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식물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eoreferencing of Primary Species Occurrence Data and Necessity of Data Quality Control - A Case Study of Two Varieties of Ox-Knee,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1차종발생자료를 응용한 지리참조연산표준화 및 자료 품질 관리의 필요성 - 쇠무릎과 털쇠무릎의 적용 사례 -)

  • Chang, Chin-Sung;Chang, Kae Sun;Ahn, Yong-Sup;Kim, Hu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2
    • /
    • pp.185-1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contribution i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potential errors in georeferencing and in an application of it using specimens of Ox-Knee, Achyranthes bidentata Blume in Korea. At infraspecific level, uncertainty of identification showed that 41% of A. bidentata var. japonica and 28% of var. bidentata were misidentified, suggesting that the uncertainty level was independent of the reliability of experts' identification. For georeference specimen records, 71 specimens out of total 303 were selected and utilized as occurrence data: Uncertainty was 32.4 km at maximum and was 0.1297 km at minimum (mean = 4,055 m, s.d. = 5,772 m). Var. japonica is common throughout most of the southeastern Korea and west coastal areas, while var. bidentata has been found as far north as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We modell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varieties using Bioclim approach in Korea based on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Our results indicated the most important region for var. japonica lies the west coast ranges and southern area, while for Chungcheongnam-do of potential high diversity occurs for var. bidentata. This study shows that the major factor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wo varieties were thermal factors, rather than precipitation. The Bioclim model using geocode and georeferencing data makes the information increasingly useful and reliable. To improve data quality, it requires full management from data collection to final databases including data cleaning.

Optimal Growth Model of the Cochlodinium Polykrikoid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최적 성장모형)

  • Cho, Hong-Yeon;Cho, Beom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4
    • /
    • pp.217-224
    • /
    • 2014
  • Cochlodinium polykrikoides is a typical harmful algal species which generates the red-tide in the coastal zone, southern Korea. Accurate algal growth model can be established and then the prediction of the red-tide occurrence using this model is possible if the information on the optimal growth model parameters are availabl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between the red-tide occurrence and the rapid algal bloom. However, the limitation factors on the algal growth, such as light intensity,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re so diverse and also the limitation function types are diverse. Thus, the study on the algal growth model development using the available laboratory data set on the growth rate change due to the limitation factors are relatively very poor in the perspective of the model. In this study, the growth model on the C. polykrikoides are developed and suggested as the optimal model which can be used as the element model in the red-tide or ecological models. The optimal parameter estimation and an error analysis are carried out using the availabl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data sets. This model can be used for the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lab. condition and in-situ state because it is an optimal model for the lab. condition. The parameter values and ranges also can be used for the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using the in-situ monitoring environmental and algal bloom data se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stribute Multimedia System (분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Sang-Kuk;Shin, Hwa-Jong;Kim, Se-Young;Shin, Dong-Kyoo;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77-680
    • /
    • 2000
  • 웹이 등장하면서 지금까지 인터넷 상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웹 관련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과 네트워크 속도의 증가 및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단순한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HTML 문서를 이용한 정보의 전달이 아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의 표현과 전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트리밍 프로토콜도 등장하였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성능 증가 및 네트워크 속도의 증가(초고속 통신 서비스의 보급)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됨으로써 기존의 공중파나 CATV 방송국의 형태 지니고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생방송 서비스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국이 급속하게 생겨나고 있다.[11] 인터넷 방송은 동영상과 오디오의 실시간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술과 멀티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대부분의 인터넷 방송은 스트리밍 서버로서 RealNetworks사의 RealSystem과 Microsoft사의 WMT(Windows Media Technologies)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Real Server와 WMT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술을 지원하는 자바를 기반으로 한 분산 서버 구조의 스트리밍 서버, 서버간의 부하를 제어하는 미들웨어,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SQL Server 7.0 환경에서 구축된 공간 엔진 및 OLE DB 제공자 컴포넌트의 구현 예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혈액내방사선 조사량이 안전용량 범위(200rad)에 속하며 48시간 후 체내잔류량은 서양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비출현의 소견을 보이는 악성종양 환자의 골 신티그람 53개중 44개 (83.0%)에서 척추 및 늑골에 미만성, 또는 다발성 침습이 관찰되었다. 또 골전이 부위를 두개골, 척추, 견대부, 늑골, 골반, 사지의 근위부 장골의 6개 부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49개(92.5%)에서 3부위 이상에 전이가 발견되었고, 35개(66.0%)에서 4부위 이상에 전이가 발견되었으며, 5부위 이상, 6개 부위에 모두 전이가 발견된 것은 각각 20개 (37 7%), 11개(20.8%)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악성종양 환자의 골 신피그라피에서 신장 영상의 비출현은 종양의 광범위한 골전이를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여러 악성종양중 전립선암에서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위암에서 골전이 및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높음은 주목할 만한 것이라 하겠다.출한 결과 인,규소 증가와 자가영양성 미소플랑크톤(ANP)증가에 미치는 요인이 해안과 외해에서 동일하게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다. N:P 비도 해안에서 36.4, 외해에서 32.6을 보이고 있어 인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해역은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중요한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pen GIS OLE DB Component Using RDBMS (RDBMS를 이용한 개방형 GIS OLE DB 제공자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

