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 가로

Search Result 53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Development Process of Regional Conditions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for Composite Coastal Disasters (해안가 복합재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 프로세스 개발)

  • Im, Jun Hyeok;Oh, Kuk Ryul;Sim, Ou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3-293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재난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해안과 인접해 있는 지역은 풍랑, 지진해일 등으로 인해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는 자연재해대책법에 의거하여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수립 절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위험지역의 지리적·사회적 조건을 고려한 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피해이력과 침수예상도 정보가 반영된 위험성평가 지도를 활용하여 위험지역 유형을 4단계(관심, 주의, 경계, 위험)로 구분하고, 단계별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 대책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적 대책의 도출에는 지역맞춤형 요소와 특성요소를 활용하였다. 지역맞춤형 요소는 자연인자, 재해영향인자, 재해원인인자, 지형인자, 사회인자로 구분하였으며, 각 인자별로 세부인자를 선택하여 논리연산에 따라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하였다. 특성요소는 효율성, 시공성, 공공성으로 구분하였고, 각 구분별 세부요소를 평가하여 재해예방기법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해안가 복합재난이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Effcet of 2010 Typhoon's DIANMU(1004) and KOMPASU(1007) at the Southwestern Coast (2010년 태풍 DIANMU(1004)와 KOMPASU(1007)에 대한 서남해안 영향분석)

  • Moon, Seung Rok;Kang, Ju Whan;Kim, Yang Seon;Park, Seon J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6-216
    • /
    • 2011
  • 목포는 지형 특성상 도시기반이 낮게 조성되어 있어 폭풍해일에 의한 영향이 그리 크지 않더라도 조위가 크게 상승하는 대조기에 해안 저지대에서는 침수범람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다. 특히 1997년 8월 태풍 WINNIE(9713)와 2004년 7월 태풍 MINDULLE(0407)의 간접영향시기가 대조기 고조와 중첩됨에 따라 목포 내항 및 북항 일대에 해수범람 피해가 발생한 바 있으며, 이러한 피해에 대응하여 목포 해안시설물 표고는 1997년 이전의 D.L.(+)480~500cm(목포지방해양수산청, 1998)를 D.L.(+)550cm로 증고한 상태이다. 태풍이 발생하여 내습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2010년 7월~9월까지 목포지역 조석예보표(www.khoa.go.kr)에 따르면 거의 매달 500cm 이상의 조위가 예측(최고 511cm, 2010년 8월 11일)되었고, 2004년 범람이 발생한 7월과 8월에는 5.2m 이상의 조위가 3회 이상 예측된 바 있다. 또한 2000년 이후 목포지역의 태풍에 의한 해일고가 매년 50cm 내외로 기록(최고 59 cm, 태풍 RUSA(0215)됨을 고려할 때 D.L.(+)550cm의 목포 해안시설물 표고는 범람피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최근 2년 동안은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미친 태풍이 없었으나, 올해 8월 중순에는 대조기에 태풍 DIANMU(1004)가 내습하여 남해안 일대에 피해가 발생하였고, 올해 9월 초에 서해안으로 상륙한 태풍 KOMPASU(1007)는 강한 세력을 유지하면서 북상하여 서해안 일대 및 수도권에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만약 태풍 KOMPASU(1007)가 태풍 DIANMU(1004)가 내습했던 대조기 또는 9월 중순의 대조기에 내습했다고 가정한다면, 목포와 같은 서남해안의 저지대는 물론 많은 해안지역에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연구와 자료분석을 통해 목포해역의 침수범람 위험성을 파악하고, 올해 발생한 태풍의 수치모의 적용을 통해 위험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treet Facilities for the Sustainability Improvement of the Coastal Street - Focused on the Street Facilities around Jeju Island Beach - (해안 가로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가로 시설물 연구 - 제주도 해수욕장 주변 가로시설물을 중심으로 -)

  • Kim, Ja Ky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6 no.4
    • /
    • pp.42-56
    • /
    • 2017
  • In Korea, which has three sides of the sea, various waterfront spaces are being developed and developed along with various coastal landscapes. However, there are a lot of cases that do not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coast or the characteristic of the coastal landscape. In many cases, the street facilities cause the landscape degradation and the use inconvenience because of incongruity with the scenery, aging and lax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coastal landscape in planning and directing the street facilities, harmonizing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of sustainability.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r planning index for sustainable street facilities considering the coast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lan elements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the street facilities on the shore and proposes them as basic plan elements, and suggests what kind of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coastal facilities in Korea. Based on the plan elements derived from the plan, we checked the problem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coastal street facilities in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treet facilities around the Jeju Island beach from a sustainable point of view, and suggested plan indicator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to improve sustainability. We surveyed the street facilities such as walkway blocks, benches, pagoda, drinking fountain, trash cans, bicycle shelters, fences, guide maps, streetlights, and shower rooms in 10 beaches in Jeju Island. This study analyzed the sustain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each factor of these facilities by surveying the reflectivity of the 23 plan indicators from the six aspects derived from the sustainability planning factor as conformity, partial reflection, non - reflection, and nonconform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unctional aspect was the highest with 68.3%, the material aspect (53%), the landscape aspect (22.3%), the productive aspect (14.7%) and the morphological aspect (12.2%), and maintenance / management (10.6%). In addition, the facilities with the lowest fitness in each aspect are bicycle shelter in landscape aspect, bicycle storage box and trash can in form aspect, shower room in material aspect, trash can in functional aspect, showroom, guide maps and drinking fountain in product aspect, showroom In maintenance aspect. In order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coastal facil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administrative and landscape aspects. In coasta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stainability planning index, especially for showers,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beache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various aspects of sustainability for bike shelters and trash facilities. Through this study, we have proposed the plan elements to systematize, supplement, and improve the planning index for sustainability improvement in coastal facilities planning.

