transition for one cycle. 2) Storage sediment model of beach profile by Sonu and Beek well coincided with HAEUNDAE beach. 3) Seasonal cycle has ill-balanced process for the 5-yr. investigation.

  • PDF

A study of topography fluctuation from the HEOYA estuary considering mixed grain size (혼합입경을 고려한 회야강 하구에서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Hae-Sung;Lee, Seong-Dae;Kim, Se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6-1720
    • /
    • 2007
  •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는 하천에서의 유사가 주요한 공급원이므로 산지-하천-해안을 통합한 유사 및 표사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며, 해안수리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강성 연안구조물의 건설을 통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침식을 억제해야하는 방지대책의 수립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연안에서의 침식, 퇴적관계는 토사공급원의 장기적인 확보여부가 중요하며 하천에서 해안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또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안 해역으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천에서 연안 해역으로의 유사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리고 하천 유사량이 하구에 사주를 형성하고 어떤 형태를 거쳐 연안표사로 이동하는가 하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연구의 관심이 되어오고 있으며, 1986년 회야강 상류 회야댐 건설 이후 하구폐색이 가속화됨에 따라 매년 회야강 하구에서의 준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회야강 하구부에서는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만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에 의한 흐름과 지형특성등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하구현상에 의해 하구에서의 사주 발달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하구폐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의 대책으로 최근 회야강 하구부에 도류제가 건설되었으며 이에 따른 장기적인 하구부 하상변동특성과 토사이동의 특성 파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관점에서 회야강 하구부의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에서의 지형변동과 유송토사량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 상류부에서는 동적 평형상태의 유사량을 가정하고 하상재료 및 유사는 혼합입경으로 하여 하상고 및 하상교환층 중의 입도조성의 시간변화를 구하여 1차원적인 하상변동과 토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했을 때, 대표입경을 통해 얻은 조도계수가 보정 조도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hoaling Prediction by the Statistical Joint Distribution in the Shallow Water Region (천해역에 있어서의 결합확률분포의 천수변형에 대한 연구)

  • 권정곤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 no.1
    • /
    • pp.14-20
    • /
    • 1991
  • Accurate estimation of irregular wave transformation when the waves propagate from deep water to shallow water reg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design of coastal structures and establishing beach erosion control. In this study. the transformation of directional spectrum is tested numerically using a conservation equation for energy flux and. based upon the joint distribution of wave height. period and wave direction. shoaling effects are predicted in the shallow water region.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procedure i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field observation data.

  • PDF

A Model Development for Swash Hydrodynamics Across the Shore (해안선 종단방향에서 소상파의 수동학적 거동 예측모형의 개발)

  • Hwang, Kyu-Nam;Cho, Yo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1
    • /
    • pp.13-24
    • /
    • 2002
  • In a physically realistic but simplified manner, an attempt is made in this study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swash hydrodynamics across the shore due to the storm waves on an arbitrary beach profile. Date from the SUPERTANK laboratory Data Collection Project are used for the model development, in which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simulate dune erosion under storm conditions at a prototype scale. The model predicts variations of swash height, velocity and period across the beach face in a swash zone. In general, the model proves to be capable of predicting variations of swash height, velocity and period across the shore. Quantitatively better predictions for the swash parameters could be achieved by improving the prediction of the beach face elevation, ymax, where the significant swash height becomes ze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