  • Kim, Min-Soo;Lee, Ki-Won;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7-70
    • /
    • 2000
  • 최근 네트워크 서비스 및 분산 컴퓨팅 환경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 기반 지리정보 시스템과 이 기종 시스템간에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는 분산 지리정보시스템의 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 이러한 상호 운용성과 더불어 기 구축된 시스템의 재 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개방형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표[1]되었으며, 최근 발표되는 지리정보시스템들도 이러한 개방화와 컴포넌트화 기술을 채택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개방형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기술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산업 전반에 커다란 파급 효과를 끼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 분야에서는 OpenGIS Consortium(OGC)을 주축으로 하여 개방형 컴포넌트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표준 구현 사양을 발표하고 있으며, 이러한 표준 사양을 수용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환경에서 다양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이용하여 OGC가 제시한 OLE/COM 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시스템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는 순수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시스템 기반 위에서 구성되므로, 우선 OGC에서 요구하는 GIS 관련 핵심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우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ODBC를 이용하여 공간엔진을 구성하고 있다. 본 공간 엔진은 OGC 사양을 충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최소한의 기능-공간데이터 관리 기능, 공간 연산 처리, 공간 색인 기능 그리고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간 엔진의 기반 위에서 OGC OLE DB 제공자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SQL Server 7.0 환경에서 구축된 공간 엔진 및 OLE DB 제공자 컴포넌트의 구현 예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혈액내방사선 조사량이 안전용량 범위(200rad)에 속하며 48시간 후 체내잔류량은 서양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비출현의 소견을 보이는 악성종양 환자의 골 신티그람 53개중 44개 (83.0%)에서 척추 및 늑골에 미만성, 또는 다발성 침습이 관찰되었다. 또 골전이 부위를 두개골, 척추, 견대부, 늑골, 골반, 사지의 근위부 장골의 6개 부위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49개(92.5%)에서 3부위 이상에 전이가 발견되었고, 35개(66.0%)에서 4부위 이상에 전이가 발견되었으며, 5부위 이상, 6개 부위에 모두 전이가 발견된 것은 각각 20개 (37 7%), 11개(20.8%)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악성종양 환자의 골 신피그라피에서 신장 영상의 비출현은 종양의 광범위한 골전이를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여러 악성종양중 전립선암에서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위암에서 골전이 및 신장 영상 비출현의 빈도가 높음은 주목할 만한 것이라 하겠다.출한 결과 인,규소 증가와 자가영양성 미소플랑크톤(ANP)증가에 미치는 요인이 해안과 외해에서 동일하게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다. N:P 비도 해안에서 36.4, 외해에서 32.6을 보이고 있어 인이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해역은 인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중요한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 PDF

Spati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of Forest Vegetation in Ulleung Island, Korea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 Lee, Jung-Hyo;Cho, Hyun-Je;Hur, Tae-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29 no.6
    • /
    • pp.521-529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all forest vegetation types in Ulleung Island, Korea using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s phytosociology, and map ou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ose vegetation type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mountain forest type (Acer okamotoanum community group) and maritime forest type (Artemisia scoparia community group). Vegetation units at the community level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ix communities, sixteen groups, and seven subgroups, giving a total of 22 communities. Total area for mapping was 5,544.9 ha, of which Fagus engleriana community accounted for 1,952 ha (35.2%), Hedera rhambea community ror 1,196 ha (21.6%), Camellia japonica community for 1,104 ha (19.9%),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community for 612 ha (11.0%),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for 506 ha (9.1%), and Tsuga sieboldii - Pinus parviflora community for 174 ha (3.1%). According to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variables such as $Mg^{2+}$, pH, $Ca^{2+}$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maritime vegetation types, and variables such as total nitrogen, carbon content, C/N ratio and ration exchange capacity (CEC) were highly correlated in mountain vegetation types, respectively. The sea level and the slope direction were not showing regular trend as a factor to decide on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 this research area. But it seems to be affected by topography, slope degree and dominance vegetation.