Revising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to Introduce a Coastal Compound Disaster Management Area (해안가 복합재해 관리구역 제도 도입을 위한 법령 개정의 주요 방향)

  • Lee, Moonsuk;Cho, Ah Young;Jang, Ahr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7
    • /
    • pp.995-1003
    • /
    • 2021
  • Coastal compound disasters are becoming more extreme and more frequent due to climate change. Thus, appropriate and systematic disaster management is necessary to reduce potential losses. One solution to this is the creation of a coastal compound disaster management area. However, Korea's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needs to be reformed to introduce this coastal compound disaster management a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appropriate direction for reforming the Act in order to establish a basis for implementing regulations on the Coastal Compound Disaster Management Area with regard to three aspects: science-based management, cooperative management, and adaptive management. The study was on the premise that the system would be operated based on the provisions of the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Consequently for effective science-base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disaster risk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is framework, the management areas should be set with differential measures. Next, cooperation among the various ministries is essential to successfully respond to disasters. This study recommends the establishment of an advisory council composed of the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as a pragmatic solution. Finally, in terms of adaptive management, we found that parallelly utilizing non-structural measures could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tructural measures.

불포화 층상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에 대한 유한 요소 모델링

  • 정병주;김준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342-346
    • /
    • 2002
  • 불포화 층상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에 대한 연구를 위해 하나의 지하수 유동-용질 이동 연동 수치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 수치 모델은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지배 방정식, 염분 이동 지배 방정식 및 농도와 밀도의 관계식, 그리고 유한 요소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서로 다른 두가지 성질의 불포화 대수층이 고려되었다. 하나는 사질토층 위에 점토층이 존재하는 층상 대수층이고, 다른 하나는 사질토층과 점토층이 혼합된 두가지 물질로 구성된 균질화된 대수층이다. 수치모델의 결과는 층상 불균질성 (layered heterogeneity)가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밀도의존적 지하수 유동과 염분 이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한 층상 불균질성의 효과는 사질토층과 점토층과의 현저한 수리학적 및 수리역학적 성질의 차이에 기인한다 따라서 실제 해안 대수층 내에서 관찰되는 점토층을 적절히 고려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고 타당한 해안 대수층내에서의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해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

Coastal seawater intrusion mitigation research by negative and positive hydraulic barriers (해수양수공법과 담수주입공법의 해안지역 지하수 해수침투 저감 효과)

  • Jung, Eun Tae;Park, Nam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3-83
    • /
    • 2015
  • 최근 수자원 이용량의 증가 및 수자원 공급의 부족에 따라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지하수 이용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내륙 지역의 지하수 개발 시와 비교할 때 해안 지역의 지하수 개발에는 해수침투 현상에 대하여 추가적 고려가 필요하다. 알려진 바와 같이 해안 지역의 과잉 양수와 해수면 상승 으로 해수침투가 더욱 깊이 침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정략적인 해수 침투길이 산정과 더불어 해수침투를 허용가능한 범위 내로 제한 시키는 지하수 개발이 필요하다. 해수침투 저감 공법에는 저투수차수벽 설치, 담수주입공법, 해수양수공법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저투수차수벽의 해수침투 저감 효율은 크지만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으로 본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담수주입공법은 대수층에 담수를 주입하여 해수침투를 저감시키는 공법으로 인근에 양질의 수원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해수양수는 해안가에 양수정을 설치하여 해수침투를 저감시키지만 양수정에서의 담수가 혼합되어 담수낭비가 생기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중 담수주입과 해수양수공법의 효율을 검증하고 각각 공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지하수 경계면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리수문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과 해수침투 정도를 사례별로 연구하였다. 담수주입공법의 경우 담수주입량 많을수록 해수침투가 저감되는 경향이 있지만 최적의 담수주입량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해수양수공법에는 해수양수량이 증가하고 해수양수정의 위치가 해안선에 접할수록 해수침투 저감 효과가 있었다. 담수주입공법과 해수양수공법을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 해안가에 적용할 경우 해당 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적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 PDF

IALA G1139기반 VHF대역 데이터 교환시스템(VDES) 프로토콜처리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 Kim, Jeong-Hyeon;Ga, Gwi-Hyeon;Choe, Hui-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24
    • /
    • 2019
  • e-Navigation의 핵심 통신 시스템으로 사용되어질 VDES는 2015년 ITU-R M.2092-0가 발행된 이후로 2020년 개정된 표준을 발행하기 위해 IALA를 중심으로 활발히 기술규격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e-Navigation사업을 통해 VDES의 기술 개발과 표준화에 기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ALA G1139 Ed. 1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VDES 해안국 장비의 제어부와 내장소프트웨어인 프로토콜처리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IALA G1139에서 기술하고 있는 VDES에 대한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고 VDES 해안국 장비의 설계 내용과 시험결과에 대해서 언급한다. VDES 해안국 제작을 통해 e-Navigation에서 요구하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과 같은 통신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 하였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ESDD on the Distance from the Coast (해안거리에 따른 ESDD의 통계적 분석)

  • Kim, Chan-Young;Kim, Dong-Myung;Chang, Joo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474-1475
    • /
    • 2007
  • 해안거리에 따른 등가염분부착밀도(Equivalent Salt Deposit Density)의 수동오손측정은 동해, 서해, 남해의 해안가 및 제주도, 진도, 거제도의 도서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112개소에서 매월 1개월 누적오손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측정된 ESDD는 전력연구원에서 수행한 "전력설비의 염진해 대책에 관한연구(1988)" 및 "염진해 오손정도 및 기준정립에 관한 연구(2002)"에서 분석기법으로 활용한 통계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