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 도로

Search Result 73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Fine-grid Numerical Tidal Models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세격자체계의 황해 및 동지나해 조석모형의 개발)

  • 최병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 no.4
    • /
    • pp.231-244
    • /
    • 1990
  • The objectives of this multiyear research are directed toward the investigation of mesoscale circulation dynamic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With the advent of Supercomputers and increasing necessity of resolving the flow with enough details, a hydrodynamic numerical model of the East China Sea has been developed with resolution of 1/15$^{\circ}$latitude by 1/12$^{\circ}$longitude covering the entire continental shelf. As a first step M$_2$tidal regime representing the domanant tidal conditions of the shelf was computed. Preliminary results are presented and discussions for further developments are presented.

  • PDF

A Tidal Model of the East Sea (동해의 조석수치모형)

  • 최병호;이호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5 no.3
    • /
    • pp.250-262
    • /
    • 1993
  • With the use of the two-dimensional tidal model including the tide generating potential tend tidal charts of four major tidal constituents (M$_2$, S$_2$, $K_1$, $O_1$) are presented in the East Sea (Japan Sea).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inclusion of tide generating force does influence the position of semi-diwrual amphidrumes in the Korean east coast but computed results are generally in .good agreements with coastal observations and also empirically drawn existing charts of this region.

  • PDF

Boundary Integral Equation Method by Cubic Spline (Cubic Spline을 사용한 경계요소법)

  • 서승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 no.1
    • /
    • pp.11-17
    • /
    • 1990
  • Dirichlet boundary value problems originated from unsteady deep water wave propagation are transformed to Boundary Intergral Equation Methods by use of a free surface Green's function and the integral equations are discretized by a cubic spline element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 based on the derived Fredholm integral equation of 1 st kind, the method by Hsiao and MacCamy (1973) is employed. The numerical model is tested against exact solutions for two cases and the model shows very good accuracy.

  • PDF

RADARSAT 자료를 이용한 Wind Vector 추출기법 연구

  • 김덕진;강성철;문우일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79-84
    • /
    • 2000
  • 해양 영역에 대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자료는 좋은 해상도로 기상조건이나 주야에 상관없이 wind vector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안지역의 scatterometer 자료는 육지의 영향으로 인하여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없지만, SAR자료를 이용하면, Scatterometer에 비해 좋은 해상도로 해안지역의 wind vector 추출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AR 자료로부터 풍속을 추출할 수 있는 CMOD_4와 CMOD_IFR2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 알고리즘들은 정확한 sigma-naught 값과, 풍향, 그리고 local incidence angle을 입력변수로 요구한다. CMOD 알고리즘들은 ERS-1/2와 같이 C-band, VV-polarization을 위해 개발된 알고리즘이므로, C-band, HH-polarization을 가진 RADARSAT 자료에 바로 적용할 수가 없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CMOD 알고리즘을 몇 가지 polarization ratio와 같이 적용하여 보았다. 각 연구지역에 해당하는 자료에는 제주도 주변의 Fine mode 자료, 서해안과 제주도 근해의 Standard mode 자료, 그리고 동해안 지역의 ScanSAR 자료 등이다. 여러 가지 Polarization ratio와 CMOD 알고리즘의 조합, 그리고 2-DFFT로부터 추출된 풍향으로부터 각 연구지역의 풍속은 가까운 기상관측소 및, 부이의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Fine mode 자료로부터 추출된 풍속은 실제 관측 값보다 항상 상당히 높게 나타났지만, Standard mode 나 ScanSAR 자료로부터 추출된 풍속은 현지 기상관측소 관측 값과 잘 일치한다.