A Study on the Effective Container Transport System for the Relief of Urban Traffic Congestion -A Container Transport Time-Oriented- (도시교통 체증완화를 위한 효율적인 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 수송시간을 중심으로 -)

  • Kim, Tae-Gon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4 no.1
    • /
    • pp.33-43
    • /
    • 1990
  •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이후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도입되어 운영되어 왔으나 차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컨테이너 수송체계는 도시교통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우리나라 최대의 국제 무역항으로써 전 컨테이너 수송화물의 90%이상을 처리하고 있고, 또한 수출입항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으나 낮은 도로율(12.45%)과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로 인해서 도심을 통과하는 컨테이너 수송차량은 많은 교통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1) 부산시에 산재해 있는 30여개의 Off-Dock CY에 이르는 주요 도로상에서 컨테이너 수송량의 신간별 분포에 따라 컨테이너의 운행시간대를 첨두 시간대, 비첨두 시간대 및 심야 시간대로 분류하여 각 시간대별 평균 수송 시간 및 교통 체증으로 인한 수송 지체수준을 확인하였고, 2)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부터 Off-Dock CY에 이르는 도시 고속도로 및 주요간선도로상에서의 수송시간 및 수송 지체수준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3)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컨테이너 수송체계를 위한 최적 수송시간대 및 도로체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특히, 컨테이너 수송시간 및 지체수준은 각 운행 시간대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심야 시간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수송을 할 경우에는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50%정도의 수송시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도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시 간선도로에 비하여 30%정도의 수송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교통체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심야 시간대에 보다 많은 컨테이너 수송차량이 이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수송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산재해 있는 Off-Dock CY를 몇개의 ODCY그룹이나 단지까지 컨테이너 전용 고속도로의 건설이 바람직하고 생각된다.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Cyp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같은 풀들이 하구언(estuary)의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동안에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와 담수성 조류가 동시에 다양하게 산출되는 것은 하구언 퇴적환경이었음을 잘 지시해 준다. 제II화분대(고도, 43.72{\sim}3.36\;m$)가 시작되면서 혼합림은 침엽수림으로 바뀌었으며, 낙엽활엽수들의 서식지가 2엽소나무로 대치되면서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 PDF

An Assessment of Primary Productivity Determined by Stable Isotopes and Diving-PAM in the Pyropia Sea Farms of the Manho (Jindo-Haenam) Region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안정동위원소 및 Diving-PAM을 이용한 남서해안 만호해역 (진도-해남) 김 양식장에서의 일차 생산력)

  • Kim, Jeong Bae;Lee, Won-Chan;Kim, Hyung Chul;Hong, Sokj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4 no.1
    • /
    • pp.18-29
    • /
    • 2016
  •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water column nutrient contents, and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on pigmen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as well as primary productivity of Pyropia yezoensis Ueda purple lavers were studied at the primary cultivation areas in the Manho (Jindo-Haenam) region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in March 2014. The water temperature was $9.1{\sim}9.6^{\circ}C$, salinity was 32.5~33.1, and transparency was 0.7~1.5 m. The shallow euphotic depth resulted from the high turbidity. Water colum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and silicate concentrations were $3.59{\sim}5.73{\mu}M$, $0.16{\sim}0.41{\mu}M$, and $12.41{\sim}13.94{\mu}M$, respectively. Chlorophyll a (Chl a) concentration was $0.51{\sim}1.25{\mu}g\;L^{-1}$. Nanoplankton ($0.7{\sim}20{\mu}m$ size class) accounted for 58% of the total Chl a concentration. Fucoxanthin was the dominant photosynthetic pigment at all sites. Microplankton ($20{\sim}200{\mu}m$ size class) accounted for 64% of the total fucoxanthin concentration. The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was $57.72{\pm}4.67(51.05{\sim}66.71)mg\;C\;m^{-2}d^{-1}$. The nanoplankton ($0.7{\sim}20{\mu}m$ size class) accounted for 77% of the total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The calculated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was $11,337kg\;C\;d^{-1}$. The primary productivity of Pyropia blades was $1,926{\pm}192(1,102{\sim}2,597)mg\;C\:m^{-2}d^{-1}$, i.e., calculated as $39,295kg\;C\;d^{-1}$. The total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nd Pyropia blades was $50,632kg\;C\;d^{-1}$. The primary productivity of Pyropia blades was 3.5 times greater than that of phytoplankton in the Manho region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청사조(Berchemia racemosa)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개체군 동태 분석)

  • Beon, Mu-Sup;Kim, Young-H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6
    • /
    • pp.679-690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in the Weolmyung park in Gunsan city, and base on that to seek the ecological habitat conservation plan for the Berchemia racemosa. In results,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are located at $81{\sim}93$ meters above the sea level, in steep seaside slope of a mountain. The soil texture are silt loam mainly and soil pH were $4.1{\sim}5$. The vascular plants in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has been analyzed as 61 taxa; 33 families, 51 genera, 54 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s. Berchemia racemosa as 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as the class V. Berchemia racemosa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7 vegetation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 community(A1), Alnus firm a community(A2),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A3),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A4) and 3 Pinus densiflora communities(B1, B2, B3). The importance value of Berchemia racemosa were 30%(A1), 15%(A2), 27%(A3), 65%(A4), 18%(B1), 45%(B2) and 35%(B3) on shrubs layer and 12, 27, 20, 18, 11, 18, 21 % on herb layer. The constant companion species with Berchemia racemosa were Stephanandra incisa and Ligustrum obtusifolium. Total 103 populations appear in the 7 Berchemia racemosa habitats. Thei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were clumped for the most part. The average height was 133cm, the root color diameter was 4.4cm and the ramification branch number was 9.4.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e continued monitoring and the activ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oonsom, Cheju Island, Korea I. Environment Properties and Community Structures of Phytoplankton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 Choa, Jong-Hun;Lee, Joon-Baek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5 no.1
    • /
    • pp.59-69
    • /
    • 2000
  •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have been bimonthly investigated in order to clarify the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oonsom at the southern Cheju Island from September 1995 to July 1996. Annual mean temperature and annual mean salinity were $17.4^{\circ}C$ and 34.06 psu, respectively, showing lower temperature-higher salinity in winter and higher temperature-lower salinity in summer, which means such conditions are inadequate for coral reef formation. Nutrient concentrations represent that total nitrogen ranged from $0.07{\sim}10.08\;{\mu}M$, phosphate from $0.05{\sim}1.70\;{\mu}M$, and silicate from $3.08{\sim}21.86\;{\mu}M$. The N/P ratio showed the range of 9.59-10.60 with decreasing offshore-ward, which mean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uld be limited by nitrogen sources. Annual mean euphotic depth was 32.0m (18.9m-48.6m) with difference according to season and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pth of coral distribution.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0.12{\sim}1.51\;{\mu}g\;L^{-1}$ and standing crops from $1.5{\times}10^3{\sim}7.0{\times}10^5\;cells\;L^{-1}$, showing higher at inshore than at offshore with a blooming in May. A total of 128 species of phytoplankton occurred in all stations, representing 99 spp. of diatoms, 26 spp. of dinoflagellates, 2 spp. of silicoflagellates and 1 sp. of blue-green algae. Diatoms are main taxa in all seasons except for occupying by dinoflagellates in summer. Among dominant species, fParalia sulcata (Ehrenberg) Cleve and Cylindrotheca closterium (Ehrenberg) Lewin & Reimann were predominant and are likely to be main food sources for coral community. Annual mean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1.84, showing lower than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 PDF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Conservation & Management of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국내(國內)의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보존(保存) 관리(管理) 실태(實態))

  • Na, Moung-Ha;Lee, Jin-Hee;Lee, Jae-K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8 no.2
    • /
    • pp.127-136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ed and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the improved plans related to natural monument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Replacing the current term 'cultural properties', which denotes the meaning of 'goods', we need to devise an new categorization that separates such properties into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under the national heritage framework. Second,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natural monuments should be divided into the individual realm for animals and plants respectively, since they are not divided in the current Act. Third, the guidelines for naming of natural monuments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following new categories in accordance with the clear standards. Fourth, such imbalances require us to give priority to the relatively neglected types and areas. Fifth, as the big and old trees account for more than a half of the designated plants, it is necessary to search out new resources(wet plant communities, seashores, sand dune plant communities, etc.) such as geological resources, mineral springs, hot springs, and fossils that are in danger of completely being exploited and exhausted. While most of the designated animals are protected nationally, the existing designation system is required to protect habitats and breeding places for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conservation. Sixth, as long as we need to preserve thos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the future generations from national and global perspectives, we should enhance their values by designating them as natural monuments even though they are protected by other regulations such as the natural environment area. Seventh, as a result of the survey, we found that more budgets and experts in the local governments, more empowered organizations, more active public particip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better Natural Monument management in Korea. Eighth, the Lap of Natural Heritage i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eeds to be developed to the Natural Heritage Institute to conduct the diverse activities such as researches, restor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programs in a systematic and efficient way. Ninth and the last, major damages to natural monuments can be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e artificial one and natural one, respectively. The artificial damages include toxics, soil covering, excessive humidity, fir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works, unlawful damages, fishing, oil spillage, etc, and the natural ones include lightning, storms(typhoons), heavy snowfalls, damage by insects and diseases, lack of prey, etc. This study will become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specific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s,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monuments on the basi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natural monuments. We wish to leave the other subjects related with this study to the future researches.