  • PDF

제주도 동부지역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I)

  • 박윤석;고기원;강봉래;함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81-84
    • /
    • 2002
  • 제주도 동부지역 구좌읍 한동리-송당리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4개 지점에서 착정한 심부관측정에 대한 시추코어 지질검층과 심도별 수온ㆍ전기전도도 검층 결과, 제주도를 형성시킨 화산활동과 관련된 화산분출물(용암류 및 쇄설물)은 해수면하 136~170m 범위까지만 분포하고 있고, 그 하부에는 미교결의 U층(U Formation)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좌읍 한동리에 소재한 둔지봉(해발 280m)을 경계로 해안지역의 U층 상부에는 용암이 바다속으로 흘러갈 때 생겨나는 베개용암(Pillow Lava)이 분포하고 있음이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이 베개용암층을 통해 고염분지하수가 내륙쪽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담수지하수체 하부에 존재하는 고염분 지하수체는 해안에서 내륙쪽으로 오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기저지하수체(담ㆍ염수 혼합대를 형성하는 지하수체)는 해안으로부터 약 6~6km(해발 120~130m)지역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담수지하수 렌즈체의 두께는 이론적인 G-H비 보다 훨씬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치모델 자료를 이용한 영동지방의 대설사례 특성 분석

  • Kim, Do-Wan;Jeong, Hyo-Sang;Ryu, Chan-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74-76
    • /
    • 2010
  • 영동지방은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 동해와 인접해 있는 지리적인 위치로 전 계절에 걸쳐 지역 특성에 따른 국지적인 기상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대설은 영동지방의 기후 특징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대설 일수가 많고 강설량이 많은 영동지방의 강릉과 속초, 그리고 울릉도는 연 강수량에서 겨울철(12월~2월) 강수량이 각각 약 10%와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다른 지역의 5% 내외에 비하면 매우 높은 것이다. 이 지역의 강설 특징은 좁은 지리적 범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좁고 강한 강수역과 지역적으로 커다란 변화를 보이는 적설량과 강설 일수이다. 해안선으로부터 산맥의 분수계까지의 거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잡한 지역에서의 강설의 발생과 강설량의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설의 패턴을 분류하여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P 확장 시 영동지방의 강설 패턴을 하층 대류권의 바람장에 따라 산악 강설 패턴, 한기-해안 강설 패턴, 난기-해안 강설 패턴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강설 패턴에 대한 종관적인 대기구조의 특성을 파악한 후 3차원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2008년 1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영동지방에 내린 대설을 한기-해안 강설 패턴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 PDF

Model Development of Coastal Area Inundation due to Sea-level Rising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지역 침수모의기법 개발)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92-292
    • /
    • 2018
  •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한 부산과 울산지역의 침수 및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한 마산창원지역의 침수사례는 우리나라 해안도시유역이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약 1.7 m 상승하였으며, 1961~2003년 사이 해수면 상승률은 연평균 3.1 mm에 이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남해안은 연평균 3.4 mm씩 상승하고 있어 전 세계 해수면 평균 상승속도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전보다 이후 기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수가 많으며 평균적으로 태풍의 강도 및 해일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태풍해일고 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유역의 침수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래 발생 가능한 수퍼태풍에 의한 급격한 해일고의 상승은 해안유역에 침수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피해 특성은 홍수유출에 의한 내륙 침수피해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법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대한 침수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침수모의기법을 개발하고 효율적 대응방안을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부정류 특성을 지닌 해수면 상승 경계조건 및 건물 간 도로를 통해 흐름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지역의 시공적 침수규모 및 유속 등을 예측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발생 기간 동안 관측된 실제 해일고를 적용하여 창원 등 해안도시유역에 범람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침수흔적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해안 경계선을 따라 월파방지벽을 설치하는 경계조건을 도입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해안도시유역 침수규모를 산정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를 분석함으로써 월파방지벽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해안지역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다른 대피경로 제공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Utilization Rat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 by Some Rural Residents and Its Associated Factors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보건진료소 이용도와 관련요인)

  • Lee, Woon-A;Ryu, So-Yeon;Park, Jong;Kim, Suk-Il;Kim, Ki-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1
    • /
    • pp.133-147
    • /
    • 2000
  • To provid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primary health care through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rat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CHP) post and its related factors toward some rural residents in Mooan County Chollanamdo,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from 382 persons during August 1999. Comparison was made between persons at the seaside area under difficult transportation and persons at the railroad area under convenient transpor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the last one year, 83.3% of seaside area residents and 67.0% of railroad area residents used CHP post. As the purpose of visit to CHP post at seaside area, 94.3% visited for medical care, 25.3% for chronic disease control and 22.2% for health counselling and 14.1% for chronic disease control. 2. By simple analysi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residence area, distance from living village to CHP post,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satisfaction with CHP and confidence on CHP were 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utilization of CHP post for the last one year. 3.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with the utilization rate of CHP post for the last one year were analyzed as age, sex, residence area and distance from living village to CHP post.

  • PDF

Genetic Diversity of Endophyt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Coastal Plants in Ulleung Island for Restoration of Coastal Ecosystem (해안 생태계 복원을 위한 울릉도에 자생하는 해안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류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 Kim, Miae;You, Young-Hyun;Yoon, Hyeokjun;Kim, Hyun;Seo, Yeonggyo;Khalmuratova, Irina;Shin, Jae-Ho;Lee, In-Jung;Choo, Yeon-Sik;Kim, Jong-G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2 no.10
    • /
    • pp.1384-1391
    • /
    • 2012
  • Five coastal plant species, Artemisia fukudo, Aster sphathulifolius, Plantago camtschatica, Sedum oryzifolium, and Setaria viridis,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al region of Ulleung Island (Ulleung-Do, South Korea). Thirty-six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these plants, and all were identified by using PCR with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ITS1), 5.8S rRNA, and ITS2 regions.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all fungal strains belong to the phylum Ascomycota and comprise four orders (Capnodiales, Eurotiales, Hypocreales, and Pleosporales). Among all the identified species, the Eurotiales species were more abundant than species in the other orders. Nine different genera (Alternaria, Aspergillus, Cladosporium, Exserohilum, Fusarium, Neosartorya, Penicillium, Phoma, and Pyrenochaeta) in the four orders were confirmed. Penicillium and Aspergillus species were the most dominant species among the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coastal plants. Shannon's diversity index (H') ranged from 0.684 to 1.609, and the endophytic fungi in S. oryzifolium was more diverse compared to the endophytic fungi in the other plants.

Monitoring of Vegetation Coverage for Selecting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해안녹화식물 선발을 위한 식생 피복도 모니터링)

  • Kim, Dongyeob;Im, Sangjun;Kweon, Hyuck-Min;Yim, Jaeh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5B
    • /
    • pp.519-524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suitable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as a preliminary study for quantifying the effect of decreasing sand movement. After planting some herbal plants in field, monitoring of temporal change of vegetation coverage which was index of the growth rate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24 candidate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were selected, then seven species of them, Peucedanum japonicum Thunb., Dianthus japonicus Thunb. ex Murray, Sedum oryzifolium Makino, Sedum takesimense Nakai, Sedum spectabile Boreau, Farfugium japonicum (L.) Kitam., Aster sphathulifolius Maxim. were picked through salinity tolerance experiments in laboratory. Seven species selected by salinity tolerance experiments and two additional herbal plants,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and Linaria vulgaris Mill., not the candidates, were nine final species which were planted in the beach around Osan port, Uljin, Korea. The changes of vegetation coverage of each species were investigated from photos periodically taken for about a year using image processing methods.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Sedum takesimensei, Dianthus japonicus and Aster sphathulifolius were observed with high coverages during the whole monitoring while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and Linaria vulgaris were observed with low coverage during the same period. Consequently, Sedum takesimensei, Dianthus japonicus and Aster sphathulifolius were concluded as the most suitable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Furthur study to quantify the effects of decreasing sand movement by the selected species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